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2
" 농부"으로 검색하여,
15 건의 기사가 검색 되었습니다.
-
일본에서 개발된 라면을 국내로 수입해 글로벌 대표 식품으로 승화시킨 농심그룹의 경영철학은 이농심행무불성사(以農心行無不成事)다. '농심(農心)으로 행하면 안되는 일이 없다'라는 의미다.농심의 홈페이지에는 '서둘지 말고 모든 일을 순리에 맞게 이끌어 간다면 그 결실도 가장 바람직한 것이 되지 않겠는가. 세상이 각박해질수록 농부의 마음을 되살려야 한다.'고 설명한다.오너의 경영철학은 기업의 정신이며 사업과 밀접하게 연관돼 있다. 예를 들어 삼성그룹 창업자인 이병철 회장은 '사업보국(事業報國)'을 주창했다. '사업으로 국가에 보답한다'는 의미다.삼성은 창업 이후 설탕, 밀가루, 보험, 전자, 조선, 반도체, 스마트폰, 바이오 등으로 사업 영역을 확장해왔다. 삼성이 성장하는데 오너 일가의 경영철학이 어떤 영향을 끼쳤는지 분석해보자.▲ '삼성기업문화 탐구' 표지 이미지 [출처=교보문고]◇ 위대한 기업은 오너의 올바른 철학이 기본... 이재용 회장부터 엄격한 도덕적 기준과 책임감 지녀야2000년대 이후 '위대한 기업'이라는 말이 많이 사용하고 있다. 위대한 기업으로 평가받기 위해서는 사회로부터 신뢰 획득, 구성원의 조직에 대한 자부심, 구성원 간의 동료애를 느낄 수 있어야 한다.이런 기업이 ‘일하기 좋은 직장’임에 틀림이 없다. 단순히 급여가 많다고 회사의 브랜드 이미지가 높다고 위대한 기업이라 부르지 않는다.위대한 기업이 위대한 직장이라고 볼 수 있다. 삼성이 위대한 기업이 되기 위해 가장 시급한 일은 사회로부터 신뢰를 획득하는 것이다.삼성이 사회적 반감을 완화시키고자 자주 사용하는 단어가 ‘상생’이다. 협력업체, 중소기업을 지원하기 위한 각종 프로그램을 앞다퉈 내놓았다.내용을 구체적으로 살펴 보면 과거의 대책을 재탕하거나 미사여구(美辭麗句)를 늘어놓은 말잔치에 불과하다. 오너의 질책과 정부의 압력에 어쩔 수 없이 내놓은 것 같은 인상을 준다.상생은 삼성맨이 자발적으로 외치고 실천해 체질화시켜야 하는 것이지 구호가 되어서는 안 된다. 직장에서 배워야 하고 가르쳐줘야 하는 것이 ‘돈’보다는 사회적 책임 인식과 상생의 논리다.삼성이 위대한 기업이 되기 위해서는 삼성의 오너와 경영진이 일반인과 차별되는 보다 엄격한 도덕적 기준과 책임감을 지녀야 한다.조선의 선비들이 지킨 신독(愼獨), 즉 ‘어두운 방안에서도 자신을 속이지 않는다’는 자세로 스스로 를 감시해야 한다. 사회 구성원이 용인할 수 있는 이념과 철학이 없이는 지속 가능한 성장을 할 수 없다.위대한 기업의 출발점은 위대한 철학(哲學)을 가지는 것이라는 점을 명심해야 한다. 진정한 혁신은 이재용 회장 자신이 철학적 기반을 정립하고 삼성의 모든 이해관계자가 기꺼이 존중할 수 있는 비전을 수립할 때 시작된다.삼성이 덩치에 걸맞은 사회적 책임을 다할 때 위대한 기업이 될 수 있고 삼성맨으로서 자부심을 느끼게 될 것이다. 조직을 떠나도 자신이 몸담았던 조직에 대한 애정과 자부심을 느낄 수 있어야 성공한 인생이다.◇ '방구석 여포'로 불리는 국내 대기업 경영... 다양한 이해관계자와 이익을 합리적으로 분배해야삼성을 포함한 우리나라 대기업은 이른바 '방구석 여포'라는 비판을 받는다. 집안에서는 큰소리 치지만 밖에 나오면 아무런 것도 하지 못한다는 뜻이다.우리나라 대기업은 1970년대부터 수출을 확대한다며 해외에 판매하는 제품은 국내보다 저렴하게 가격을 책정했다. 대다수 국민은 기업의 성장해야 국가가 발전한다고 믿어 불이익을 감내했다.하지만 2000년대 들어 국내 대기업이 글로벌 기업으로 성장하고 전체 매출액의 절반 이상을 해외에서 올리는 상황에서도 그러한 기조는 변하지 않았다.전 세계인을 소비자로 삼고 있는 글로벌 기업은 다양한 글로벌 이해관계자를 평등하게 배려해야 한다. 2008년 금융위기 이후 기업의 이익추구는 어디까지인지, 사회적 책임은 어디까지 물을 수 있는지에 대한 논란이 뜨겁다.기업의 이해 관계자는 주주뿐만 아니라 소비자, 정부, 협력업체 등 다양하다. 오직 주주의 이익만을 중시하는 미국식 자본주의 경영은 장기적으로 주주에게도 도움이 되지 않는다는 주장이 설득력이 있다.기업이 사업을 독점하면서 가격을 제멋대로 결정하고 조삼모사(朝三暮四) 마케팅 정책으로 소비자를 현혹해 소비기계로 만드는 것은 기업에게도 도움이 되지 않는다.국내 대기업이 주력하고 있는 건설, 통신, 가전제품, 카드와 보험 등은 소비자를 '빚의 함정'으로 몰아 넣는 대표적 사업이다. 과장된 이미지 마케팅으로 소비자를 꾀어 소득에 적합하지 않는 과도한 소비를 유도한다.기업은 다양한 이해 관계자와 공존공생(共存共生)하는 방법으로 이윤을 남겨야 한다. 또한 기업의 이익은 자체의 전유물이 되어서는 안 되고 협력업체와 소비자 등 이해관계자에게 합리적으로 배분돼야 옳다.사업을 영위해서 이익이 남았으니 배분하라고 하는 것이 아니라 사업과정에서 적절하게 이윤이 배분될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한다는 주장이다.만년 '을'에 불과한 협력업체의 기술 혁신과 인력 투입에도 상당한 대가를 지급해야 한다. 소비자에게도 적절한 마진(margin)으로 정해진 가격에 양질의 제품을 공급해야 한다.일부 편협된 전문가의 주장처럼 이익을 많이 냈다고 탓하는 것이 아니다. 자본주의 사회에서 모든 기업은 반드시 이익을 내야 하지만 이해관계자의 이익을 과도하게 침해하지 않는 수준에서 허락돼야 한다.국내 대기업이 '돈'만 밝히는 회사가 아니라 사회적 책임을 인식하고 있다면 이익에 대한 개념을 다시 정립해야 옳다.대기업이 자체의 기술이나 운영 혁신만으로 현재와 같은 수준의 높은 이익을 내기는 어렵다. 다른 이해관계자들의 이익을 침해했을 것이라 보는 이유다.협력업체에 정당한 납품가격을 지급하지 않고 소비자에게 합리적이지 못한 비싼 가격을 지불하게 만들고 사회에 각종 비용을 전가하고 직원복지를 줄여서 만든 이익은 바람직하지 않다.대기업의 이익 모두가 이렇게 형성된 것은 아니지만 전체적으로 관심을 갖고 분석해 개선할 여지가 있는 부문은 수정하는 것이 존경받는 기업이 되는 첩경(捷徑)이다.대기업도 이익의 구조나 규모를 기업문화 형성의 측면에서 접근하고, 관리해야 할 필요가 있다. 신제품을 출시할 때마다 개발비 운운하면서 가격을 인상하는 것은 삼가야 한다.오히려 가격을 내려 소비자 선호도를 높이고 시장 지배력을 강화하고 있는 글로벌 기업의 ‘정직한 경영전략’을 벤치마킹해야 한다. ◇ 권력과 사귀면 기업이 손해다... 조직 내부의 부정행위 근절시켜야 기업문화 재정립 가능한국에서 기업을 경영하기 위해 뇌물의 필요성을 공감하지 않는 사람은 없을 것이다. 삼성도 국내 최대 기업으로 성장하면서 뇌물을 사용하지 않았다고 보기 어렵다.가치분화가 제대로 되지 않는 후진국형 일부 한국의 관료와 정치인은 자신의 권력과 권한을 돈으로 사고 파는 것이 정당하고 당연하다는 믿음을 갖고 있다. 기업이 이 허점을 제대로 파고들었다고 볼 수 있다.삼성 임원 출신이 출간한 『삼성기업문화탐구』라는 책을 보면 뇌물에 관한 불문율이 나온다. ‘주는 것은 상황에 따라 용인하지만 받는 것은 절대로 안 된다’, ‘주는 것도 무조건이 아니라 내부적인 업무절차를 따라야 하며 그 원인이나 처리과정에서 하자가 없어야 한다’ 등이다.공무원이 칼자루를 쥐고 흔드는 현실에서 살아남기 위한 교묘한 선택이고 지나치게 자기합리화를 하기 위해 무던히도 노력했다는 생각을 지울 수 없다.과거 한국의 대기업은 각종 선거에 천문학적인 정치자금을 제공했고 박봉(?)에 시달리는 공무원을 떡값으로 포섭해 활용했다.정치권이나 공무원이 먼저 요구해 불이익을 당하지 않기 위해서는 어쩔 수 없는 선택이었다고 항변했다. 하지만 뇌물이 일상화, 관행화됐다는 사실로 보면 기업의 책임이 가볍다고 보기 어렵다.기업성장을 기술개발이나 제품의 질 향상에 두기보다 정부의 보조금을 받거나 우호적인 정책결정에 기업의 생존을 맡긴 결과, 정경유착(政經癒着)과 같은 정치적인 행동이 불가피했다고 본다.삼성이 욕을 먹는 것도 파렴치한 정치인뿐만 아니라 순진한 일선 공무원에까지 뇌물을 주어 기업활동에 이용했기 때문이다.2005년 안기부 파일로 밝혀진 ‘떡값 검사’ 논란은 사정기관의 신뢰를 무너뜨렸고 우리 사회에 정의의 실현을 무력하게 만들었다.돈으로 정치권력이나 공무원과 연계되면 장기적으로 기업에 책임이 전가된다. 한국은 정권이 바뀔 때마다 과거 정권의 부조리를 캐내고 단죄하는 것이 정례화돼 있다.정치인은 사법적 처벌을 받는 것을 오히려 훈장으로 여기지만 기업인은 주홍글씨가 된다. 정치인은 대통령의 고유권한인 특별사면을 받기도 쉽지만 기업인은 이마저도 어렵다.삼성특검을 거치면서 이건희 회장과 이재용 회장도 이 진리를 뼈저리게 깨닫지 않았을까 싶다. 직원의 부정도 통제해야 하지만 고위 임직원이 조직적으로 자행하는 부정행위부터 근절시켜야 삼성의 기업문화가 바로 설 것이다.기업도 기업시민으로서 정부의 공공성을 존중해야 하고 사회부문 간 견제와 비판의 기능이 제대로 작동하도록 지원해야 한다. 천문학적인 장학금을 정관계에 뿌렸다고 의심받는 삼성이 뼈저리게 반성해야 할 부문이다.- 계속 -
-
▲ 유럽 주요국의 국기 [출처=CIA]◇ 영국 다이슨(Dyson), 3500명에 달하는 국내 직원 중 3분의 1을 해고할 계획영국 청소기 제조업체인 다이슨(Dyson)에 따르면 3500명에 달하는 국내 직원 중 3분의 1을 해고할 계획이다. 치열한 글로벌 경쟁 시장에서 생존하기 위해 선제적으로 구조조정을 진행하는 것이다.다이슨은 2019년 제조 공장과 공급망과 인접한 싱가포르로 본사를 이전한 후에 국민으로부터 비판을 받았다. 하지만 아시아 시장은 다이슨 매출의 절반 이상을 차지하고 있으며 싱가포르는 유럽연합(EU)와 자유무역협정을 맺고 있다.이탈리아 커피 제조업체인 라바자 그룹(Lavazza Group)은 2024년 연초 이후 영국 슈퍼마켓에서 커피 가격이 15% 이상 상승했다고 밝혔다. 커피 원두 가격이 오르면서 커피 가격은 2025년에도 오를 것으로 전망된다.기후 변화로 커피 주요 산지인 베트남, 인도네시와 같은 국가에서 생산량이 줄어들고 있다. 2024년 베트남의 기후 조건도 악화돼 커피 원두 생산량이 회복되기는 어려울 것으로 예상된다. 최근 커피 원두 가격은 2022년 9월 이후 가장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영국 부동산 데이터 그룹인 코스타(CoStar)는 2024년 상반기 £1억 파운드 이상의 가치를 가진 런던 사무실 빌딩의 판매는 거의 없는 것으로 조사됐다. 런던시의 경우에는 1억 파운드 이상의 건물이 거래된 사례가 전혀 없다.지난 2년 동안 은행의 대출 금리가 가파르게 상승하며 주요 사무실 빌딩 소유주들은 건물을 매각하기 위해 노력 중이다. 2014년 이후 런던의 건물을 구입한 투자자들은 대규모 손실이 불가피할 것으로 추정된다.◇ 프랑스 다쏘 시스템(Dassault Systèmes)은 2024년 회계연도 매출액 전년 대비 6~8% 증가 전망프랑스 금융회사인 BNP 파리바(BNP Paribas)는 2024년 9월부터 인공지능 기업인 미스트랄 AI와 긴밀한 파트너십을 강화할 계획이다. 고객 지원, 판매, 정보기술(IT) 등 다양한 영역에서 지원을 받는다.미스트랄 AI는 2023년 설립된 벤처기업이며 과거 구글 딥마인드에서 근무한 기술자들이 참여했다. 창업 이후 3회에 걸쳐 €10억 유로의 투자금을 유치했다. 오픈 소스를 기반으로 엔진을 개발했다.프랑스 소프트웨어 개발업체인 다쏘 시스템(Dassault Systèmes)은 2024년 회계연도 매출액은 63억5000만~64억2000만 유로로 전년 대비 8~10% 증가할 것으로 전망했다. 하지만 매출 증가율은 6~8% 수준에 그칠 것으로 예상된다.특히 2분기 3000만 유로로 기존 예상치보다 줄어들었는데 이는 중요한 계약이 연기되었기 때문이다. 다쏘 시스템은 2분기 실적을 7월25일 공개할 계획이다.◇ 아일랜드 중앙은행(Central Bank of Ireland), 6월 임금 상승률은 전년 동월 대비 4.3%아일랜드 중앙은행(Central Bank of Ireland)에 따르면 2024년 6월 임금 상승률은 전년 동월 대비 4.3%로 집계됐다. 연초에 기록했던 4~4.%와 비교해서는 소폭 상승한 수치이만 2022년 8월 6.4%와 비교하면 낮다.코로나19 팬데믹(대유행) 이전인 2019년 평균 2.5%보다는 높다. 지난 2년 동안 유로존 국가에서 급여 상승률은 지속적으로 하락했으며 구인 광고의 숫자도 줄어들었다. 구인 광고에서 급여는 6월 기준 영국 7%, 유로존은 3.7%로 조사됐다. 같은 기간 미국은 7%로 집계됐다.아일랜드 농업환경지방부(Daera)에 따르면 2023년 북아일랜드 농가 수입은 £3억4100만 파운드로 전년 6억900만 파운드에 비해 44% 줄어들었다. 농부들은 2023년 비료나 석회의 구입을 줄였으며 가축 사육에 필요한 사료의 구입은 늘렸다.가장 큰 폭으로 수입이 감소한 농업은 곡물 -80%, 낙농 -70%으로 조사됐다. 반면에 돼기 가격이 급등하면서 돼지 사육농가의 수입은 84% 증가했다. 저지대에서 소와 양을 사육하는 농가의 수입도 8% 및 3% 각각 확대됐다.
-
나이지리아 중앙은행(CBN)에 따르면 2015년 처음 시작된 이후 2021년 현재까지 대출자 프로그램인 ABP(Anchor Borrowers’ Programme)를 통해 N8640억나이라를 농부들에게 대출한 것으로 집계했다.지난 6년 동안 502만헥타르의 토지를 경작하는 410만명의 농부들이 ABP 자금을 지원받았다. 2021년 9월과 10월 사이에만 ABP는 2021년 건기에 431억9000만나이라를 대출했다.옥수수, 수수, 콩, 쌀 등 주요 농작물을 재배하는 25만헥타르 이상의 농지가 혜택을 받았다. 농업 부문이 국내총생산(GDP)에서 차지하는 비율이 높다.ABP 이외에도 중앙은행은 신용제도인 CACS(Commercial Agriculture Credit Scheme)에 따라 6개의 대규모 농업 프로젝트에 58억8000만나이라를 대출했다. CACS의 총 누적 대출액은 1조800억나이라에 달한다. ▲중앙은행(Central Bank of Nigeria, CBN) 로고
-
2021-06-28나이지리아쌀재배농부협회(RIFAN)에 따르면 중앙은행(CBN)과의 협력으로 향후 국내 쌀가격이 하락할 것으로 전망된다. RIFAN은 중앙은행과 더불어 전국 도정업체들에게 2만7000톤의 쌀을 직접 배분할 계획이다. 이러한 새로운 전략은 물가 안정을 보장해야 하는 중앙은행의 금융업무 권한과 일치한다.또한 쌀 배분이 국내 시장의 쌀가격 하락을 촉발하고 가용성을 높일 것으로 판단한다. 궁극적으로 공급망을 따라 인위적인 희소성을 창출하려는 중간상인들의 잘못된 활동을 견제할 것으로 기대된다. 국내 주요 은행인 에이펙스 은행(apex bank) 역시 곧 유통될 쌀을 통해 국내 시장에서 치솟는 식품 가격 문제를 해결하려고 노력 중이다. ▲나이지리아쌀재배농부협회(RIFAN) 홈페이지
-
2021-06-14미국 몬태나주 농업국에 따르면 제초제 살포용 드론으로 농부 6명을 대체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농촌에서 사용되는 농업용 드론의 수요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는 추세다.몬태나주 전체 경작지에 유해 잡초로 보고된 면적만 19만7000에이커로 집계됐다. 유해 잡초를 제거하는 데 소요되는 비용은 1에이커당 US$ 60달러로 추산되며, 단순 계산 시 총 1182만달러가 필요하다.반면 드론을 활용하면 인건비와 농약제를 절약할 수 있고 업무 속도로 빨라 시간적으로도 효율적이다. 인력으로는 드론 1기당 제초 작업자 6명을 대체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농약의 경우 인력이 수동으로 살포할 경우 최대 20갤런(약 75리터)이 소비되는 면적을 드론은 2갤런으로 가능했다. 공중에서 뿌릴 경우 살포 면적이 늘어나고 드론이 불필요한 경로를 제외시키기 때문이다.농업용 드론은 배달용만큼이나 빠른 속도로 상용화되고 있는 분야다. 제초제 살포뿐만 아니라 파종, 작물생태 스크린 및 분석, 토양 오염도 측정 등 더욱 복잡한 업무로의 전환도 이뤄지고 있다.최근 미국 농업용 드론 개발업체 렌티조(Rantizo)는 3대의 드론을 동시에 투입해 농경지 작업을 가능하게 하는 시스템을 개발했다. 군집 드론의 영역까지 농업용 드론이 진입하고 있는 것이다.▲ 렌티조의 농업용 드론(출처 : 홈페이지)
-
2020-03-16영국 스타트업인 아그리렛저(Agriledger)에 따르면 아이티 농부들을 위한 블록체인 생태계를 구축할 계획이다. 공급망을 명확히하고 판매를 강화하여 농민들의 수입을 향상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이를 통해 가치사슬에서 제품의 소유권을 훨씬 더 오래 유지할 수 있다. 아그리렛저의 블록체인 기반 솔루션은 시스템에 등록된 농부에게 디지털 ID 번호를 할당한다.ID를 통해 농부는 디지털 공급망의 일부가 될 수 있다. 또한 아이티 농부들은 그들의 제품을 토큰화해 P2P 거래에 더 많은 액세스가 허용된다.또한 개발된 블록체인 솔루션은 데이터의 유효성을 신뢰할 수 있도록 한다. 참여 농민은 대출 및 기타 금융 서비스를 받을 수 있다.향후 아그리렛저는 공급 업체와 소매 업체가 상호 작용할 수있는 SaaS(Software-as-a-Service) 플랫폼을 구축할 계획이다. 이와 같은 솔루션은 현지 및 전세계의 여러 시장에 대한 청사진으로 평가된다.특히 농민을 위한 무역 및 재정 기회를 창출해 다른 유형의 생산자에게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체계적인 공급망 관리는 블록체인 기술의 핫 케이스로 계속 성장하고 있다.예를 들면 영양 전문 농업 파트너십인 아브릴그룹(Avril Group)은 공급망에 IBM의 푸드트러스트(Food Trust)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사용하기 시작했다.▲ UK-Agriledger-Blockchain▲ 아그리렛저(AgrilLedger)의 홍보자료(출처 : 홈페이지)
-
2019-05-16뉴질랜드 글로벌 유제품대기업 폰테라(Fonterra)에 따르면 낙농부들에게 새로운 우유가격 프로그램을 제공할 계획이다. 2019-2020년 임박한 유제품 시즌을 위한 우유선물시장에 관한 새로운 고정우유가격 프로그램이다.낙농부들은 참가비를 지불해야만 하는데 서비스 수수료는 우유고형분의 kg당 10센트이다. 가격을 고정할 경우에 글로벌 수요에 따라 급변동하는 위험을 최소화할 수 있다.평균 뉴질랜드 젖소는 한 시즌에 약 15만8000kg의 우유고형분을 생산한다. 낙농부들은 계절에 따라 우유생산량의 50%까지 고정된 가격에 우유를 판매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폰테라(Fonterra) 홈페이지
-
나이지리아 당고테그룹에 따르면 Sokoto주 정부 및 농부들과 Rice Growers Scheme 협정을 체결했다. 정부의 농업 진흥을 위한 투자와 국내에서 생산가능한 식품 수입을 감소하기 위한 목적이다.나이지리아는 매년 650만 톤의 쌀을 수입하고 있어 수입금액만 $US 20억 달러 이상이 지출된다. 해당 협정으로 1만6000명의 일자리 창출과 국내 쌀 자급률이 증가될 것으로 전망된다.당고테그룹은 3년 동안 100만 톤 쌀 생산을 목표로 하고 있다. 예상경작 면적은 2.5만 헥타르이지만 향후 15만 헥타르로 확대할 계획이다.
-
나이지리아 지방자치단체 Katsina주에 따르면 Kokami Village에 토마토 페이스트 가공공장을 건설하고 있다. 해당 공장은 국립화학기술연구소(NARICT)이 5억 나이라의 공사금액을 받고 짓고 있다.주는 이미 계약금의 70%를 NARICT에 지급했으며 70% 완공됐다. 가공기계는 곧 공장에 설치된다. Katsina주 농부들은 건기와 우기 동안에 다량의 토마토를 생산했지만 그동안 저장시설의 부족으로 피해가 막심했다.따라서 이번 가공공장 건설으로 인해 농부들은 더 이상 수확 후 피해를 입지 않을 것으로 전망된다. 정부는 식량안보를 확보하고 농민들의 소득증대를 위해 다양한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다.▲국립화학기술연구소(NARICT) 로고
-
▲ 필리핀 정부 로고필리핀 농업부에 따르면 주요 5개 슈퍼마켓 체인점들이 농산물을 농부들로부터 직구매하도록 독려할 방침이다. 중간상인들이 농부들에게 돌아갈 이익을 가로채고 있기 때문이다.이 같은 사업에 동참할 수퍼마켓 체인점은 SM, Rustan's, ShopWise, SaveMore, NCCC Mall 등이다. 특히 마늘과 양파의 경우 중간상인들이 카르텔을 형성하고 있어 이를 없앨 계획이다.
1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