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2
" 공유 사업"으로 검색하여,
13 건의 기사가 검색 되었습니다.
-
2024-12-31▲ 우리은행 로고[출처=우리은행]우리은행(은행장 조병규)에 따르면 2024년 12월30일(월요일) 회현동 본점에서 디지털자산 수탁 기업인 비댁스(BDACS, 대표이사 류홍열)와 가상자산 수탁시장 선도를 위한 혁신기술 업무협약을 체결했다.이번 협약에 따라 양사는 △가상자산 수탁 비즈니스 협업 △블록체인 기술 노하우 공유 △공동사업 발굴 및 사업 추진 등 글로벌 디지털 금융 시장 진출을 위해 지속 협력하기로 했다.비댁스는 대체불가토큰(NFT), 토큰증권(STO) 등 고객의 가상자산을 맡아 안전하게 보관하고 관리 해주는 커스터디 서비스 사업자다.2024년 9월 금융위원회 산하 금융정보분석원(FIU)에 가상자산사업자(VASP) 신고 수리를 완료했다. 2022년 설립된 신생업체임에도 최근 글로벌 블록체인 기업인 아발란체(Avalanche), 폴리매쉬(Polymesh)와 전략적 파트너십을 맺는 등 기술력과 잠재력을 인정받고 있다.우리은행 디지털전략그룹 옥일진 부행장은 “비댁스와 협력을 통해 신사업 기회를 발굴하고 가상자산 수탁시장을 선도하기 위한 기술적 기반을 다질 것이다. 디지털 자산 시장에서 고객 중심의 혁신적인 금융서비스를 창출하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포부를 밝혔다.
-
2024-10-13▲ 문혁수 LG이노텍 대표가 최근 미국 샌프란시스코서 열린 인재 채용 행사인 이노 커넥트(Inno Connect)에서 회사 사업 분야와 경영 방향을 설명하고 있다.[출처=LG이노텍]LG이노텍(대표 문혁수)에 따르면 문혁수 대표가 미래 사업을 이끌 글로벌 인재 확보에 직접 발벗고 나섰다. 김흥식 최고인사책임자(CHO), 노승원 최고기술책임자(CTO) 등과 함께 미국 샌프란시스코 하얏트 리젠시 호텔에서 인재 채용 행사인 ‘이노 커넥트(Inno Connect)’를 진행했다.CEO가 직접 참석한 이번 해외 채용행사는 ‘글로벌 우수 인재 확보’를 통해 글로벌 사업경쟁력을 강화하고 미래 사업 준비에 속도를 내겠다는 문 대표의 경영방침을 본격화한 행보로 풀이된다.이날 행사에는 미국 매사추세츠공과대(MIT), 스탠포드대, 조지아공과대, 일리노이주립대, 퍼듀대 등 미국 주요 20여 개 대학 박사 및 박사 경력 보유자 32명이 초청됐다.참석 인재들의 주요 연구분야는 AI, 자율주행, XR, 로보틱스 등으로 LG이노텍의 미래 성장 동력과 관련이 깊다. 문 대표와 경영진들은 회사의 주요 사업 분야와 연구개발(R&D) 현황 및 추진 방향을 초청 인재에게 공유했다.특히 문 대표는 경영진들과 함께 ‘C레벨과 대화(Talk With C-Levels)’ 세션을 열고 회사의 전략, 기술로드맵, 전문가 육성 정책 등 인재들이 궁금해하는 주제로 직접 논의하는 시간을 가졌다.참석 인재들은 광학, 자율주행, 로봇 분야의 차별화 기술력과 미래 준비 현황, AI/디지털 트윈 도입 등에 대한 질문을 하며 높은 관심을 보였다.이날 문 대표는 “LG이노텍은 우수 인재들의 기술 혁신을 바탕으로 세계 최고 고객들과 파트너십을 다지며 성장하고 있다”며 “특히 전문가로 성장할 수 있는 체계적인 로드맵과 폭넓은 연구분야를 보유하고 있으며,여러분이 꿈꾸는 미래를 세계 최고의 고객들과 함께 실현해 나갈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할 것이다”고 말했다.실제로 문 대표는 다양한 제도와 프로그램을 통해 글로벌 인재 확보를 강화하고 있다. 글로벌 사업이 차지하는 압도적인 비중 때문이다. 2025년 상반기 기준 전체 매출의 약 95%가 글로벌 고객 대상의 해외매출에서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LG이노텍은 2204년 7월 업계에서 선도적으로 ‘글로벌 인턴십’을 진행한 바 있다. 이번 인턴십에는 국내 대학 및 대학원에 재학중인 외국인 유학생과 해외 대학 및 대학원에 재학중인 한국인 유학생 30여명이 참여했다.인턴십 참여 학생들은 R&D, 생산기술, 해외마케팅 등 다양한 부서에 배치됐다. 인턴십 우수 수료자는 면접을 거쳐 정규직으로 전환된다.이뿐 아니라 급격히 성장하고 있는 LG이노텍 베트남 법인에서는 하노이 공과대, 호치민 폴리테크닉대학 등 베트남 현지 주요 대학과 업무협약(MOU)을 체결하고 계약학과 운영, 인턴십, 진로 지도 등 다양한 채용 연계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
▲ 케냐 항공사인 케냐항공(Kenya Airways)과 케냐 통신사인 사파리콤(Safaricom)이 전략적 파트너십을 체결했다. [출처=케냐항공 엑스(X) 계정]2024년 8월 아프리카 관광·교통업 주요동향은 항공과 관광을 포함한다. 케냐 정부기관인 TRI(Tourism Research Institute)에 따르면 2024년 상반기 해외 관광객 수는 102만7630명으로 2023년 상반기 84만7719명과 비교해 증가했다.○ 미국 숙박 공유 서비스인 에어비앤비(Airbnb)에 따르면 남아공 입법수도인 케이프타운(Cape Town)의 2024년 8월 기준 등록된 숙박업소 수는 2만3564곳으로 급증하는 추세다.유명 관광지의 에어비앤비 숙소 등록 수는 각각 △샌프란시스코 7888곳 △암스테르담 9310곳 △아테네 1만3274곳 △베를린 1만3759곳 △시드니 1만5548곳 △도쿄 1만6518곳 △바르셀로나 1만8925곳과 비교해 케이프타운의 숙소 수가 많았다.한편 에어비엔비 숙소가 가장 많은 도시는 파리로 무려 9만5885곳이나 등록돼 있다. 글로벌 숙박 공유 사업이 급성장하고 있다.▲ 미국 숙박 공유 서비스인 에어비앤비(Airbnb)의 프랑스 파리 오르세 미술관(Musée d’Orsay) 아이콘(Icon) 객실에서 보이는 파리 올림픽(Paris 2024 Olympics) 개최식의 모습이다. [출처=에어비앤비 엑스(X) 계정]○ 케냐 정부기관인 TRI(Tourism Research Institute)에 따르면 2024년 상반기 해외 관광객 수는 102만7630명으로 2023년 상반기 84만7719명과 비교해 증가했다.2024년 초부터 eTA(Electronic Tourist Authorization)를 도입하며 비자 승인 과정을 완화하고 주요 항공사들이 새로운 항공 노선을 추가한 것이 효과를 발휘한 것으로 조사됐다.2024년 상반기 관광 매출은 Sh 1425억 실링으로 2023년 동기간 1534억 실링과 대비해 7.1% 감소했다. 관광객 수가 증가했음에도 인플레이션 영향으로 관광객의 지출이 감소해 매출이 저조했던 것으로 판단된다.○ 케냐 항공사인 케냐항공(Kenya Airways)에 따르면 케냐 통신사인 사파리콤(Safaricom)과 항공 기술 개발을 목적으로 파트너십을 체결했다.양사는 통신 연결성, 기내 와이파이(Wi-Fi), 인프라시설 조사, 로열티 프로그램, 데이터 과학, 소프트웨어 개발, 항공 기술 부문의 향상 등에 집중할 계획이다.화물 수송 과정의 통제를 목적으로 창고, 화물 추적 등을 위한 사물인터넷(IoT) 솔루션의 개발과 도입에도 협업할 방침이다.○ 이집트 관광청(ETA)에 따르면 2024년 관광객 수는 1500만 명을 초과하고 관광 매출은 US$ 140억 달러 이상이 될 것으로 전망된다.2023년 관광객 수가 역대 최고 기록인 1490만 명을 넘길 것으로 예상된다. 2024년 1월부터 7월까지 관광객 수가 800만 명을 상회했기 때문이다.2024년 상반기 관광 매출은 66억 달러로 전년 동기간 63억 달러와 비교해 상승했다. 2024년 상반기 관광객 수는 706만9000명으로 역대 최고를 기록했다.
-
2021-12-10영국 고등법원에 따르면 미국의 다국적 승차 공유 서비스기업인 우버(Uber)의 사업 모델을 런던에서는 불법으로 판결했다. 이번 고등법원의 판결은 우버가 2021년 2월 대법원 판결 이후 추가적인 법적 조치를 취한 이후 나온 것이다.이에 따라 우버는 자사의 운전기사가 직원이며 따라서 병가 급여, 최저임금 등과 같은 혜택을 받을 자격이 있다고 밝혔다.대법원은 우버 운전기사가 단순히 '운전 대리인' 역할을 하고 있다는 우버의 주장이 런던교통공사(TfL)가 관리하는 교통법 및 고용법 등의 위반일 수 있다는 의견을 제시했다.이번 고등법원의 판결은 런던의 1900개 이상의 개인 렌터카 사업체와 그들에게 면허를 부여하는 런던교통공사(TfL)에게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운전기사, 택배기사 등은 더 이상 승객과 계약을 맺지 않고 대신 승객과 계약하는 사업체를 위해 일하게 되면서 고용권에 대한 접근이 쉬워진다.▲우버(Uber) 홈페이지
-
2018-12-07뉴질랜드 공유배차서비스업체 우버뉴질랜드(Uber NZ)에 따르면 보행자들을 위한 테스트용 전기스쿠터(e-scooter) 대여사업의 론칭을 준비 중인 것으로 드러났다.우버뉴질랜드가 테스트용 전기스쿠터 운행을 시작하면 현재 오클랜드, 크라이스트처치 등에 보급된 1600대의 전자스쿠터 사업업체가 타격을 받을 것으로 전망된다.국내 경쟁업체인 온조(Onzo)는 11월 10일 전기스쿠터사업을 론칭했다. 또한 웨이브(Wave)는 11월 30일을 론칭일로 정한 바 있다. 이들 업체들은 전기스쿠터 사업이 활성화되는 것을 원하고 있다.우버뉴질랜드는 미국 서부 해안 지역에서 전기스쿠터가 인기를 끌자 관련 기업을 인수해 시장에 진출했다. 2018년 7월 우버와 구글벤처스(Google Ventures)는 US$ 3억3500만달러를 신생기업 라임(Lime)에게 투자했다.당시 라임의 기업가치는 10억달러로 평가 받았다. 라임에 투자하는 대가로 우버와 라임은 앱기술을 공유하기로 합의했다. 이제 사용자들이 라임을 찾거나 임대할 때 우버 소프트웨어를 사용한다.그리고 8월 양사는 우버가 라임에 전기자전거를 공급하기로 계약했다. 우버가 4월 2억달러를 투자해 캘리포니아 전기자전거 공유 스타트업인 점프(Jump)를 인수해 자회사로 뒀기 때문에 가능한 계약이었다.▲라임(Lime)의 전기스쿠터(출처 : 홈페이지)
-
필리핀 정부에 따르면 차량공유업체 우버(Uber)와 그랩(Grab) 사업협력이 반독점규제에 위반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예정이다. 현재 그랩은 동남아시아 8개 국가, 195개 도시에서 사업을 영위 중이다.최근 우버는 동남아시아 시장을 개척하기 위해 $US 7억달러 이상을 투자했지만 전체 사업을 그랩에게 매각한다고 발표했다.그랩과의 경쟁에서 이길 수 없다고 판단했을뿐만 아니라 유럽과 인도 시장에 집중하기 위한 목적이다. 하지만 양사의 인수합병으로 인해 경쟁이 사라져 소비자의 선택폭은 더욱 축소될 것으로 전망된다.▲그랩(Grab) 로고
-
2017-12-08필리핀 공공사업도로부(DPWH)에 따르면 글로벌 차량공유업체 우버(Uber)와 협력을 체결했다. 효과적인 카풀경험을 받기 위한 목적이다.마닐라 시에서 교통체증을 줄이기 위해서는 카풀과 차량공유를 촉진시킬 필요가 있다고 판단했기 때문이다. 우버가 운영하고 있는 앱이 이러한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했다.우버도 배차서비스와 관련해 정부로부터 벌금을 부과받는 등 관계가 악화되고 있기 때문에 이번 협력을 기회로 관계를 개선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공공사업도로부(DPWH) 로고
-
파키스탄 펀잡(Punjab) 주정부의 자료에 의하면 차량공유 사업체들에 대한 법적인 조치를 시행할 계획이다. 대표적인 업체들은 Uber, Careem, A-One 등이다.최근 신드 주정부는 카라치에서 사업을 영위하고 있는 업체들에게 1개월 이내에 법적인 요구조건을 충족하도록 요구했다. 하지만 펀잡 주정부는 교통경찰과 교통공무원들에게 불법행위를 하고 있는 업체를 단속하도록 명령했다.펀잡지방교통청(PTA)는 일부 회사들은 모바일 네트워크 기술을 통해 택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데 어떤 정부기관에 등록도 하지 않은 일반 차량을 활용하고 있다고 경고했다. 일부는 차량은 안전문제까지 초래하고 있다.정부는 이들 업체들이 세금을 내지 않는다고 비난을 가했다. 하지만 업체들은 일자리창출과 저렴한 교통서비스 제공으로 국민들이 혜택을 받고 있다며 반박한다.▲펀잡(Punjab) 주정부 홈페이지
-
▲ 글로벌 차량공유업체인 우버(Uber) 로고글로벌 차량공유업체인 우버(Uber)는 뉴질랜드 오클랜드에서 사업추진으로 시민들의 교통비를 대폭 절감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현재 2000명의 시민들이 차량공유서비스를 이용하고 있으며 3명 중 1명은 주당 10시간 미만 사용하고 있다. 통계에 따르면 1일 1~2시간 정도 사용할 경우 교통비 절감효과가 큰 것으로 나타나 있다.
-
오스트레일리아 교통부의 자료에 따르면 퀸즐랜드(Queensland)주에서의 우버(Uber) 택시 영업이 합법화되면서 즉시 보조금 $A 430만달러가 지급돼지만 택시운전사 및 업계는 여전히 반발하고 있다.교통부는 퀸즐랜드에서 교통시스템 개혁이 전체 산업의 경쟁력 향상과 혁신을 주도해 미래의 변화를 이끌어 유연하고 현대적이며 개인화된 교통시스템이 정착될 것이라고 주장했다.또한 퀸즐랜드가 관광객에게도 저렴한 여행지로 선택될 수 있는 혜택이 주어져 더 많은 사람들이 찾게될 것으로 전망했다. 합법화가 발효된 9월부터 택시운전자들은 의회의사당 앞에서 항의시위를 벌였다.2016년 9월부터 우버가 합법화되면서 총 1억달러의 보조금 중에서 지금까지 1주일에 120만달러가 택시 및 리무진 사업자들에게 제공됐다.차량공유사업 자체가 합법화되면서 최근 택시공유업체인 GoCatch의 자회사인 GoCar가 사업을 개시했다. 우버와 달리 GoCar는 차량공유사업 자체가 불법적인 지역에서는 영업을 하지 않고 있다. ▲GoCatch 홈페이지
1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