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1
" 배송서비스"으로 검색하여,
9 건의 기사가 검색 되었습니다.
-
▲ 일본 드론 배송업체인 에어로넥스트의 드론 이미지 [출처=홈페이지]일본 드론 배송업체인 에어로넥스트(エアロネクスト)에 따르면 2023년 12월11일 홋카이도(北海道) 카미사포로쵸에서 '레벨 3.5'의 비행에 의한 드론 배송서비스를 성공했다.드론이 자율비행을 통해 신문을 배송한 것이다. 기존에는 마을 외곽에 떨어진 주택까지 신문을 배달하려면 최소한 1일이 더 소요됐다.하지만 11일 배송은 드론이 보조자나 표지가 없는 상태에서 4킬로미터(km) 남은 주택까지 신문을 배달했다. 산을 따라 사람이 없는 농지 상공에도 자율 비행이 가능해진 것이다.'레벨 3'은 지상의 보조자나 표시판을 사용해 사람이 없는 장소에서 비행하는 것이며 '레벨 4'는 시가지의 상공을 날아가는 기준을 말한다.따라서 '레벨 3.5'는 레벨 3.0과 레벨 4.0의 중간으로 보조자나 표지가 없는 상태에서 사람이 없는 장소의 상공을 비행할 수 있는 기준이다.
-
2021-06-17일본우편(日本郵便)에 따르면 2023년까지 드론을 활용한 우편 배송서비스를 시행할 계획이다. 신속한 우편 전달과 비용 절감을 위한 목적이다.드론 우편배송은 자율제어시스템연구소(Autonomous Control Systems Laboratory Ltd., 이하 ACSL)와 공동으로 시행하며, ACSL이 드론 기술 부문을 전적으로 담당한다.일본우편은 ACSL에 드론 우편배송과 관련된 개발예산 ¥ 29억6800만엔을 집행할 계획이다. 드론 자율비행 시스템, 우편 및 소포 배달용 드론 등을 개발하기 위함이다.드론 우편 배송이 시작되면 우선 산간 지역과 외딴 섬을 대상으로 서비스를 제공할 방침이다. 특히 크고 작은 섬들이 많은 만큼 인편보다는 드론이 더욱 효율적일 것이라는 판단이다.해당 서비스의 걸림돌은 비가시권(BLVOS) 비행에 관한 항공 규칙이다. 별도의 항공교통통제 시스템이 마련돼야 가시권 밖 원거리 비행이 가능하기 때문에 추후 제도적 개선이 필요하다.현재 일본 정부와 기업은 드론 물류 배송과 동시에 사람을 수송할 수 있는 드론 택시에도 대대적인 투자를 전개하고 있다. 국가 전체를 드론 교통 인프라로 구축하는 것이 주요 목표다.▲자율제어시스템연구소(ACSL) 홍보자료(출처 : 홈페이지)
-
2021-06-08미국 대형 식료품소매업체 크로거(Kroge)에 따르면 2021년 6월 9일부터 소형 드론으로 식료품 배송 서비스를 출시할 예정이다.크로거는 이번 드론 배송 서비스를 위해 드론익스프레스(Drone Express)와 파트너십을 체결했다. 이에 따라 지난 5월, 양사는 오하이오주 센터빌에 소재한 크로거 매장 인근에서 드론 배송 테스트를 진행했다.실험 결과에 만족한 양사 경영진은 드론 식료품 배송 서비스를 정식 출시하기로 결정했다. 이미 배송용 드론 제조 및 테스트, 물류 기반 시설인 먼로 허브(Monroe hub)도 구축했다.먼로 허브는 드론익스프레스에서 설치한 7200제곱피트 규모의 통합 배송용 드론 운영시설이다. 드론 배송 서비스가 풀가동된다면 먼로 허브에 필요한 드론 전문인력만 최소 50명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크로거의 드론 배송 서비스는 스마트폰으로 이용할 수 있다. 배송에 사용될 드론은 최대 2.2kg 중량의 제품을 실을 수 있으며, 서비스 초기에는 단일 제품이 아닌 묶음용 제품만 가능하다.참고로 크로거는 1883년 설립된 미국의 대표적인 장수 소매기업이다. 2020년 하반기 기준 2920여개의 슈퍼마켓을 운영하고 있다.▲크로거 드론 배송 서비스 소개(출처 : 홈페이지)
-
2019-01-30일본 통신서비스업체 라쿠텐(楽天)에 따르면 2019년 소외 지역을 중심으로 드론(Drone) 정기 배송서비스를 시작할 예정이다. 국내 최초로 상품을 구입한 소비자가 드론으로 제품을 배송받게 된다.지난 1월 25일 라쿠텐은 사이타마현 치치부시(埼玉県 秩父市)에서 실증 실험을 진행했다. 실험에서 드론 조종사가 드론조종기에 착륙지점을 지정한 후 3km 목적지까지 비행 중 조작 없이 10분간 비행에 성공했다.풍향과 풍속 등 영향을 계산해 자동으로 경로를 조정할 수 있다. 철탑의 위치 등이 포함된 3차원 데이터를 기준으로 도쿄전력의 송전망 위를 비행했다.지난 2018년 국토교통성은 항공법 비행안전 기준을 드론의 비가시권 비행이 가능하도록 개정했다. 2019년에는 터널 및 교량 등 인프라 정기점검 시 육안 요구사항을 완화해 상업적으로 드론을 활용하기로 결정했다.글로벌 회계법인인 PwC는 2024년 드론 배송 등 드론을 이용한 국내 상용서비스 잠재 시장 규모가 2530억엔에 이를 것으로 전망했다. 2024년 국내 드론 기체시장 규모는 2530억엔에 이를 것으로 예상된다.PwC는 드론 배송을 포함한 글로벌 드론 상용서비스의 잠재 시장 규모가 $US 1270억달러로 성장할 것으로 내다봤다. 4차 산업혁명의 핵심 아이콘인 드론이 점점 실생화로 들어오고 있는 것이다.▲ Rakuten Drone▲라쿠텐(楽天) 드론(출처 : 홈페이지)
-
2018-12-07미국 인터넷 전문매체 크런치베이스(Crunchbase)에 따르면 북미 지역에서 배송용 로봇을 개발하는 기업은 최소한 8개 이상인 것으로 드러났다.실리콘벨리에 소재하고 있는 Nuro는 자동배달 로봇을 개발하고 있으며 최근까지 $US 9200만달러의 투자금을 확보했다. 구글의 모회사인 알파벳이 투자한 웨이모(Waymo)의 개발자들이 창업했다.다른 회사인 Starship Technologies는 독일 글로벌 자동차제조업체인 다임러가 지원하고 있다. 중국의 텐센트는 Marble, 일본 자동차제조업체인 도요타는 Boxbot에 각각 투자했다.대부분의 관련 기업들은 샌프란시스코에 위치해 있는데 이는 우버, 테슬라, 웨이모 등과 같은 기업에서 퇴사한 엔지니어를 확보하기 위한 목적이다.일부 업체들은 피자배달과 같은 단순한 업무에 로봇을 투입해 실증실험을 전개하고 있다. 현재 로봇의 개발비와 운영비가 사람보다 비싼편이지만 기술개발에 대한 투자는 여전히 확대되고 있다.▲웨이모(Waymo)의 자율주행자동차 이미지(출처 : 홈페이지)
-
오스트레일리아 우정국(Australia Post)에 따르면 국내 대형 온라인소매업체 40곳 이상과 무료 배송서비스 제공 계약을 체결했다.Booktopia, Myer, Target, Toys ‘R’ Us, Cotton On, Showpo 등과 같은 온라인소매업체는 우정국과 이번 협약으로 아마존(Amazon)의 국내 사업 진입에 대비할 계획이다.고객은 $A 9.95달러에 Shipster회원 가입이 가능하며 서비스기간은 2017년 10월 10일~2018년 1월 1일까지다. 2018년 1월 1일 이후 월 6.95달러의 회비에 쇼핑지출 20달러 미만에도 무료배송이 가능해진다.회원은 협약된 40여곳 이상의 온라인 소매업체에서 전체 25달러 이상 지출할 때마다 무료로 배송을 받을 수 있다. 월 1회 추가 무료 배송서비스도 제공받게 된다.Shipster회원은 다가오는 복잡한 크리스마스 쇼핑시즌을 피할 수 있으며 온라인 소매업체는 보다 나은 온라인 거래를 제공해 경쟁력을 갖출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문제는 이 서비스가 대도시인 시드니, 멜버른, 브리즈번 등에서만 실시된다는 것이다. 전문가들은 이러한 서비스를 시골지역까지 확대하고 대형 물건에 대한 배송서비스도 저렴하게 제공해야 아마존과 경쟁할 수 있다고 조언한다.▲우정국(Australia Post) 로고
-
2017-09-21대만 훼미리마트에 따르면 일본 훼미리마트와 공동으로 점포간 배송서비스를 시작하기로 결정했다. 우선 대만 발송-일본수취 서비스를 시작하고 가까운 장래에 양국에서 발송 및 수취가 가능하다.발송에서 수취기간은 4~6일 소요되고 발송 요금은 3kg에 $NT 749달러이다. 대만-일본간 관광객이 증가하면서 소포 및 수하물 택배수요가 차츰 증가하고 있기 때문이다.대만 내 훼미리마트 3100점포, 일본 내 1만8000개의 점포에서 이용이 가능하다. 대만 훼미리마트의 2016년 점포간 배송 이용건수는 3400만건으로 2008년 도입 초기 대비 700배 성장했다.대만-일본 점포간 서비스 금지품목은 리튬전지, 고압가스스프레이, 육류제품 증명서류, 현금, 유가증권 등이다.▲ Taiwan_Familymart_Logo▲대만 훼미리마트 로고
-
뉴질랜드우정국(NZ Post)에 따르면 2017년 8월 14일부터 Warehouse Group과 협업해 2개월동안 온라인 쇼핑객들을 위한 새로운 무제한 배송서비스를 론칭할 계획이다.북섬지역에서 새로운 무제한 배송서비스 수수료는 $NZ 12달러로 책정됐다. 북섬에 거주하는 온라인 쇼핑객이 대상이며 시골지역으로 배송은 제한된다.우정국은 편지의 사용이 급격하고 줄어들고 있지만 온라인 소포는 늘어나고 있어 이러한 서비스를 개발했다. Warehouse Group은 온라인, 오프라인으로 할인점과 백화점을 운영하는 유통업체다.▲뉴질랜드우정국(NZ Post) 홈페이지
-
▲ 일본 전자기기업체 파나소닉 공장 전경 [출처=홈페이지]일본 전자기기업체 파나소닉(パナソニック)은 2016년 11월 1일부터 야마토운수와 택배 배송 서비스를 시작한다고 밝혔다.해당 서비스는 스마트시티에서 정보기술(IT)를 활용한 것으로 자택 TV로 배송날짜를 지정하거나 식품 배달을 주문할 수 있다. 재배달에 따른 비용을 절감하기 위해서다.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