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5
" 목표 대비"으로 검색하여,
42 건의 기사가 검색 되었습니다.
-
유아 토털문화기업인 메디앙스(MEDIENCE)는 육아 제품에 특화된 육아생활 용품을 생산한다. 1979년 보령장업으로 창립해 1997년 보령메디앙스로 상호를 변경했다. 2020년 메디앙스로 상호를 변경했으며 육아 제품의 생산부터 유통, 서비스 분야까지 운영하고 있다.주요 사업 부문 브랜드로는 △비앤비(B&B) △닥터아토(Dr.ato) △유피스(UPIS) △더퓨어(THE PURE) △타티네쇼콜라(Tartine et Chocolat) △뮤아 △올곧은 △아토마일드(ATOMild) 등이다. 국내를 비롯해 14여 개국에 자사 브랜드를 수출해 글로벌 운영을 진행하고 있다.메디앙스의 ESG(환경·사회·지배구조) 경영 현황을 진단하기 위해 홈페이지, 국가정보전략연구소(국정연) 데이터베이스(DB), 국정감사·감사원·사법기관 자료, 각종 제보 등을 참조했다.글로벌 스탠다드를 지향하며 개발된 ‘팔기(八旗)생태계(8-Flag Ecosystem)’ 모델을 적용해 메디앙스의 ESG 경영 현황을 진단해 봤다. ▲ 메디앙스(MEDIENCE)의 ‘팔기(八旗)생태계(8-Flag Ecosystem)’ 모델 평가 결과 [출처=iNIS] ◇ ESG 경영 계획 및 목표 미수립... 2024년 부채총계 390억 원으로 부채율 53.42%경영 모토인 ‘엄마의 또 다른 이름’ 하에 육아를 위해 필요한 임상의 과학적인 다양한 제품을 판매하고 있다. 제품군은 △스킨케어 △수유용품 △완구발육 용품 △패션 등이다. 2022년 반려동물 연관 사업 분야와 캐릭터 개발 및 상품 판매업 등 신사업을 추진 중이라고 밝혔다.경영 미션은 ‘First Lifemate 삶의 첫 번째 동반자, 메디앙스’로 밝혔다. 경영 비전은 ‘#1 Customer-Value Maker’로 하위 비전은 ‘We Design Lifetime Happiness
-
▲ 라이크라컴퍼니가 세번째 연례 지속가능성 업데이트와 2023년 회계 연도 글로벌 지속가능성 스코어카드 요약판을 발간했다고 발표했다. 이 문서는 2030년 지속가능성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당사의 진행 상황이 상세히 설명되어 있다[출처=라이크라컴퍼니]미국 라이크라 컴퍼니(The LYCRA Company)에 따르면 3번째 연례 지속가능성 업데이트(Sustainability Update) 및 2023년 회계연도 글로벌 지속가능성 스코어카드(Global Sustainability Scorecard) 요약판을 발간했다.이 문서에는 2030년 지속가능성 목표 달성을 위한 당사의 진전 상황이 상세히 설명되어 있다. 라이크라 컴퍼니의 지속가능성 프레임워크인 플래닛 어젠다(Planet Agenda)는 비즈니스의 모든 측면을 아우르고 있다.또한 제품 지속가능성, 제조 우수성, 기업의 책임이라는 3가지 핵심 요소를 포함하고 있다. 이들 문서에 설명된 지속가능성 목표는 이러한 핵심 요소를 중심으로 구성돼 있다. 유엔(UN)의 지속가능발전목표(Sustainable Development Goal, SDG) 중 5가지 목표와 연계돼 있다.라이크라 컴퍼니의 최고 브랜드 및 혁신 책임자인 스티브 스튜어트(Steve Stewart)는 “이번 지속가능성 업데이트는 보다 지속가능한 미래를 향한 회사의 장기적인 노력을 보여준다”고 말했다.“2030년 목표 대비 진전을 이루어 나가면서 의미 있는 변화를 이끌어 낸다는 포부를 실현하는 것에서 영감을 받아 ‘포부를 영향력으로 전환하기(Turning Ambition into Impact)’라는 주제를 정했다”고 설명했다.2023 지속가능성 업데이트의 주요 내용에는 키라(QIRA®)로 만든 바이오 라이크라(LYCRA®) 섬유 상용화의 진전, 퍼스널 케어 세그먼트를 위한 산업용 퇴비화 가능 라이크라® 섬유의 출시, 라이크라 어댑티브(LYCRA® ADAPTIV
-
일본 닛산자동차(日産自動車)에 따르면 향후 5년내 고급자동차 인피니티(インフィニティ)의 중국내 판매량을 2017년 대비 3배이상 판매목표를 설정했다. 향후 4개 차종의 신형 모델을 투입하고, 전기자동차(EV)로 전환을 통해 인피니티 판매량을 2017년 4만8000대에서 2022년까지 15만대로 확대한다는 전략이다.2017년 중국내 고급차 판매량은 250만대로 급속히 확대되고 있지만 미국의 12%, 독일의 30%, 일본의 10%이하로 성장가능성이 매우 높다고 판단하고 있다.또한 2017년 EV상용차를 제외한 중국내 신에너지 자동차 판매량은 46만~47만대를 기록했다. 하지만 2018년에는 EV판매량이 100만대를 초과할 것으로 전망된다.▲ Japan_Nissan Motors_Logo▲닛산자동차(日産自動車) 로고
-
중국 허베이성 장자커우시(河北省张家口市)에 따르면 석탄광산의 과잉생산능력을 해결하기 위해 18개의 광산을 폐쇄했다.또한 17개 광산에 대한 검수를 마쳐 추가로 폐쇄할 것인지 판단할 계획이다. 석탄생산능력을 443만톤을 감축하고 철강생산능력 68만톤을 줄여 2016년 목표 대비 초과 달성했다.2016년 장자커우시는 철강분야 생산능력을 8월까지 61만톤 감축할 계획이었으나 용광로 1기당 630입방미터를 감축해 총 68만톤을 줄였다.▲ China_Zhangjiakou_Homepage▲장자커우시(张家口市人民政府) 홈페이지
-
일본 전자기기업체 파나소닉(パナソニック)에 따르면 2018년까지 인도에서 냉장고의 현지생산을 시작할 계획이라고 밝혔다.당사는 2017년 3월까지 공장을 착공할 예정이며 기존의 현지 가전판매업체와 제휴를 통해 현재 대비 3배 확대한 연간 100만대의 판매목표를 수립했다.
-
일본 미쓰비시중공업(三菱重工業)은 2016년 10월부터 유럽에 룸 에어컨 ‘ZSX시리즈’와 ‘ZS시리즈’ 총 9기종을 순차적으로 생산 및 판매할 예정이다.에너지절약의 성능을 높이고 유럽 주택의 인테리어와 조화를 이루기 위해 이탈리아 디자인을 활용한 것이 특징이다. 향후 2017년 유럽 30개국에서 매출액 전년 대비 10% 확대를 목표로 한다.▲ZSX시리즈(좌)와 ZS시리즈(우) 이미지(출처 : 미쓰비시중공업)
-
일본 섬유제조업체인 미쓰비시레이욘(三菱レイヨン)은 2016년 9월 이탈리아 스포츠카업체 람보르기니와 탄소섬유복합재 분야로 공동개발을 시작한다고 발표했다.자동차의 부재로 사용하는 탄소섬유복합재의 가공시간을 단축하고 공정을 자동화하는 기술을 1년 내로 확립해 재료의 양산화 효율을 높이는 것이 목표이다.양산화 효율이 높아지면 보다 많은 부위를 탄소섬유복합재로 활용할 수 있기 때문에 차체의 무게가 가벼워지고 자연히 연비개선으로 이어지게 된다.람보르기니가 향후 발매할 신형차의 채용을 노린다.미쓰비시레이욘은 약 5년 전부터 람보르기니에 탄소섬유를 납품하고 있었으며 이번 합의를 계기로 가공방법의 개발까지 참가하게 됐다.구체적으로는 짧은 시간에 프레스가공을 하는 기술 등을 공동으로 개발한다. 또한 다양한 자동차업체와 협력 산업을 진행해 2020년을 목표로 탄소섬유 및 복합재의 매출액을 2015년 대비 70% 증가한 1000억엔으로 확대할 계획이다.▲ 1▲미쓰비시레이욘 홈페이지
-
일본 닛산자동차 중국법인 닛산차이나(Nissan China)에 따르면 8월 상용차, 수입차, 현지합작 둥펑닛산 등 총 판매대수는 10만3800대로 전년 동월 대비 16.6% 늘었다.1~8월 신차 판매량은 80만5500대로 전년 동기 대비 5.9% 증가했으며 소형차 및 SUV 판매가 늘어 났기 때문이다.특히 2015년 가을까지 판매 부진에 시달렸으나 중국 정부가 2015년 10월부터 시행한 배기량 1.6리터 이하 소형차 감세 정책의 영향으로 판매가 회복됐다.따라서 닛산자동차는 2016년 전체 예상판매량을 전년 대비 4% 증가한 130만대를 목표로 하고 있다.▲ China_Nissan China_Homepage▲닛산차이나 홈페이지
-
일본 식품기업 아지노모도(味の素)는 태국 자회사에 8억 바트를 투자해 조미료 'Ros Dee'의 생산능력을 증강할 계획이라고 발표했다. 2017년 8월에 현재 대비 40% 증강하는 것이 목표다.아지노모도는 적극적인 마케팅을 통해 2011년 이후 Ros Dee의 판매량을 평균 5%씩 성장 시켜왔다. 회사 측은 지속적인 수요의 증가에 따라 이번 투자를 결정했다고 주장했다.
-
일본 전자기기제조업체 닛신보홀딩스(日清紡ホールディングス)는 2016년 8월 자동차용 브레이크의 핵심부품인 ‘마찰재’의 구리사용을 ‘0’에 가까이 억제한 제품을 일본과 미국에서 생산한다고 밝혔다.미국에서 마찰재의 구리사용에 대한 규제강화에 대응하기 위해서다. 일반적인 마찰재의 생산능력을 확대해 2023년 마찰재의 사업매출액을 2015년 대비 30% 증가한 2300억 엔을 목표로 한다.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