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1
" 라구나"으로 검색하여,
4 건의 기사가 검색 되었습니다.
-
▲ 포스 말레이시아(Pos Malaysia) 홍보 이미지[출처=포스 말레이시아 홈페이지]2024년 8월22일 동남아시아 경제는 말레이시아와 필리핀을 포함한다. 우편 서비스업체 포스 말레이시아(Pos Malaysia)의 2024년 상반기 순손실은 전년 5467만 링깃에서 7561만 링깃으로 증가했다.대량 우편물과 국제 우편 처리량이 감소하며 우편 부문 매출이 10% 감소했다. 민간 물류업체와 경쟁이 점점 어려워지고 있다.필리핀 아얄라 그룹 에너지 부문 계열사 아센(ACEN)에 따르면 자회사 AC 수빅 솔라(AC Subic Solar), AC 라구나 솔라(AC Laguna Solar), 솔라에이스4 에너지(SolarAce4 Energy)를 통해 라구나 호수 표면에 부유형 태양광(FPV) 발전 시설을 건설한다. 아센은 2027년까지 478억9000만 페소를 투자한다.◇ 포스 말레이시아(Pos Malaysia), 2024년 2분기 순손실 5592만 링깃으로 107% 증가우편 서비스업체 포스 말레이시아(Pos Malaysia)의 2024년 2분기 순손실은 5592만 링깃으로 전년 2700만 링깃과 비교해 107% 증가했다. 2024년 상반기 순손실은 전년 5467만 링깃에서 7561만 링깃으로 증가했다.매출은 우편 및 물류 부문에서 낮은 실적을 보이며 4억4343만 링깃으로 4.6% 감소했다. 대량 우편물과 국제 우편의 처리량이 감소함으로써 우편에 대한 매출이 10% 감소한 것으로 분석된다.물류와 관련된 매출액은 6720만 링깃으로 전년 동기 7990만 링깃과 비교해 감소했다. 자동차 및 화물 사업에 대한 수요가 줄어들었기 때문이다.항공 부문 매출은 기내식 사업이 공헌해 8800만 링깃을 기록했다. 이는 2023년 2분기 7310만 링깃보다 증가했다.◇ 필리핀 아센(ACEN), 라구나 호수에 부유형 태양광(FPV) 발전 시스템 구축에 478억9000만 페소 투자필리핀 아얄라 그룹 에너지 부문 계열사 아센(ACEN)은 라구나 호수에 최대 용량 1120메가와트피크(MWp) 부유형 태양광(FPV) 발전 시스템을 설치한다. 478억9000만 페소 상당의 태양광 사업으로 루손 지방에 에너지를 공급하기 위한 목적이다.아센은 자회사 AC 수빅 솔라(AC Subic Solar)를 통해 라구나주 빅토리아와 산타크루즈 지역에 용량 280MWp를 설치한다. 호수 표면 200헥타르를 덮는 2개의 블럭으로 구성돼 있으며 1블럭당 62억5000만 페소다.이외 AC 라구나 솔라(AC Laguna Solar)가 빅토리아와 필라에 위치한 호수 표면에 용량 280MWp의 태양광 발전을 설치할 예정이다.그리고 솔라에이스4 에너지(SolarAce4 Energy)는 62억5000페소를 투입해 산타크루즈 지역에 용량 140MWp을 설치한다. 이상 3개의 프로젝트는 2025년 3분기부터 2027년까지 진행한다.
-
2017-01-26미국 맥도날드는 2017년 필리핀 현지에 최소 45개의 점포를 오픈하는 것과 라구나주 카룸바시에 육류제조공장을 신설하는 사업 등에 총 35억페소를 투자할 계획이다.2016년 말기준 맥도날드는 전국에 521개의 점포를 보유하고 있지만 그 중 80%가 수도권을 포함한 루손지방에 집중되어 있어 향후 비사야제도와 민다나오섬 진출을 강화하려는 것이다.맥도날드에 따르면 2016년 순이익은 전년 대비 70% 증가한 12억페소까지 확대될 전망이다. 또한 매출은 380억페소에서 2017년 410억페소까지 끌어 올릴 계획이라고 밝혔다.▲맥도날드 필리핀 홈페이지
-
필리핀 항만운영 및 화물취급업체인 ICTSI는 일본 유센그룹(NYK)과 합작한 완성차 보관기지 착공식을 루손지역 라구나주 카부야오시에서 개최했다고 밝혔다.1기 사업은 5000평방미터 규모의 창고를 건설하는 것으로 총 2800여대의 완성차를 보관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필리핀 정부는 자동차산업을 육성하기 위해 다양한 세제혜택을 제공하고 있다.▲ICTSI 홈페이지
-
2016-06-20일본계 미쓰비시자동차(MMPC)는 필리핀에서 소형차 '미라지'의 판매를 확대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필리핀 정부에서 '포괄적 자동차산업 진흥전략(CARS)'의 대상 차종으로 미라지를 선정한 것이다.CARS 프로젝트는 6년간 20만대 이상의 생산과 일정 규모 이상의 투자를 조건으로 정부가 1개 차종에 대해 최대 90억페소의 세금 혜택을 부여한다.MMPC는 약 43억페소를 투자해 라구나주의 공장을 강화하고 대상차종으로 선정된 해치백 '미라지'와 세단 '미라지 G4'를 2017년부터 생산할 계획이다.현재 미라지는 태국에서 수입해서 판매하는 방식이며 2015년 1.7만대가 판매됐다. MMPC측은 6년간 연평균 3.3만대를 판매하는 것은 쉽지 않겠지만 첫 해에 3.3만대 달성을 목표로 한다고 밝혔다.또한 MMPC측은 판매를 증가시키기 위해 차량 구매자를 위한 금융서비스를 준비하는 등 여러가지 전략을 펼쳐 판매를 확대시킬 계획이다.▲일본계 미쓰비시자동차(MMPC)의 'Mirage'(출처 : MMPC 홈페이지)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