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1
" 경제부흥"으로 검색하여,
3 건의 기사가 검색 되었습니다.
-
최근 제25대 강호동 농협중앙회장이 농협금융지주에 대한 혁신을 주도하고 있다. NH농협은행에서 대규모 횡령사고가 발생했음에도 근절되지 않아 내부통제시스템이 제대로 작동하지 않았다고 판단했기 때문이다.강 회장은 2024년 5월 사고를 유발한 직원에 대한 무관용 원칙에 의한 처벌, 관리감독 책임자에 대한 인사조치 등을 공언했다. 그럼에도 NH농협은행, NH농협캐피탈, 농협생명, 농협손해보험 등이 근무기강이 잡히지 않았다.엠아이앤뉴스(대표 최치환)는 25대 강호동 중앙회장, 24대 이성희 중앙회장, 23대 김병원 중앙회장에 이어 22대 최원병 중앙회장, 21대 최원병 중앙회장의 공약을 평가한다.◇ 경제부흥이 중요함에도 정치공약이 다수 점유해 황당... 문화교육 및 과학기술 공약 부실경상북도 경주시 안강농협장 출신인 최원병 회장은 21대부터 22대까지 연임했다. 22대 공약 이행도를 분석한 결과는 처참한 수준이었는데 21대 공약 이행도는 어떤지 궁금했다.최원병 회장이 21대에 제시한 공약을 국가정보전략연구소가 개발한 '오곡밸리혁신모델(5G Valley Innovation)-선거공약'으로 구분하면 다음과 같다.▲ 농협중앙회 제21대 최원병 회장의 공약을 오곡밸리혁신(5G Valley Innovation) 모델로 분류한 결과 [출처=iNIS]공약은 정치(행정)(13)·경제(산업)(3)·사회(복지)(3)·문화(교육)(1)·과학(기술)(0) 등으로 구성됐다. 경제(산업) 공약이 전체의 65.0%를 차지했으며 △정치(행정) 공약 15.0% △사회(복지) 공약 15.0% △문화(교육) 공약 5.0% △과학(기술) 공약 0%를 기록했다. 최원병 회장의 요소별 주요 공약은 다음과 같다.정치(행정) 공약은 △계통 직원과의 교환근무제를 도입해 지역농협과 농협중앙회가 하나되는 농협 조성 △농업과 농촌의 가치에 대한 국민 공감대 형성 △이사회 기능 정상화로 독단적인 경영의 폐단을 일소 
-
▲ 민진규 국가정보전략연구소 소장 [출처 = iNIS]지난해 7월8일 선거 유세 중 피살된 아베 신조 일본 총리는 아베노믹스라는 경제부흥 정책을 펼쳤다. 2000년대 이후 0% 성장세를 유지하는 경제에 활력을 불어넣기 위한 목적이었지만 효과는 제한적이었다.비슷한 시기 중국에서는 리커창 총리의 이름을 딴 리커노믹스, 한국에서는 최경환 경제부총리의 이름을 빗대 초이노믹스라는 아류작이 탄생했다.제2차 세계대전 이후 안보는 미국에게 위탁하고 경제성장에 매진했던 경제동물 일본은 1950년대 후반 유럽을 넘어 미국에 이은 경제대국으로 떠올랐다.2001년 세계무역기구(WTO)에 가입한 중국이 급격하게 추격하며 2010년대 들어 일본의 G2(주요 2개국) 지위가 무너지며 금융허브도 허물어졌다.일본 수도인 도쿄는 국제금융센터지수(GFCI)가 지속적으로 하락해 위기감을 느끼고 있다. 2020년 9월 6위를 기록했던 순위는 2021년 3월 8위를 거쳐 2022년 9월 16위로 떨어졌다. 1868년 메이지 유신 이후 탈(脫)아시아를 외치며 급성장하던 기세마저 사라졌다.일본 정부와 국민은 1990년대 초반 버블이 붕괴된 이후 ‘잃어버린 30년’을 치욕적이라고 여기지만 대안 마련에는 소극적이다. 금융전문가들은 도쿄의 글로벌 금융도시 위상을 회복시키기 위해서는 폐쇄적인 정치부터 혁신해야 한다고 조언한다.금융업이 자금 수요가 생기는 제조업을 기반으로 성장하기 때문에 전자·반도체·자동차 등 제조업의 글로벌 경쟁력부터 확보하라고 첨언한다.로봇 등 4차 산업 관련 투자를 확대하고 저임금 체계를 개선해 우수 인재의 해외 이탈을 막는 방안도 수립할 필요가 있다. 아시아의 가장 선진화된 도시였던 도쿄가 아시아 금융허브로 위상을 회복할 수 있는지 초미의 관심사다. - 계속 -
-
태국산업연합회(FTI)의 자료에 따르면 6월 자동차 생산량은 17만9875대로 전년 동월 대비 18.57% 증가한 것으로 집계됐다.6월 자동차 수출량은 10만7025대로 전년 동월 대비 39.4%나 늘었다. 2016년 자동차 생산량은 195~200만대가 될 것으로 전망된다. 농산물가격이 상승하고 정부의 경제부흥책이 효과를 발휘하면서 자동차산업도 성장하고 있다.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