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1
" 급부상"으로 검색하여,
6 건의 기사가 검색 되었습니다.
-
▲ 일본 소니(Sony)가 판매하고 있는 플레이스테이션 게임기 이미지 [출처=홈페이지]국대 최고 대기업인 삼성그룹이 간판 기업인 삼성전자의 부진으로 골머리를 앓고 있다. 반도체 시장이 메모리 중심에서 비메모리로 옮겨가는 상황에서 경쟁력을 잃고 있기 때문이다.대만의 TSMC와 한국의 하이닉스마저도 턱밑까지 추격했다. 특히 TSMC는 일본, 미국 정부와도 긴밀하게 협조하며 글로벌 반도체 시장을 주도하고 있다.삼성이 1997년 국제통화기금(IMF) 외환위기를 잘 극복하며 글로벌 기업으로 성장한 것은 맞지만 어떤 기업인지에 대한 정체성은 확보하지 못했다는 평가를 받는다.종합백화점인 국내 대기업이 모두 겪는 문제이지만, 국내 선도기업으로 삼성이 해결해야 할 가장 중요한 과제는 시장에서 소비자에게 삼성이 어떤 기업인지 인식시키는 것이다.글로벌 마케팅 전략의 핵심은 정체성을 확보하는 것이다. 그럼에도 삼성 뿐 아니라 우리나라 대기업은 종합백화점으로 수십 혹은 수백개 계열사를 선단식으로 운영한다. 기업문화 측면에서 문제점이 무엇인지 파악해보자. ◇ 삼성전자는 가전제품 혹은 스마트폰 제조기업인지 헷갈려... TV도 전략 제품이지만 브랜드 인지도 떨어져삼성의 대표 브랜드는 무엇일까? 아니 삼성전자의 대표 제품은 무엇일까? 소비자가 삼성전자하면 떠올리는 이미지는 무엇일까?삼성은 모든 제품을 만들고 파는 제조기업이자 자체 브랜드로 판매하는 안파는 제품과 서비스가 없는 백화점이라는 표현이 맞을지도 모르겠다.삼성이 정체성을 확립하기 위해서는 기업문화 DNA 2 요소인 사업(busoness)의 시장(market)에 대한 인식과 마케팅 전략을 개선해야 한다.삼성 고유의 철학이 기업문화에 반영되고 이 기업문화가 마케팅 전략에 반영돼야만 글로벌 삼성의 정체성을 강하게 심을 수 있기 때문이다. 삼성전자의 폭넓은 제품 포트폴리오는 복합적인 불황을 이겨내고 경쟁에서 유리한 고지를 점유하게 만든 1등 공신인 것은 틀림없지만 소비재 기업으로서 삼성전자의 이미지에는 오히려 부
-
▲ 민텔이 2024년 아시아 태평양 지역의 뷰티&퍼스널케어 트렌드를 담은 랜드스케이프를 공개했다[출처=민텔컨설팅코리아]글로벌 마켓 트렌드 리서치 기업 민텔(Mintel)컨설팅코리아에 따르면 2024년 아시아·태평양(APAC) 지역의 뷰티&퍼스널케어 트렌드를 담은 랜드스케이프를 공개했다.랜드스케이프는 △안티에이징의 재조명 △과학적 근거 기반의 뷰티 △민감성 피부의 급부상 등 3가지 트렌드 주제로 구성됐다. 이 중 ‘민감성’ 트렌드는 아시아·태평양 지역에서 급증하고 있으며 최근 더 중요해지고 있는 추세라 주목할만하다.민텔의 소비자 조사 연구에 따르면 민감성 피부라고 밝힌 중국 소비자는 2021년 35%에서 2022년 41%로 증가했다.민감성 피부 소비자가 가장 흔히 말하는 증상은 보습 능력의 부족인데 중국에서 출시된 제품의 80% 이상이 보습/수분 공급 효과가 있다고 주장했다. 건조 피부 문제를 경험하는 민감성 피부 소비자의 증가(54%)와 일치한다.일본 소비자는 환경적, 호르몬적 요인으로 발생하는 것으로 생각되는 민감성 피부에 예민하다. 민텔의 GNPD 데이터에 따르면 2023년 4월~2024년 3월 일본에서는 민감성 피부를 위한 ‘무첨가’ 주장 출시 제품이 늘어 39%를 차지하면서 미국(28%)과 프랑스(12%)를 앞질렀다.태국 소비자는 외부 오염에 의한 민감성 피부를 극복하고 싶어한다. 민텔의 소비자 조사에 의하면 태국 소비자의 3분의 1 이상이 오염 방지 효능이 있는 피부 화장품에 관심이 보였다.대기 오염 수준이 높아지면서 소비자들은 피부 보호와 민감성 피부 치료에 관심을 보이고 있다. 그 결과, 민감성 피부인 사람을 위해 특별히 고안된 부드러운 제형임을 주장하면서 출시된 세안제가 늘어나고 있다. 민감성 이외에 다른 트렌드도 흥미롭다. 안티에이징 뷰티 트렌드는 보다 전체적이고 포괄적으로 접근하는 전략으로 변화가 전망된다.중국에서 연령별
-
▲ 민진규 국가정보전략연구소 소장 [출처 = iNIS]우리나라 사람이 기분이 좋을 때 하던 말 중 하나가 ‘홍콩간다’다. 1960년대부터 사용되다가 1990년대까지 입에 오르내렸다.해외여행이 어렵던 시절 동양에서 화려한 서구문물로 치장된 홍콩은 뭇사람이 방문하고 싶어 하던 선망의 대상이었다.소비와 향락의 도시인 홍콩이 아시아 금융허브라는 사실을 아는 사람은 많지 않다. 99년 동안 영국의 조차지로 동서교역의 중심지에 있었기 때문에 자연스럽게 금융산업이 발전하게 됐다.1997년 중국으로 반환된 이후 본토의 급격한 경제성장에 필요한 자금을 조달하며 제2의 부흥기를 맞이했다. 하지만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빈부격차에 대한 항의시위가 촉발됐으며 2012년 애국교육을 필수과목으로 지정한 것에 대한 반대가 거세졌다.급기야 2019년 ‘범죄인 인도법’에 반발하는 시위로 중국 정부의 인내심이 폭발하며 갈등이 증폭됐지만 해소될 기미는 전혀 보이지 않는다.‘하나의 중국’정책에 따라 영어 대신 표준 중국어 사용을 강제했으며 국가보안법을 시행한 이후 자금과 인재의 이탈이 가속화되고 있다.지난달 시진핑 주석의 3연임이 확정되며 제로코로나·대만 강공책·홍콩 압박 등 정책이 유지될 것으로 관측되기 때문에 홍콩의 금융업 경쟁력 퇴조는 불가피할 것으로 전망된다.‘적의 불행은 나의 행복’이라는 경구처럼 이웃국가인 싱가포르가 새로운 아시아 금융허브 강자로 부상하는 중이다.홍콩의 경쟁력이 쇠퇴하게 된 이유를 파악해 서울을 아시아 금융허브로 구축하려는 우리나라 정부·서울시에 주는 시사점을 정리했다.- 계속 -
-
독일 곤충버거제조업체 버그파운데이션(Bugfoundation)에 따르면 쇠고기 패티의 대체재로 '버팔로 딱정벌레'가 급부상될 것으로 전망된다.버팔로 딱정벌레의 유충은 대부분 단백질 성분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사람에게 좋은 영양성분도 다량 함유돼 있다. 식감도 쇠고기 패티와 유사하다.게다가 유럽에서 가장 큰 관심사로 떠오르는 축산업의 환경오염 요소도 해결될 가능성이 높아졌다. 곤충 사육방식은 이산화탄소 배출 및 초원 생장에 큰 해가 없기 때문이다.이 곤충버거는 독일 서부 아헨시의 한 슈퍼마켓에서 판매되고 있다. 아직 생소한 부분이 많은 곤충식품이기 때문에 지역별, 국가별로 허가되지 않은 곳이 많다.참고로 버그파운데이션은 곤충버거를 만드는 제조사이다. 곤충패티의 주원료인 버팔로 딱정벌레 애벌레를 사육하는 곳은 네덜란드의 Kreca Ento-Feed BV다.Kreca Ento-Feed BV는 약 35년 경력의 식용벌레 공급업체다. 곤충의 식품화와 더불어 기존 동물성 식품 이상의 섭취효과를 내기 위해 연구개발 중이다.환경전문가들은 그동안 가축을 키우면서 발생됐던 다양한 환경오염이 곤충을 통해 상당부분 해소될 것으로 진단했다. 곤충의 식품시대가 점점 다가오고 있다.▲버그파운데이션(Bugfoundation) 홈페이지
-
중국자동차공업협회(中国汽车工业协会)에 따르면 2016년 1~6월 자동차 생산량은 1289만2200대로 전년 동기 대비 6.47% 증가했다. 동기간 판매량은 1282만9800대로 8.14% 늘었다.자동차시장이 성장한 것은 신에너지차량의 판매증가와 정부의 세금혜택, 중고차 제한 등의 정책과 상승작용을 일으켰기 때문이다.상반기 신에너지 차량 판매량은 순수전기차 13만4000대, 하이브리드 차량 3만6000대 등 17만대를 기록해 전년 동기대비 162% 증가했다.중국의 신에너지 차량시장은 세계 최대시장으로 급부상했으며 2위 미국은 신에너지 차량 6만4000대를 판매했다.▲ China_CAAM(China Association of Automobile Manufacturers)_Homepage▲중국자동차공업협회(中国汽车工业协会) 홈페이지
-
2016-04-14우크라이나 정부는 2016년 독일 연방정부와 국가경제발전을 위해 1000억유로 규모의 지원을 논의 중이다. 일각에서는 2차 세계대전 이후 유럽부흥계획인 '마셜플랜'의 일종이라고 표현한다.독일은 우크라이나의 2015년 외국인직접투자(FDI)국 3위로 전체 투자액 중 12.5%를 점유하고 있다. 대독일 상품수출시장도 성장 중이며 현재 자동차부품 및 농업제품 업계로부터 투자지원도 검토되고 있다.최근 4월에는 독일 엔지니어링업체 레오니(Leoni AG)가 카르파티아 지역에 '자동차 케이블' 생산공장을 건설하기로 결정했다. 또한 농축수산물의 대유럽연합 수출이 확대되면서 독일까지 시장확대를 계획하고 있다.우크라이나는 올해 초부터 유럽연합을 비롯한 IMF, UN 등 국제기구로부터 기금조달에 주력하고 있다. 전문가들은 금융지원 외에도 이처럼 '산업적 협력지원'을 병행해야 균형적 발전이 가능하다고 조언한다.참고로 우크라이나-독일은 1992년에 공식적인 외교관계를 수립해 양국에 대사관을 설치했으며 현재까지 유지되고 있다. ▲ 우크라이나(좌)와 독일(우) 국기(출처 : 글로벌리서치센터 홈페이지)* 레오니(Leoni AG)설립 : 1917년본사 : 독일 뉘른베르크주요사업 : 부품제조, 엔지니어링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