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2
" 분자"으로 검색하여,
13 건의 기사가 검색 되었습니다.
-
2025-05-27▲ 아모레퍼시픽, AI 활용 모발 강화 연구 성과 발표 [출처=아모레퍼시픽]아모레퍼시픽(회장 서경배)에 따르면 2025년 5월25일(일) 서울시 강남구 그랜드 인터컨티넨탈 서울 파르나스에서 제21차 대한 모발학회 학술대회가 개최됐다.이날 개최된 대한 모발학회 학술대회에서 인공지능(AI) 기술을 활용한 모발 강화 연구 성과를 발표뿐 아니라 국내외 전문가들과 심도 깊은 논의가 진행됐다.아모레퍼시픽은 제21차 대한 모발학회 학술대회에서 ‘모발 손상 및 복구의 발전(Advances in Hair Damage & Repair)’를 주제로 한 세션을 개최했다.아모레퍼시픽 R&I 센터 라찬수 연구원은 해당 세션에서 ‘모발 강화를 위한 서열 기반 생체재료 설계: 분자 도킹에서 실험적 검증까지(Advanced Sequence-Based Biomaterial Design for Hair Strengthening: From Molecular Docking to Experimental Validation)’를 주제로 발표했다.관련 연구는 인공지능과 분자 시뮬레이션 기술을 활용해 모발 강화에 효과적인 펩타이드 서열을 발굴하고 검증한 것이다.연구팀은 분자 도킹 시뮬레이션을 통해 모발 인장 강도를 향상시키는 펩타이드 서열의 특성을 규명했으며 실제 모발에서 효능을 검증했다.특히 이번 연구에서는 머신 러닝 기술을 활용한 대규모 라이브러리 분석 및 스크리닝 도구를 활용해 모발 강화에 효과적인 생체 재료를 더욱 효율적으로 발굴할 수 있게 됐다.경희대 의공학과 김경숙 교수는 ‘질환 및 화학적 염색에 의한 모발 손상 정량 분석(Quantitative analysis of hair damage caused by diseases and chemical dyeing)’에 대한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김 교수는 다양한 질환과 화학적 염색 과정에서 발생하는 모발 손상을 원자현미경 등으로 정밀하게 측정하고 분석하는
-
2018년 설립된 새만금개발공사(SC)는 새만금 사업의 추진과 자금 조성을 설립 목적으로 한다. 새만금의 면적 규모는 409㎢로 세계 최장 방조제로 기록됐다. 미래상은 ‘새로운 문명을 여는 도시, 새만금’으로 그린성장을 실현하는 글로벌 신산업 중심지를 목표로 한다. 3대 개발방향은 △그린에너지와 신기술 기반의 발전 △환경·경제적 지속가능성 강화 △다양한 분야·기능간 융복합 촉진으로 정했다. 새만금개발공사의 ESG(환경·사회·지배구조) 경영 현황을 진단하기 위해 홈페이지, 국가정보전략연구소(국정연) 데이터베이스(DB), 국정감사·감사원·사법기관 자료, 각종 제보 등을 참조했다.글로벌 스탠다드를 지향하며 개발된 ‘팔기(八旗)생태계(8-Flag Ecosystem)’ 모델을 적용해 SC의 ESG 경영 현황을 진단해 봤다. ◇ 2022년 ESG 경영 1차 평가... 육상 태양광·환경평가 피하려 99㎿로 쪼개서 공사 꼼수 부려2021년 12월 ESG 경영을 선포했으며 환경·상생 등 경영 목표에 반영했다. △환경보호·에너지의 효율화 △사회공헌 및 지역사회와 상생협력 △투명성·신뢰성 높은 경영시스템 구축 등 지속 가능한 성장기반을 마련해 나갈 방침이다.홈페이지에 ESG 관련 보도자료 일부가 있지만 ESG 경영 관련 내용이나 경영 헌장은 없다. 2020년 6월 선포한 윤리헌장은 부패방지노력, 제반법령·사회규범 준수, 인권·노동권·인격 존중, 차별대우 금지, 공평한 기회·공정한 평가, 사회적 책임 등을 포함하고 있다.2019년 비상임이사직에 전문가가 아닌 전주 YMCA 사무총장과 정치인 출신 등 2명을 임명해 논란을 초래했다. 직원이직률은 2020년 15.6%에서 2021년 19%로 상승해 경영진의 리더십에 문제가 있는 것으로
-
2025-02-17▲ LG생활건강과 LG AI연구원 ‘엑사원 디스커버리’ 로고[출처=LG생활건강]LG생활건강(대표이사 이정애)에 따르면 LG AI연구원과 최근 AI모델을 활용한 공동 연구에서 물질의 용해도와 안전성을 개선한 화장품 효능 소재를 개발하는데 성공했다. 인공지능(AI) 모델을 활용해 ‘화장품 효능’ 소재를 개발하는데 성공해 상용화 과정을 거쳐 이르면 2026년부터 AI 기반 고효능 성분을 담은 화장품을 선보일 계획이다.화장품 원료의 경우 물질 자체의 효능은 탁월하지만 용해도가 낮아 제품화가 어려운 성분들이 많다. 이번 연구 성과를 토대로 최적의 효능 소재를 개발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특히 세계적으로 각광 받는 피부 항노화 트렌드인 ‘스킨 롱제비티(Skin Longevity, 피부 장수)’ 관점에서 AI 기반 고효능 소재를 활용한 다양한 화장품 원료를 개발할 방침이다.스킨 롱제비티(Skin Longevity, 피부 장수)는 피부의 탄력, 활력 등을 포함해 시간이 지남에 따라 피부 건강을 유지하는 기술이다.이번 연구는 화장품 효능 소재 개발 과정에서 분자 단계부터 전체 연구 공정을 AI가 설계했다는 데에 큰 의미가 있다. 기존 국내 화장품업계는 AI모델에 축적된 데이터를 활용해 원료 소재를 분석하는데 중점적으로 활용해왔다.AI 기반 화장품 효능 소재 연구를 혁신적으로 바꾼 것은 LG AI연구원의 신물질 발굴 특화 AI모델인 ‘엑사원 디스커버리(EXAONE Discovery)’다.실제로 엑사원 디스커버리가 물질의 분자 구조 데이터를 대량으로 분석해 각 물질 특성을 예측함으로써 연구에 활용할 후보 물질을 찾는 시간과 비용이 크게 줄었다.기존 연구는 연구자의 경험과 논문에 의존하다 보니 후보 물질을 선정하는 데만 2년 가까이(평균 1년 10개월) 소요됐다.다양한 실험 재료를 구매해야 하는 비용도 별도로 들어갔다. 반면 이번 연구에서는 엑사원 디스커버리를 활용해 후보 물질을 발굴하는데
-
▲ ‘2024년도 제36회 한국분자·세포생물학회 정기학술대회’ 공식 포스터[출처=한국분자·세포생물학회]한국분자·세포생물학회(회장 최도일)에 따르면 2024년 10월 8일(화)~11일(금)까지 ‘2024년도 제36회 한국분자·세포생물학회 정기학술대회’가 제주국제컨벤션센터(ICC)에서 개최된다.이번 학술대회에서는 국내외 연구자 2700명 이상이 참가하고 생명과학 모든 분야에 걸쳐 24개 주제로 심포지엄 등이 있을 예정이다.국내외 전문가 150여 명이 최신 연구 결과를 발표한다. 한국분자·세포생물학회 정기학술대회는 국내 생명과학 분야 최대 학술대회로 알려져 있다.◇ 2024년도 제36회 한국분자·세포생물학회 정기학술대회· 개최일 : 10월8일(화)~11일(금)· 장소: 제주국제컨벤션센터(ICC Jeju)· 행사 안내: 정기학술대회 홈페이지(www.ksmcb.or.kr/icksmcb2024/main.html) 참조기조 강연에는 △2012년 노벨상 수상자인 미국 스탠퍼드 의과대 브라이언 코빌카 교수 △2006년 노벨상 수상자인 미국 스탠퍼드대학 앤드류 파이어 교수 △독일 막스플랑크연구소 사라 오코너 교수 △미국 펜실베이니아대 제임스 윌슨 교수 등 총 4명이 예정돼 있다.또한 KSMCB 생명과학상 수상자 송현규 교수, KSMCB 여성생명과학자상 수상자 김혜영 교수, KSMCB 운봉학술상 수상자 이호영 교수 등 여러 학회 주관 시상자의 수상 강연이 이뤄진다.한국 BTB와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이 런천 심포지엄을 열고 젊은 과학자들의 발표 프로그램인 젊은 과학자 세션과 1000여 개의 일반 회원 포스터 발표도 계획돼 있다.이번 학술대회에서는 국내 유수 기업 및 기관들의 후원과 참여로 다양한 프로그램이 진행되고 생명과학 분야 기업체들의 첨단 기기 전시회가 135개 부스에서 개최될 예정이다.한국분자·세포생물학회는 "국제학술대
-
2021-05-20미국 로드 아일랜드대(University of Rhode Island) 연구팀에 따르면 특정 냄새를 탐지할 수 있는 센서를 장착한 드론으로 폭발물 탐지견을 대체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연구팀장인 오토 그레고리 교수는 지난 15년간 입자 감지센서를 개발해 온 해당 분야의 전문가다. 공기 중 미세한 입자를 냄새로써 감지할 수 있는 초소형 센서를 개발했다.개발된 센서는 1천조 당 입자까지 감지할 수 있어 폭발물 특유의 화학성분을 탐지하는 데 적합하다. 해당 센서를 드론에 장착해 주요 시설 내 폭발물 탐지에 투입시킬 계획이다.연구팀은 DJI의 Phantom 3 모델에 센서를 장착해 내·외부에서 테스트를 진행했다. 특정 지역에서 감지된 냄새를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모니터를 통해 볼 수 있다.일각에서는 폭발물 탐지견을 굳이 대체해야 하는지 의구심을 품는다. 이에 대해 연구팀은 다음과 같은 이점을 제시하며 디지털 개코 드론의 효율성을 강조한다.탐지견의 경우 그날의 컨디션과 환경, 그리고 개체에 따라 감지한 정보가 정성적이다. 그러나 센서로 측정한 입자의 양은 정량적이기 때문에 보다 객관적이다.또한 개는 탐지 업무를 수행하는 데 최대 2시간까지만 가능하며 이후에는 꼭 휴식이 필요하다. 그러나 드론의 경우 배터리 충전만 된다면 임무 수행 시간에 한계는 없다.연구팀은 센서 드론과 폭발물 탐지견을 함께 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주장한다. 탐지견만큼 자율적으로 기동하는 데 아직 한계가 있으며, 교차 감지의 효과도 연구해야 하기 때문이다.▲입자 감지센서를 장착한 드론이 냄새를 탐지하는 모습(출처 : 로드아일랜드대 유튜브 홈페이지)
-
영국 약물발견 스타트업인 엑스사이언티아(Exscientia)에 따르면 인간에게 처음으로 사용될 인공지능(AI)이 '발명한 약물분자' 프로젝트를 진행했다.인공지능에 의해 '발명된 약물분자'가 세계 최초로 인간을 대상으로하는 약물시험에 사용될 것으로 전망된다. 제약 분야에서 기계학습을 가동하기 위한 목적이다.엑스사이언티아는 일본 제약회사인 스미토모제약(Sumitomo Dainippon Pharma)과 공동으로 개발했다. 이번에 개발된 인공지능 약물은 강박장애 환자를 치료하는데 사용될 예정이다.일반적으로 약물개발에 약 5년이 걸리지만 인공지능(AI) 약물은 12개월 밖에 걸리지 않았다. 제약 분야에서 인공지능의 활용도는 더욱 확대될 것으로 판단되는 이유다.▲엑스사이언티아(Exscientia) 홈페이지
-
2019-03-21미국 컬럼비아대(Columbia University)에 따르면 틈새를 쥐어짜듯이 통과할 수 있는 수십개의 나노분자로 이뤄진 분자 로봇을 개발했다.25개의 디스크 모양으로 구성된 로봇은 살아있는 세포가 모여 특정 조건하에서 집합적으로 이동하는 것으로부터 영감을 얻었다.로봇 그룹의 각각은 로봇의 외부 껍질을 팽창시키고 수축시키는 톱니와 인접한 로봇에 달라붙는 주변의 자석을 갖추고 있다. 로봇은 개별적으로 움직일 수는 없다.그러나 각 로봇이 뭉친다면 서로 다른 시간에 개별 로봇을 팽창시키고 수축시켜 표면을 가로질러 미끄러질 수 있다. 예를 들어 터널을 통과해야 하는 경우, 로봇은 스스로를 좁힐 수 있고 틈을 가로 지르며 반대편에 재구성될 수 있다.개별 로봇은 감지한 빛의 강도에 따라 팽창과 수축의 타이밍을 변경해 로봇 그룹이 대상을 향해 움직일 수 있도록 프로그래밍됐다. 컴퓨터 시뮬레이션상으로는 최대 10만대의 로봇에 대한 테스트가 이루어졌다.만약 20%의 개별 로봇이 작동하지 않더라도 로봇 그룹은 여전히 움직일 수 있다. 단일 구성요소로 이뤄진 기존 로봇의 오작동 발생에 비해 장점으로 평가된다.▲ USA-ColumbiaUniversity-Robot▲ 컬럼비아대(Columbia University)의 분자 로봇 홍보자료(출처 : 홈페이지)
-
2018-11-15영국 글래스고대(University of Glasgow)에 따르면 전력이나 수소 가스를 저장할 수있는 '이국적인 녹(exotic rust)'으로 알려진 나노 분자 금속산화물을 사용해 새로운 하이브리드-전기-수소 플로우 배터리(hybrid-electric-hydrogen flow battery)를 개발했다.전기자동차와 관련한 핵심 문제 중 하나는 차량 충전에 걸리는 시간이 길다는 것이다. 전기자동차의 운전자가 충전을 위해 기존 자동차의 운전자보다 훨씬 더 오래 동안 기다릴 것을 기대하는 것은 현실적이지 않기 때문이다.새로운 플로우 배터리에서 '이국적인 녹'을 함유한 농축액은 기존 배터리보다 최대 10배의 에너지를 저장할 수 있다. 에너지는 전기 또는 수소 가스로 방출돼 전력이나 연료가 필요할 수 있는 상황에서 유연성을 제공한다.전기자동차의 운전자는 차고 전방 펌프에서 하나의 노즐을 사용해 폐액을 제거한 다음 두번째 노즐을 사용해 새로운 액체를 펌핑한다. 몇초 만에 전기자동차에 새로운 액체를 연료로 가득 채울 수 있다. 하지만 새로운 플로우 배터리는 매우 빠른 충전 속도를 처리 할 수 있는 충전소를 위해 새로운 그리드 인프라를 설치해야 하므로 비용 문제가 발생한다는 단점을 갖고 있다.비록 비용 문제가 발생하지만 플로우 배터리를 이용하면 전기자동차의 충전 시간을 수시간에서 단 몇초로 단축 할 수 있다는 점에서 미래 가능성이 기대된다. 연구 결과는 Nature Chemistry 저널에 발표됐다. 참고로 새로운 플로우 배터리 대신에 탄소이온(C-Ion) 셀을 활용해 극단적인 고속 충전 속도로 에너지를 전기자동차로 안전하게 전송할 수 있는 방법도 개발되고 있는 중이다.▲ UK-GlasgowUniversity-Flowbattery-LeeCronin-homepage▲ 글래스고대 연구팀의 Lee Cronin 교수(출처 : 홈페이지)
-
뉴질랜드 통계청(StatsNZ)에 따르면 2017년 3분기 화학 및 플라스틱 제조업의 매출량은 이전분기 대비 0.3% 증가했다.13개 제조업체 중 6개의 매출량이 늘어났다. 특히 화학, 고분자, 고무 제품 등의 제조는 3.7%, 운송장비, 기계, 설비장비 등의 제조는 2.8% 등으로 각각 확대됐다.2017년 3분기 화학, 고분자, 고무 제품 등의 제조 매출량이 증가한 것은 이전 분기에 8.5%나 감소한 것이 주요인이다. 참고로 매출액 측면에서 보면 실적은 고무적인 상태다. 비료, 육류, 유제품 제조 등을 포함한 2017년 3분기 총 제조업 매출액은 NZ$ 253억달러로 전년 동월 대비 20억달러나 늘어났기 때문이다.▲뉴질랜드 통계청(StatsNZ) 로고
-
비즈니스컨설팅기업 Global Market Insights에 따르면 2017년~2024년 글로벌 커큐민(Curcumin)시장은 연간 9.5%씩 성장할 것으로 전망한다.특히 미국의 경우 화장품 부문이 급성장하고 있으며 관련 시장은 2016~2024년 동안 연간 10% 이상 커지 것으로 예상된다. 2015년 기준 글로벌 커큐민 시장규모는 $US 3900만달러로 추정된다.커큐민은 생강류에 속하는 강황의 추출분자로 천연성분이기 때문에 높은 인기를 얻고 있다. 유기농 커큐민제품에 대한 선호도 높아 스킨케어제품, 항염색제, 항염증제, 항곰파이제, 항산화제 등에 사용된다. ▲Global Market Insights 홈페이지
1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