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1
" 배터리 팩"으로 검색하여,
9 건의 기사가 검색 되었습니다.
-
2025-03-31▲ LG에너지솔루션 ‘쿠루(KooRoo)’의 교환형 배터리 팩[출처=LG에너지솔루션]LG에너지솔루션(대표이사 김동명)에 따르면 2025년 3월31일 ‘BSS(배터리 교환 스테이션)’, ‘전기 이륜차 교환형 배터리 팩’ 부문에서 한국기계전기전자시험연구원(KTC)이 발행하는 KS(국가표준) 공인성적서를 국내 최초로 획득했다.국내 기업 중 처음으로 배터리 교환 스테이션(BSS·Battery Swapping Station) 보조금 지원 대상이 됐다. 환경부 등 정부가 추진 중인 전기 이륜차 보급사업 관련 표준 요건을 갖춘 ‘1호 기업’이 된 것이다.전기 이륜차 보급 및 확산, 배터리 구독형 서비스 시장 활성화를 위해 추진되고 있는 정부 지원 정책의 ‘필수 조건’을 갖춤으로써 보조금 혜택 등에 따른 효과 등을 기대할 수 있게 됐다.실제 환경부는 2월17일 ‘2025년 전기이륜차 보급사업 보조금 업무처리지침’ 및 ‘2025년 전기이륜차 배터리 교환형 충전시설 설치 보조사업 운영지침’을 확정 발표하며 “국가 표준에 해당하지 않는 배터리 교환형 충전시설에는 설치비용을 미지원”한다고 밝힌 바 있다.이번에 LG에너지솔루션이 획득한 KS 공인 인증 항목은 △ 전기·기계적 제원, 통신프로토콜, 성능·안정성·내구성 등 교환형 배터리 팩 △ 배터리 교환형 충전시설 등과 관련한 총 4건이다.LG에너지솔루션 측은 "그동안 배터리 교환형 전기 이륜차 시장에서 제작사별 상이한 제품 및 기준에 따른 비효율은 시장 성장을 가로막는 고질적 문제로 꼽혀왔던 것이 사실다"며 "국내 기업 중 처음으로 국가표준 요건을 획득함으로써 정부가 추진하는 표준화 시장 내에서 경쟁력을 한층 높일 수 있게 됐다"고 밝혔다.국내 전기 이륜차 시장은 성장 가능성이 높은 시장으로 꼽힌다. 특히 코로
-
2025-03-19▲ 두산밥캣의 완전 전동식 건설장비 T7X[출처=LG에너지솔루션]LG에너지솔루션(대표이사 김동명)에 따르면 두산밥캣(Bobcat, 대표이사 스콧 박)과 ‘소형 건설장비 배터리 팩 솔루션 개발을 위한 MOU’를 체결했다.LG에너지솔루션이 건설장비 시장으로 고객 및 제품 포트폴리오를 확장한다. 양사는 이번 협약을 통해 두산밥캣 건설장비 대표 모델의 전동화 프로젝트에 LG에너지솔루션 원통형 배터리를 탑재하기로 했다.또한 향후 다양한 제품에 확산 적용이 가능한 건설장비용 표준화 배터리팩을 공동 개발하고 북미 등 주요 시장 공략을 위해 협력하기로 했다.스키드로더(Skid-steer Loader), 굴착기 등 건설장비 외 트랙터와 같은 농업·조경용 장비(Ground Maintenance) 제품에도 전동화를 확대할 수 있도록 추가적인 사업 논의도 적극 진행하기로 했다.건설장비의 경우 사용 환경이 눈, 비 혹은 폭염 등에 그대로 노출되는 실외인 경우가 많고 작업 종류에 따라 크고 작은 출력을 반복적으로 수행해야 하기 때문에 제품 안정성이 필수적이다. 큰 온도차, 먼지, 긴 제품 운영 시간 등 극한의 환경 속에서도 안정적인 구동이 필수적인 조건이다.LG에너지솔루션 원통형 배터리는 고전압·고밀도·장수명 등 기본적 특성뿐 아니라 저온 환경에서도 우수한 성능을 발휘하고 높은 내구성을 갖추고 있다. 이번 양사 협력의 배경에는 LG에너지솔루션의 기술리더십이 크게 작용했다는 평가다.두산밥캣은 소형 건설장비 분야에서 글로벌 1위 기업이다. 최근 전동화를 본격 추진하고 있으며 지난 1월에 전동화 전담 조직을 신설했다.2025년 하반기에는 경기도 안양시에 자체 연구개발(R&D) 센터를 설립해 배터리 팩 제작 기술 검증을 하는 전동화 연구소를 출범할 예정이다.한편 LG에너지솔루션은 2024년 비전 선포를 통해 Non-EV 사업을 적극 확대해 균형있는 사업 포트폴리오를 구축한다고 밝힌 바 있다.에너지저장
-
세계 최고 혁신기업으로 불리는 애플(Apple)은 2024년 6월10일 세계 개발자 컨퍼런스(WWDC)에서 아이폰, 아이패드, 맥을 포함한 모든 기기에 인공지능(AI) 시스템 '애플 인텔리전스(Apple Intelligence)'를 적용한다고 발표했다. 언어, 시각적 이미지, 행동, 그리고 맥락까지 이해하는 AI는 인간의 표현을 지원한다. 2024년 상반기 글로벌 증권시장에서는 AI 관련 기업의 주가는 호황을 누렸다. 구글(Google)의 AI 클라우드, 마이크로소프트(Microsoft)의 생성형 AI, 애플의 온디바이스 AI, 엔비디아의 AI 반도체가 대표적이다.그동안 애플은 경쟁사들과 달리 AI 기술 부문과 관련해 뚜렷한 비전을 보이지 않아 'AI 지각생'이라고 불리면서도 '남다른 한 방'을 보여줄 것이라는 기대와 관심을 모았다.공개 직후에는 타사와 크게 차별화된 부분이 없어 혁신적이지 못하다는 반응이 잇따랐다. 애플의 혁신 의지와 미래 전략에 대해 알아보자.▲ 서학개미 투자가이드 애플 기업분석 [출처=iNIS]◇ 애플 인텔리전스 공개하며 성장 가도 달리지만 반독점 위반으로 소송 직면애플이 주력하고 있는 애플 인텔리전스(Apple Intelligence는 M1 칩 이상을 탑재한 아이폰 15 프로 및 프로맥스 등 최신 기기에서만 사용할 수 있어 아이폰, 아이패드, 맥 등의 교체 및 업그레이드 수요가 크게 늘어날 것으로 전망된다.이번 AI 효과로 구형 혹은 일반 모델 이용자의 수요를 자극해 슈퍼 사이클이 도래할 것으로 예측된다. 뱅크오브아메리카(BoA)는 2025년 아이폰 판매량이 2억4700만 대, 2026년 2억5700만 대에 각각 이를 것으로 분석했다.애플 인텔리전스 공개 이후 애플은 처음으로 주당 200달러를 돌파했다. 2024년 8월6일 기준 207.64달러로 최고점인 237달러에 비해서는 하락했지만 1년 최저점인 164달러와 비교하면 매우 높은 수준이다.애플은 오픈AI와 파트너십을 통해 AI 음성비서 '시
-
▲ 일본 혼다의 전기자동차 이미지 [출처=홈페이지]일본 혼다(ホンダ)에 따르면 2030년까지 전기자동차(EV)를 중심으로 하는 전동화와 소트프웨어 개발에 10조 엔을 투자할 계획이다. 기존과 비교해 투자금액이 2배 이상 확대된다.EV에 집중하고 있는 중국 자동차제조업체와 미국 테슬라에 대항하기 위한 목적이다. 혼다는 2022년에 2030년까지 전동화와 소프트웨어개발에 총 5조 엔을 투자한다고 밝혔다.하지만 이번에 2배로 확대한다고 공개한 것이다. 세부적으로 보면 소프트웨어 개발과 배터리에 각각 2조엔, 차세대 동장을 포함한 생산 영역에 6조 엔을 투입한다는 구상이다.특히 배터리는 EV의 비용 중 30~40%를 차지하고 있어 EV의 판매가격을 떨어뜨리기 위해 핵심적으로 노력해야 하는 분야다. 배터리의 자체 개발능력 확보와 안정적인 조달, 비용절감은 필수적이다.향후 북미에서 조달하는 배터리의 비용을 현행보다 20%이상 축소할 방침이다. 생산비용도 35% 이상 삭감해 2030년에는 EV의 영업이익률을 5%까지 끌어올릴 계획이다.2030년까지 소형부터 대형까지 7개 종류의 EV를 론칭할 예정이다. 일본에서도 2025년 모바일 파워팩 4개를 탑재한 초소형 모빌리티를 전개한다.2025년 3월기 북미에서 수요가 안정적으로 성장하는 하이브리드차(HV)의 판매량을 100만 대까지 끌어올린다는 구상이다. 2024년 3월기 판매량은 85만 대이다.
-
미국 시장조사업체인 팩트.MR(Fact.MR)에 따르면 2032년까지 글로벌 배터리 관리 시스템 시장의 규모가 US$ 323억달러에 이를 것으로 전망된다. 2022년과 2032년 사이 글로벌 배터리 관리 시스템 시장 규모의 가치는 연간 평균 성장률(CAGR) 19.6%를 기록할 것으로 예상된다. 산업기술과 운영의 융합이 증가함에 따르는 클라우드 연결 배터리 관리 시스템은 배터리 관리 시스템 시장의 성장을 촉진할 것이다.배터리 관리 시스템을 위한 클라우드 기반 분석 및 모니터링 프레임워크는 배터리와 관련된 알고리즘과 데이터를 분석하고 모니터링한다.이러한 프레임워크 기능은 최종 사용자에게 유용한 배터리 노후화 상태(SOH) 및 충전 상태(SOC) 추정치에 대한 중요한 정보를 제공한다. 또한 클라우드 기반 솔루션은 배터리 셀 노화의 상태와 관련된 정보를 제공한다. 배터리 운영을 위해 필수적인 배터리 고장을 온라인으로 통지한다.따라서 유사한 첨단 기술의 인기가 높아짐에 따라 시장에서 이해당사자들을 위한 사업전략에 혁신적인 변화가 일어날 것으로 예상된다.배터리 관리 시스템 시장의 주요 업체들은 다음과 같다. ▶Eberspaecher Vecture Inc. ▶Toshiba Corporation ▶AVL LIST GmbH ▶Lithium Balance A/S ▶Johnson Matthey Plc. ▶L&T Technology Services ▶Texas Instrument Inc. ▶NXP Semiconductors NV ▶Nuvation Engineering ▶Merlin Equipment Ltd. 등이다.▲팩트.MR(Fact.MR) 홈페이지
-
2022-01-27영국 정부에 따르면 국내 배터리 제조업체인 브리티시볼트(Britishvolt)가 노섬벌랜드 블라이스(Blyth)에 계획 중인 기가팩토리 건설을 지원할 계획이다.정부의 자동차혁신기금인 ATF(Automotive Transformation Fund)를 통해브리티시볼트는 원칙적으로 정부 지원을 받게 된다.브리티시볼트의전기차 배터리 제조공장인 블라이스 기가팩토리가 완공되면 연간 30만대 이상의 전기차에 충분한 배터리를 생산하게 된다.국내 자동차산업이 배출가스 제로(0) 미래로 전환하고 전기차 생산을 늘리는 데 큰 힘이 될 것으로 전망된다. 블라이스 기가팩토리에 대한 정부의 이번 지원은 민간 투자자들의 상당한 추가 지원을 이끌어내는 데도 도움이 될 것이다.국내 전기자동차 생산을 촉진하는 동시에 사업 기회를 높이고 산업 중심지의 지역 사회에 수천 개의 고도로 숙련된 일자리를 제공할 것이다. 3000개의 고숙련 직접 일자리, 5000개의 간접 일자리 등이 창출될 예정이다. 정부는 자동차혁신기금인 ATF에 이미£5억파운드의 자금을 지원한다고 밝혔다. 최근 추가로 3억5000만파운드를 지원한다고 발표했다.▲브리티시볼트(Britishvolt)의 배터리 제품(출처 : 홈페이지)
-
2021-11-08영국 고급 스포츠카 제조업체인 애스턴 마틴(Aston Martin)에 따르면 하이퍼카 발키리(Valkyrie)의 배송이 몇 주 앞으로 다가왔다. 세계에서 가장 독점적인 하이퍼카 (hypercar) 중 하나이다. 발키리는 게이돈에 있는 애스턴 마틴의 국내 공장에서 본격적인 생산에 들어갔다. 150대의 발키리는 각각 전용 생산 시설에서 장인들의 수작업으로 제작됐다.발키리 1대를 완성하는데 2000시간이 넘게 걸린다. 주문자들에게 인도 되기 전에 국내 시험장과 게이돈 공장 주변의 공공 도로와 실버스톤 등에서 광범위하게 시험 운행을 거치게 된다.발키리의 동력 발생과 전달장치인 파워트레인은 하이브리드 배터리 팩과 모터의 도움을 받아 총 1155마력(hp)의 출력을 낸다. 참고로 하이퍼카는 슈퍼카(supercar) 보다 더 높은 고성능 스포츠카를 일컫는다. ▲애스턴 마틴(Aston Martin)의 하이퍼카 (출처 : 홈페이지)
-
2021-06-01일본 글로벌 자동차제조사인 닛산(Nissan)에 따르면 2024년 영국에 배터리 초대형 제조시설공장인 배터리 기가팩토리(gigafactory)를 건설할 계획이다.전기자동차(EV) 전용 라인업으로의 전환을 지원하기 위함이다. 닛산은 영국 정부와 전기자동차 및 배터리 산업에 대한 선진화 협의도 진행 중인 것으로 드러났다.닛산은 영국을 자국 내 생산공장 이외의 해외 최대 생산 거점으로 만들기 위해 영국의 타인 앤드 웨어(Tyne and Wear) 지역에서 사업을 확대하고 있다.닛산은 최근 엔지니어링 파트너사인 엔비젼(Envision)이 운영하는 선덜랜드(Sunderland)의 배터리 생산 시설 확장 계획을 구체화시키고 있다. 영국에서 제조한 전기자동차인 리프(Leaf)를 위한 더 큰 배터리 팩을 공급하기 위함이다. 브렉시트 이후의 대외 무역 규칙을 준수하기 위한 목적이다.향후 선덜랜드 배터리 생산 공장은 20GWh의 생산 역량을 갖추게 된다. 이는 연간 20만개의 배터리를 생산할 수 있는 수준이다. 2027년까지 연간 30만개의 배터리 생산 능력을 갖출 것으로 전망된다. 공장 현장 및 공급망 내 8000개의 일자리가 창출될 것으로 예상된다.닛산은 영국 정부로부터 수천만 파운드 상당의 지원을 원하고 있으며 선덜랜드 배터리 생산 공장 가동을 위한 에너지 비용을 낮추길 원하는 것으로 분석된다. ▲닛산(Nissan) 홈페이지
-
중국 화장품 전자상거리 사이트 Jumei(聚美优品)에 따르면 배터리 팩 렌탈기업 Ankerbox의 주식을 완전히 취득해 100% 자회사화 했다. 지난 5월 Ankerbox 주식 60%를 3억위안에 인수했다.Ankerbox는 2년전 Hunan Oceanwing E-commerce (海翼)에 의해 설립됐으며 1, 2성급 도시를 중심으로 사업을 펼치고 있다. 현재 배터리 렌털 이용자수는 약 100만명을 초과했으며 시장점유율은 80%를 넘어섰다.▲ China_Jumei_Logo▲Jumei(聚美优品, 쥐메이요우핀) 로고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