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1
" 과학교육"으로 검색하여,
2 건의 기사가 검색 되었습니다.
-
2025-07-24▲ iM뱅크 본점 전경 [출처=iM뱅크]iM뱅크(아이엠뱅크, 은행장 황병우)에 따르면 2025년 7월23일(수) 지역사회 공헌과 ESG 경영 실천의 일환으로 국립대구과학관(관장 이난희)에서 ‘과학교육 환경 개선 및 과학문화 확산을 위한 후원금’ 4000만 원을 전달했다.전달된 후원금은 국립대구과학관이 추진하는 과학문화 소외지역을 대상으로 찾아가는 과학관 운영, 청소년 대상 교육 프로그램 확대, 지역사회 연계 과학문화 행사 등 사회적 가치 실현을 위한 공공사업에 효과적으로 활용될 예정이다. 이를 통해 지역민의 과학문화 접근성이 한층 높아질 것으로 기대된다.이난희 관장은 “과학문화 소외계층에게 많은 체험 기회를 제공하고 지역 청소년의 과학적 소양 높이기에 도움이 되는 후원에 감사드리며 기업과 과학관이 함께하는 과학문화 나눔이 지역 사회에 따뜻한 울림을 주어 뜻 깊다”는 소감을 전했다.황병우 은행장은 “아이들이 과학을 쉽고 흥미롭게 접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드는 것은 미래에 대한 가장 중요한 투자로 iM뱅크(아이엠뱅크)는 어린이, 청소년 등 미래 꿈나무를 위한 다양한 지원을 진행하고 있다”고 설명하면서 “지역에 본사를 둔 시중은행으로 다방면의 지역밀착 사회공헌을 진행하고 있는 iM뱅크(아이엠뱅크)는 금번지원으로 지역기관 및 사회와의 연대를 강화해 ESG경영을 적극 실천하겠다”는 뜻을 전했다.
-
▲ 우크라이나 정부 빌딩 [출처=위키피디아]우크라이나 정부에 따르면 2017년 교육·연구기관에 대한 연구개발비는 5억740만그리브나로 편성됐다. 지난해에 비해 40% 증액된 규모다.해당 기관의 과학, 기술, 교육 등을 개선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프로젝트를 통해 개발한 성과물을 국가산업에 도입할 계획이다. 사업은 공정한 경쟁을 위해 입찰로 진행할 예정이다.참고로 지난해 연구개발비로 전개된 입찰공고에 132개의 교육기관이 834개의 제안서를 제출했다. 올해는 재정이 확대된 만큼 연구개발 프로젝트가 더욱 활성화될 것으로 전망된다.경제전문가들은 실질적인 연구개발을 위해 기존처럼 보고서에 그친 형식적인 평가를 근절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중요한 것은 참신한 사고방식, 분석력, 기술력 등이라고 강조했다.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