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1
" 드론배송"으로 검색하여,
4 건의 기사가 검색 되었습니다.
-
▲ 항공안전기술원, 드론배송거점 및 드론자동점검시스템 [출처=항공안전기술원]항공안전기술원(원장 황호원)에 따르면 2025년 4월부터 “K-드론배송 상용화 사업”을 통해 전국 각지에서 드론배송 서비스를 순차적으로 개시했다.이 사업은 국토교통부가 주관하고 항공안전기술원에서 수행하는 드론 실증도시 구축사업(’19~)의 일환으로 2024년부터 본격적으로 추진됐다.2025년에는 2024년에 이어 13개 지자체가 참여하고 새롭게 10개 지자체가 추가되어 총 23개 지자체에서 드론배송 서비스를 운영하고 있다.연속 지자체는 양주시, 성남시, 포천시, 인천광역시, 공주시, 서산시, 남원시, 여수시, 김천시, 통영시, 울주군, 창원특례시, 제주특별자치도 등이다.신규 지자체는 시흥시, 안양시, 이천시, 원주시, 보령시, 대전광역시, 김제시, 고흥군, 영주시, 상주시 등이다.▲ 항공안전기술원, K-드론배송 사용화 사업 추진 현황 [출처=항공안전기술원]항공안전기술원은 각 지자체가 사업을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담당 PM 제도를 운영하며 정기·수시 점검을 통해 체계적으로 관리를하고 있다. 각 지자체의 특성에 맞는 위험 요소를 식별하고 이를 해결할 방안을 제시하여 안전 관리에 철저를 기하고 있다.또한 ‘K-드론배송 표준안’을 준수해 각 지자체가 안정적으로 드론배송 서비스를 운영할 수 있도록 배송 인프라 구축과 정책 지원을 병행하고 있다.▶드론배송 거점 및 배달점 : GPS 좌표 도출, 컨테이너 및 이착륙장 등 시설물 설치▶비행로 설계 및 검증 : 드론배송 비행로 설계 및 검증▶드론 안전 관리 시스템 : 드론 안전 관리 체계 구축▶드론 식별 장치 및 관리시스템 : 실시간 드론 위치 확인 및 관리특히 2025년부터는 배송 거점에 기체 자동 점검 시스템과 드론 배터리 안전함을 새롭게 도입해 여름철 폭염·과열 사고를 예방하고 철저한 안전관리를 강화하고 있다.비가시권·야간 비행 특별비행승인 제도를 통해
-
▲ K-드론 배송 상용화 사업 드론 배송거점[출처=항공안전기술원]항공안전기술원(원장 이대성)에 따르면 '드론 실증도시 구축사업'으로 지자체별 지역 특성 맞춤형 드론 활용 서비스를 지원하고 있다. ‘드론 실증도시 구축사업’은 2019년부터 국토교통부의 주관으로 항공안전기술원에서 수행하고 있으며 지자체가 지역 특성에 맞는 드론 활용 모델 등을 발굴해 공공서비스에 적용하는 사업이다.2023년까지 총 40개 지자체를 지원했으며 드론 활용사업의 가능성을 넓히고 지역 특성에 맞는 드론 활용모델의 시험·적용을 돕고 있다.‘드론 실증도시 구축사업’을 통해 발굴한 드론 활용 비즈니스 모델을 다수의 지자체에서 행정서비스에 활용하고 있으며 국민 일상의 편리성을 높여주고 있다.▲ 드론 실증도시 구축사업 성과(연도별 드론 실증도시 지자체 표)[출처=항공안전기술원]또한 2024년 ‘K-드론배송 상용화 사업 추진계획’에 따라 15개의 지자체를 지원하고 있다. ‘K-드론배송 상용화 사업 추진계획’은 드론 배송의 조속한 상용화를 위해 국토교통부가 2023년 12월 발표했다. ‘K-드론배송 상용화 표준모델’과 ‘K-드론배송 가이드라인’으로 구성됐다.이는 드론의 배송거점과 배달점* 등 인프라 구축과 인프라 시설에 기반한 배송 비행로 설계와 더불어 국제기준에 부합하는 비행테스트를 거쳐 드론 배송 안전관리시스템까지 구축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GPS 좌표 도출, 드론배송거점(센터) 및 배달점 시설물(이·착륙장, 물류 시설 등) 설치이에 따라 이번 드론 배송 상용화를 수행하는 14개 지자체에서는 섬·공원·항만으로 구분한 배송거점과 배달점 지정, 배송 비행로 설계 및 비행 테스트를 완료했다. 8월부터 본격적으로 드론 배송 상용화 사업을 개시하고 있다.▲ 드론 실증도시 구축사업 성과(실증도시별 드론
-
2021-05-11영국 드론운송서비스업체 스카이포츠(Skyports)에 따르면 케냐에 드론 물류 네트워크를 구축하기 위해 케냐항공(KA)과 MOU를 체결했다.케냐 정부는 드론을 활용한 새로운 물류체계 도입을 검토하고 있다. 의료용품의 보급에서 일반 상품의 배송, 이후에는 각종 조사업무까지 적용한다는 방침이다.드론 물류 네트워크는 정부가 일부 지분을 소유한 케냐항공의 기존 물류망을 활용해 구축한다. 기존 인프라를 고도화하기 위해 영국 스카이포츠의 드론 배송 기술이 필요한 것이다.스카이포츠는 드론의 비가시권(BVLOS) 운행에 필요한 기술력을 갖추고 있다. 2020년 12월 로열 메일과 실험한 스코틀랜드 멀섬 드론 택배를 성공한 핵심 기업이기 때문이다.이러한 기술력은 케냐 정부가 본 사업에 스카이포츠를 파트너로 선정하는 데 크게 기여했다. 스카이포츠는 영국 정부로부터 비가시권 의료용 드론 배송 승인까지 획득한 상태다.드론 물류 네트워크 구축 사업은 향후 케냐의 물류비 절감과 항공서비스 발전을 이끌 것으로 전망된다. 드론 배송의 첫 시작은 2021년 3~4분기로 예정돼 있다.▲배송용 드론에 의료용품을 싣고 있는 모습(출처 : Skyports 홈페이지)
-
2019-01-30일본 통신서비스업체 라쿠텐(楽天)에 따르면 2019년 소외 지역을 중심으로 드론(Drone) 정기 배송서비스를 시작할 예정이다. 국내 최초로 상품을 구입한 소비자가 드론으로 제품을 배송받게 된다.지난 1월 25일 라쿠텐은 사이타마현 치치부시(埼玉県 秩父市)에서 실증 실험을 진행했다. 실험에서 드론 조종사가 드론조종기에 착륙지점을 지정한 후 3km 목적지까지 비행 중 조작 없이 10분간 비행에 성공했다.풍향과 풍속 등 영향을 계산해 자동으로 경로를 조정할 수 있다. 철탑의 위치 등이 포함된 3차원 데이터를 기준으로 도쿄전력의 송전망 위를 비행했다.지난 2018년 국토교통성은 항공법 비행안전 기준을 드론의 비가시권 비행이 가능하도록 개정했다. 2019년에는 터널 및 교량 등 인프라 정기점검 시 육안 요구사항을 완화해 상업적으로 드론을 활용하기로 결정했다.글로벌 회계법인인 PwC는 2024년 드론 배송 등 드론을 이용한 국내 상용서비스 잠재 시장 규모가 2530억엔에 이를 것으로 전망했다. 2024년 국내 드론 기체시장 규모는 2530억엔에 이를 것으로 예상된다.PwC는 드론 배송을 포함한 글로벌 드론 상용서비스의 잠재 시장 규모가 $US 1270억달러로 성장할 것으로 내다봤다. 4차 산업혁명의 핵심 아이콘인 드론이 점점 실생화로 들어오고 있는 것이다.▲ Rakuten Drone▲라쿠텐(楽天) 드론(출처 : 홈페이지)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