1 / 1
"대한산업안전협회"으로 검색하여,
2 건의 기사가 검색 되었습니다.
-
▲ 보훈공단, 대한산업안전협회와 안전문화 확산과 산업재해 예방을 위한 업무협약 체결(오른쪽에서 세 번째 보훈공단 윤종진 이사장) [출처=보훈공단]한국보훈복지의료공단(윤종진 이사장, 이하 보훈공단)에 따르면 2025년 9월17일(수) 대한산업안전협회와 안전문화 확산과 산업재해 예방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보훈공단은 이번 업무협약을 통해 보훈가족에게 더욱 안전한 의료·복지서비스 환경을 제공하고 대한산업안전협회의 전문성과 경험을 보훈공단 내 확산할 예정이다.협약의 주요 내용은 △안전문화 확산을 위한 캠페인 공동 실시 △산업재해 예방을 위한 안전교육 및 점검 지원 △양 기관간 주요 업무 수요 발굴 및 협력 △중대재해 예방 및 안전확보를 위한 협력체계 구축 △기타 양 기관의 발전과 우호 증진 등이다.보훈공단은 국가유공자와 보훈가족, 나아가 국민의 건강과 행복한 삶을 책임지는 공공의료복지기관으로 전국 6개 보훈병원과 8개 보훈요양원 등을 운영하고 있다.보훈공단 윤종진 이사장은 “이번 협약을 통해 산업안전분야에서 최고의 전문성을 갖춘 대한산업안전협회의 노하우를 보훈공단 내 보훈병원과 여러 시설에 접목해 더욱 안전한 의료·복지환경을 조성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
2019-02-011876년 일본 제국주의는 강화도조약을 체결한 이후 조선의 이권을 침탈하기 시작했고 근대화라는 명분으로 각종 철도, 전기, 도로, 수도, 현대식 건물 등 산업인프라를 본격적으로 건설하기 시작했다.500년 동안 쇄국정책을 펼치던 조선이 1910년 망한 이후 일제가 만주지방을 본격적으로 침략한 1930년대 초까지 조선에 대한 인프라 투자를 많지 않았다.하지만 1932년 만주사변, 1937년 중일전쟁을 거치면서 지하자원이 풍부한 북쪽 지방에 대규모 산업시설, 남쪽은 식량수탈을 위한 인프라 등으로 체계적으로 건설했다.1950년 6〮25전쟁으로 남북한에 위치했던 산업시설, 인프라 대부분이 파괴됐고, 남한 지역은 미국과 유엔의 원조사업으로 기초 인프라는 복구하는 수준에 머물렀다.정부는 ~80년대 중화학공업, 1990년대 전자와 조선 등에 대한 투자를 단행하면서 대규모 공단을 곳곳에 건설했다. 1980년대 이후 경제성장에 따른 수요를 충족하기 위해 주택, 도로, 전기, 가스 등 기초 인프라에 대한 투자가 늘어났지만 한국식의 ‘대충 대충’과 ‘빨리 빨리’라는 원칙이 적용되면서 부실의 씨앗이 심겨졌다.결국 부실과 가용수명이 지난 자재로 인해 원시적인 안전사고가 끊임 없이 발생하고 있지만 ‘임기응변’식 땜질 처방에 급급하면서 오늘에 이르고 있다.선진국들이 안전을 염두에 두고 건물과 설비를 설계할 때 한국은 대충 눈 가리고 아웅하는 식의 겉치레 치장에 중점을 뒀다. 따라서 근본적인 문제를 해결하지 않는 이상 급증하는 안전사고를 막을 방법은 없다고 판단된다. ◇ 하드웨어보다는 소프트웨어 손실이 더 위험해대한산업안전협회는 ‘사업장의 각종 위험공정 및 설비 등에 대한 안전진단을 통해 잠재된 유해〮위험성과 유해인자를 도출하고 그 문제점에 대한 효과적인 개선대책을 제시하는 등 기술적인 지원을 통해 산업재해를 예방’하기 위해 산업안전진단을 실시하고 있다.작업조건 및 작업방법에 대한 평가,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