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1
" 블럭"으로 검색하여,
5 건의 기사가 검색 되었습니다.
-
2025-02-03▲ 넷마블 엠엔비, ‘쿵야 레스토랑즈’ 무드등·블럭 캘린더 등 상품 출시[출처=넷마블]넷마블(대표 권영식, 김병규)에 따르면 콘텐츠 마케팅 자회사 엠엔비(MNB, 대표 배민호)가 ‘쿵야 레스토랑즈’의 신규 상품 2종을 출시했다.이번에 공개한 상품은 실리콘 무드등 및 블럭 캘린더 등 총 2종으로 전국 소품샵, 아트박스 등 오프라인 매장 뿐만 아니라 온라인 소품샵에서 만나볼 수 있다.무드등은 기본 모드부터 7가지 색깔로 변경할 수 있는 컬러모드로 다양한 연출이 가능하다. 블럭 캘린더는 쿵야 레스토랑즈의 캐릭터성을 느낄 수 있는 재치있는 아이콘과 문구 블럭을 활용해 원하는 달력으로 직접 커스터마이징 가능한 상품이다.엠엔비는 이번 신상품 출시를 기념해 쿵야 레스토랑즈 인스타그램에서 각 상품의 첫인상에 대한 댓글을 남기면 추첨을 통해 총 20명에게 실리콘 무드등(10명), 블럭 캘린더(10명)를 각각 선물하는 이벤트를 진행한다.‘쿵야 레스토랑즈’는 엠엔비에서 전개하는 IP로 ‘쿵야’의 스핀오프 브랜드다. 2022년을 사는 쿵야들의 이야기를 담은 ‘쿵야 레스토랑즈’를 인스타그램을 통해 선보였고, 현재 팔로워 16만명을 기록하며 MZ세대 사이에서 큰 인기를 이어가고 있다.한편 엠엔비는 소비자·브랜드·미디어에 대한 트렌드 센싱을 바탕으로 최적화된 통합 마케팅 커뮤니케이션(IMC) 솔루션을 제공하고 IP 콘텐츠 사업을 전개하는 넷마블의 콘텐츠 마케팅 자회사다.최근 비게임 서비스에 게임 요소를 적용해 소비자 만족도와 경험을 제고하는 게이미피케이션(게임화) 기법을 활용한 마케팅 컨설팅 서비스를 확대해 선보이고 있다.
-
▲ 덴마크 장남감 회사인 레고그룹(LEGO Group)이 사무실 전경 [출처=홈페이지]2024년 8월 4주차 덴마크 경제동향은 레고그롭에 관련돼 있다. 레고그룹은 덴마크를 대표하는 기업으로 세계적인 완구회사로 친환경 정책을 도입 중이다.○ 덴마크 장남감 회사인 레고그룹(LEGO Group)은 2024년 상반기 가장 많이 판매된 상위 5개 주제에 대해 공개했다. 1위부터 순서대로 보면 LEGO Icons, LEGO Star Wars, LEGO Technic, LEGO City, LEGO Harry Potter 등이다.하지만 회계 장부의 주문 내역을 보면 LEGO Icons이 가장 많았지만 가장 선호한 주제였는지는 불명확하다. 18세 이상 성인용으로 판매되고 있지만 키덜트족의 증가로 호실적을 보였다.2023년 상반기와 비교하면 LEGO Harry Potte는 LEGO Friends를 대체했다. 2024년 9월 새로운 주제로 LEGO Harry Potter가 출시될 예정이다.2024년 상반기 매출액은 310억 크로네로 전년 동기 대비 13%, 영업이익은 81억 크로네로 전년 동기 대비 26% 각각 증가했다.○ 레고그룹(LEGO Group)은 2026년까지 최대 70%의 블럭을 재활용 플라스틱으로 제조할 계획이다. 장난감을 더욱 친환경적으로 만들기 위한 목적이다. 2032년까지는 100% 재활용 플라스틱을 사용한다는 구상이다.전체 블럭을 재활용 유리병으로 만들려고 했던 계획은 비용과 제조 어려움을 포기했다. 하지만 600가지 이상의 대체 재료를 테스트 중이다.재활용 플라스틱 뿐 아니라 식용유나 식품산업 쓰레기 등도 연구 중이지만 비용이 기존 재료 대비 2~3배 비싸서 고민 중이다.현재 컬러 블럭의 재료 중 22%는 화석연료로 만드어진 것이 아니다. 지속가능한 재료를 사용하면 블럭의 생산비가 급상승하는 문제가 있다.2025년까지 지속가능성에 30억 크로네를 투자한다고 밝혔다. 투자비를 고객에게 전가하지 않아 제품의 가격은 올리지 않을 방침이다.레고그룹
-
러시아 모스코 고등경제대학(HSE University)에 따르면 레고 블럭 대형 한 세트의 8년간 투자 수익을 분석한 결과 2230% 올랐다고 밝혔다.이번 연구 결과는 1987년에서 2015년 사이 단종된 레고 세트의 가치가 금이나 주식, 채권보다 약 11% 더 높게 평가됐다. 레고 블럭이 보석이나 골동품, 기타 예술품만큼의 투자 가치가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대부분의 레고 블럭 세트는 몇 년 후 단종된다. 공급 감소와 결합돼 높은 수집가치를 가지며 시간이 지날수록 더욱 비싸진다.특히 레고 블럭은 주식 시장의 영향을 상대적으로 덜 받기 때문에 지난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기간 동안 꾸준히 상승했다.또한 COVID-19 팬데믹 기간 아이들과 어른들이 집에 장기간 머물면서 레고 블럭 조립 세트 사용 및 수요가 늘어 났으며 가격 역시 급등했다.▲ 모스코 고등경제대(HSE University) 홈페이지
-
미국 블록체인 게임 플랫폼 포르테(Forte)에 따르면 $US 7억2500만달러 규모의 투자를 유치했다. 게임기업이 호환 및 상호 운영가능한 블록체인 게임을 제작할 수 있는 솔루션 개발에 투자할 계획이다.이번 투자는 Sea Capital과 Kora Management 주관으로 Animoca Brands, Big Bets (Huuuge Games), Overwolf, Playstudios, Warner Music Group, zVentures (Razer), and blockchain partners Cosmos, Polygon Studios, Solana Ventures, Griffin Gaming Partners, Andreessen Horowitz (a16z), Tiger Global 등이 참여했다.포르테는 게임 자체를 개발하는 것 대신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해 새로운 종류의 게임 경제를 만들어 내고 있다. 블록체인 게임에서 플레이어의 토큰을 저장하기 위해 사용되는 암호화폐 지갑과 같은 것을 개발한다.포르테는 2021년 5월 가장 큰 게임 중심 벤처캐피탈 펀드 중 하나인 Griffin Gaming Partners의 주관으로 약 1억8500만달러를 모금했다.▲ 포르테(Forte) 홈페이지
-
뉴질랜드 통계청(Stats NZ)에 따르면 2017년 8월 전체적인 식료품가격은 전월 대비 0.6% 상승했다. 버터가격이 11%, 야채가격이 5.4% 등으로 급상승한 것이 주요인이다.특히 버터가격은 1 블럭(=500g)당 5.39달러로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다. 이전의 최고치는 2개월전인 6월의 1 블럭당 5.05달러였다. 연간 버터가격 인상률은 2010년 이후 최대 비율을 기록한 셈이다.8월 토마토가격은 kg당 10.42달러로 전월 9.50달러 대비 올랐다. 야채가격이 오른 것에 비해 과일가격은 0.5% 하락했다. 특히 아보카도가격이 19%나 내린것이 주요인이다. 8월 아보카도는 200g당 2.59달러로 전월 3.20달러 대비 내렸다. 6월에는 4.52달러로 7월보다 더 높았다.2017년 8월말 기준 연간 평균 식료품가격은 2.3% 상승했다. 매우 추운 겨울날씨가 감자를 비롯한 야채재배에 악영향을 미쳐 수확량이 줄었고 추가적인 수작업 등으로 소매 매장들에서 비용도 올랐기 때문이다.▲뉴질랜드 통계청(Stats NZ) 로고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