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2
" 배기가스"으로 검색하여,
18 건의 기사가 검색 되었습니다.
-
▲ 일본 국토교통성(国土交通省) 빌딩 [출처=홈페이지]일본 국토교통성(国土交通省)에 따르면 엔진 제조업체인 IHI원동기(IHI原動機)가 2003년 이후 출하한 4361대 엔진의 연료 소비율 데이터를 변조한 것으로 드러났다.IH원동기는 2024년 4월24일 국토교통성에 엔진 시운전 후 거래처에 보고하는 성적서에 실제 측정된 연료 소비율과 다른 수치를 기재했다고 보고했다.2003년 이후 국내외로 출하한 선박용 및 육상용 엔진은 총 5500대로 집계됐다. 이 중 4361대에서 데이터의 개조가 행해졌다. 2058대는 거래처와 합의한 값을 채우지 않았다.IHI원동기의 모회사인 IHI는 특히 해외 선박용 엔진 일부에서는 배기가스의 배출량이 기준을 초과할 가능성마저 제기된다고 밝혔다. 발전장비나 철도차량 등에 사용하는 육상용 엔진에서도 데이터 변조가 있었다.1980년대 후반부터 연비 데이터를 잘 보여주거나 데이터의 편차를 조정하기 위해 변조했다는 증언마저 나오고 있는 실정이다.국토교통성은 IHI에 2003년 이전에 부적절한 행위가 있었는지, 변조가 행해진 엔진을 탑재하고 있는 선박에 법령 위반 가능성이 없는지 등을 확인하라고 지시했다.참고로 IHI는 2019년 자격이 없는 직원이 항공기의 엔진, 부품 등을 검사하는 등 부정행위가 발각된 사례가 있다. 배기가스 문제 외 엔진의 안전성에 대한 우려는 없다는 입장이다.
-
르완다 정부에 따르면 2030년까지 오토바이 및 오토바이 택시의 30%를 전기연료로 전환할 계획이다. 버스의 20%, 소형 및 초소형 버스의 25%도 동일하게 조치한다.화석 연료 차량 및 운송 수단의 전기 전환은 배기가스를 감소시키는 데 영향을 줄 것으로 판단된다. 특히 전기 오토바이 택시는 화석 연료 차량들이 도로를 장악하고 있는 르완다에서 기후변화를 이끄는 데 도움을 줄 것으로 분석된다. 배터리 1개는 최대 60km까지 달릴 수 있고 가격은 900르완다 프랑(Rwandan francs)이다. 1000르완다 프랑의 휘발유 1리터와 비교해보면 35km밖에 안 되기 때문에 경제적으로 라이더들에게 유리하다.단점은 여전히 광범위한 충전 네트워크가 부족하다는 것이다. 국내 전기차량 개조 및 제조업체인 르완다 일렉트릭 모터(Rwanda Electric Motors Limited)는 2021년 12월 현재까지 80대의 화석 연료 오토바이를 전기 오토바이로 개조했다.또한 순수 전기 오토바이 200대를 신규로 출시했다. 전력 전환정책은 르완다 정부와 유엔(UN) 개발 프로그램의 자금지원을 받을 수 있다.▲정부(Republic of Rwanda) 홈페이지
-
영국 자동차제조사인 재규어 랜드 로버(Jaguar Land Rover)에 따르면 2021년 연말까지 수소연료전지 구동 디펜더를 개발하고 시제품 테스트를 시행할 계획이다. 2036년까지 종단배기관인 테일파이프의 배기 가스 배출을 제로(0)화하기 위함이다. 2021년 6월 현재 수소 연료전지 구동 디펜더의 시제품을 제작 중이다. 자사의 상징적인 SUV 차량에 시제품을 장착한 후 테스트를 시작할 계획이다. 수소연료전지는 수소와 산소를 결합해 전기를 생산하고 물만 배출하면 차량에 동력을 공급할 수 있다. 수소연료전지는 빠른 충전을 가능케 하고 에너지 밀도가 높아 대형 및 장거리 차량에 이상적이라고 판단한다. 또한 수소연료전지로 구동되는 차량은 저온에서 최소한의 온도 손실을 보이기 때문에 추운 환경에서도 성능이 우수하다.재규어 랜드 로버는 2039년까지 공급망, 제품 및 운영 전반에 걸쳐 탄소배출량이 제로(0)에 도달하기를 희망하고 있다. 2021년 2월 상기 목표 달성을 위해 2025년부터 전기자동차만 생산하겠다고 발표했다.▲재규어 랜드 로버(Jaguar Land Rover) 홈페이지
-
2021-03-23미국 글로벌 금융기업인 JP모건(JP Morgan)에 따르면 2021년 남아프리카공화국 로듐(rhodium)의 매출이 증가할 것으로 전망한다. 치솟고 있는 로듐 가격 때문이다.2021년 남아프리카공화국 4대 백금족 금속그룹(PGM)생산업체들 중 로듐 생산업체들이 창출할 매출이 전체 백금족 금속그룹 매출의 53%에 기여할 것으로 예상된다. 2021년 3월 중순 로듐 가격은 1온스당 US$ 2만5500달러에 거래되고 있다. 지난달인 2월에는 1온스당 2만4900달러였다. 로듐은 자동차 배기가스 정화장치인 촉매변환기와 화학공업 촉매로 주로 사용된다. 또한 장신구 도금에도 많이 필요하지만 지구 상에 매장량이 적어 생산량도 부족해 값비싼 금속에 속한다.▲JP모건(JP Morgan) 홈페이지
-
독일 자동차제조업체 폭스바겐(VW)에 따르면 배기가스 배출테스트로 인해 최대 25만대의 자동차 출고가 연기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배출가스를 조작한 것이 발각된 디젤게이트 이후 새로운 엔진에 대한 배출가스 점검을 강화하고 있는 것이 주요인이다. 생산된 차량의 출고가 늦어지면서 재고가 늘어나 주차장 마련이 주요 현안으로 떠올랐다.2018년 8월부터 9월말까지 1주일 1~2일정도 공장가동도 중단할 계획이다. 완성차 출고가 지연되면서 부품업체의 생산차질도 불가피할 것으로 전망된다.▲폭스바겐(VW) 로고
-
필리핀 감사원(COA)에 따르면 차량의 배기가스테스트장비 구입을 위한 P4억3700만페소 상당의 프로젝트를 승인했다.2008년과 2009년 2억941.8만페소로 11대를 구매했지만 너무 오래되어 고장나서 일부만 운용되고 있기 때문이다. 차량의 배기가스를 통제하는 것이 대기오염을 줄이는데 결정적인 역할을 하고 있다.현재 대부분의 운전자는 민간 배기가스테스트 센터에서 점검을 받고 있다. 예산을 투입해 장비를 구입하더라고 차량 소유주에게 점검 수수료를 받을 경우에 구입비용을 쉽게 충당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필리핀 감사원(COA) 로고
-
▲ 싱가포르 육상교통청(LTA) 홍보 자료 [출처=홈페이지]싱가포르 육상교통청(LTA)에 따르면 2018년 1월 1일부로 국내에서 판매되는 신규 자동차에 '배기가스라벨'을 부착해야 한다.기존에 탄소배출할증제도(VES)를 대체하기 위한 수단으로 종류별 배기가스 배출량에 따라 환급금 및 추가료가 적용될 예정이다.배기가스 종류는 탄화수소, 일산화탄소, 질소산화물, 이산화탄소, 입자상물질 등 총 5가지이며 배출구간은 5개 범위로 분류된다.예로 이산화탄소 배출량이 90g/km보다 적을 경우 S$ 2만달러의 환급금이, 185g/km을 초과할 경우 2만달러의 추가료가 발생된다.또한 배출량 중간치에 해당되면 환급금과 추가료가 적용되지 않는다. 참고로 배출량 범위는 A1, A2, B(중간치), C1, C2로 구분돼 있다.참고로 배기가스라벨정책은 2018년 1월 1일부로 시행되지만 모든 차량에 대한 라벨 등록은 2018년 6월 30일까지 완료해야 한다.현재 해당정책을 기획 및 시행하고 있는 기관은 육상교통청(LTA)과 환경청(NEA)이다. 곧 차세대 친환경정책도 발표할 예정이다.
-
2017-05-11일본 유리제조업체 닛폰가이시(日本ガイシ)에 따르면 2020년까지 디젤 자동차용 배기가스 정화장치의 생산을 확대시킬 계획이다.환경규제 강화, 신흥국 자동차 수요 증가 등으로 글로벌 정화장치시장이 지속적으로 확대될 것으로 판단했기 때문이다.이에 당사는 태국, 중국, 폴란드 등을 중심으로 투자해 연간생산능력 약 200만개를 목표로 수립했다. 현재 대비 약 30% 늘린 것이다.▲닛폰가이시(日本ガイシ) 홈페이지
-
중국 환경보호부(环境保护部) 및 국가질량감독검험검역총국(国家质量监督检验检疫总局)에 따르면 경형자동차의 차기 배기가스 기준 '국6(国6)'를 발표했다. 국6는 국5 대비 배출가스 규제치를 40~50% 축소했다.전면 이행시기는 차량 제조업체의 준비 기간을 고려해 국6a, 국6b 등 2단계로 나눴다. 중국시장에 판매 및 등록된 모든 차량에 대해 국6a는 2020년 7월까지, 국6b는 2023년 7월까지 기준을 충족해야 한다.국6a는 유럽연합의 최신기준 유로 6보다 약간 높고 미국 최신기준 Tier3보다 느슨한 수준이다. 국6b는 2020년에 시행되는 미국 Tier3의 평균치에 근접할만하다.또한 처음으로 차량의 배기가스 측정 시험시 도로에서 실측하도록 규정했으며 가솔린차와 디젤차 규제치를 통일했다.중국 배기가스 규제 프로그램 국5까지는 유럽 배기가스 기준을 참고해 제정했으나 국6는 중국 국가상태를 고려한 자체 기준을 처음으로 적용했다.중국은 설계 총중량이 3.5톤이하 승용차 및 상용차를 경형자동차로 구분하고 그 이상을 중형자동차로 분류하고 있다. 2015년말기준 중국내 자동차 보유대수는 1억7000만대로, 이중 경형자동차는 약 1억5000만대에 이른다.▲ China_MoEP(Ministry of Environmental Protection)_Homepage▲중국 환경보호부(中华人民共和国环境保护部) 홈페이지
-
일본 니폰유센(日本郵船)에 따르면 2016년 11월 벨기에에서 액화천연가스(LNG)를 연료로 사용가능한 ‘자동차전용선박’을 취항시켰다고 밝혔다.전 세계적으로 선박의 배기가스규제가 강화되고 있기 때문에 당사는 중유에서 환경부하가 낮은 LNG로 연료를 전환한 것이다.
1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