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2
" 사업 중단"으로 검색하여,
14 건의 기사가 검색 되었습니다.
-
조선 말기 평양부의 중앙을 가로지르는 대동강물을 팔았다는 '봉이 김선달'은 희대의 사기꾼이라는 평가를 받는다. 우물이 없는 가난한 백성들이 강물을 퍼다가 식수로 삼는 상황을 활용해 일확천금(一攫千金)을 꿈꾸는 상인들을 농락했다. 몰락한 양반과 탐욕스러운 상인을 웃음거리로 전락시킨 소설의 줄거리다.한국수자원공사는 강에 댐과 저수지를 건설해 하늘이 공짜로 내려준 빗물을 팔아 돈을 번다는 측면에서 현대판 '봉이 김선달'이라고 볼 수 있다. 물론 국가가 수자원공사에 막강한 권한을 위임했다.수자원을 잘 관리해 국민에게 깨끗한 수돗물을 저렴하게 공급해야 하는 임무는 소홀하면서 부가적인 사업을 무리하게 추진해 경영이 파탄 지경에 이르렀다.수자원공사는 1967년 수자원을 종합적으로 개발·관리해 생활·공업용수를 공급하기 위해 설립한 환경부 산하 공기업이다.국토교통부에서 관리하다가 환경의 중요성이 부각되며 2018년부터 환경부가 관리·감독하지만 방만·부실 경영은 피하지 못했다. 수자원공사의 경영 문제점과 혁신 방안을 살펴보자.▲ 한국수자원공사의 경영혁신 관련 핵심 이슈 [출처=iNIS] ◇ 경영진·직원 전문성 축적·발휘에 무관심... 낙하산 인사 및 문어발식 사업 확장이 부실 주범1997년 세계 각국은 지구 온난화를 예방해 기상이변을 줄이기 위한 목적으로 교토의정서(Kyoto Protocol)를 합의했지만 온실가스 배출량은 줄어들지 않았다.우리나라도 여름철에 강우량이 집중되지만 수자원이 풍부한 국가로 분류됐었다. 하지만 이제는 전국적으로 물 부족 현상이 심화돼 국민이 고통을 받고 있다.우리 속담에 ‘물 쓰듯 하다’는 말이 있는데 ‘돈이나 물건을 마구 헤프게 사용한다’는 의미다. 과거에 물은 공짜나 다름없다고 생각했을 정도로 귀하지 않았다.저렴하고 깨끗한 수돗물의 이미지를 훼손한다고 생수나 정수기의 판매를 허용하지 않았던 것도 비슷한 맥락이다.
-
▲ 일본 자동차 판매회사인 도호쿠자동차판매(東北自動車販売)의 간판 이미지 [출처=홈페이지]일본 자동차 판매회사인 도호쿠자동차판매(東北自動車販売)에 따르면 2023년 11월2일자로 사업을 중단했다. 센다이 지방법원에 파속 수속 개시를 신고했기 때문이다.2016년 4월 미츠비시자동차공업의 연비 부정이 발각되면서 판매가 급감한 후 실적을 회복하지 못했다. 당시 경차 4개 차종의 생산이 3개월 동안 중단됐다.개인 소비의 침체, 청년층의 차량 구매 감소, 중고차량과의 경쟁 심화 등도 매출 부진의 주요인으로 분석된다. 인원을 줄이고 경비를 삭감했지만 경영 어려움을 극복하지 못했다.판매를 중단하는 점포는 센다이시의 이즈미점, 니시가타점, 나토리시의 다테고시점 등 3곳이다. 다른 미츠비시 판매점은 정상적으로 영업 중이다.2020년 3월기 매출액은 12억8700만 엔으로 감소했다. 참고로 데이고쿠데이터뱅크에 따르면 2020년 3월기 기준 부채액은 약 13억4900만 엔으로 집계됐다.
-
영국 다국적 회계감사 법인인 EY에 따르면 러시아와 벨라루스에서 사업을 중단하기로 결정했다. 동종업계 기업인 딜로이트(Deloitte), KPMG도 이와 같은 결정에 동참했다. 최근 PwC는 러시아 자회사인 PwC 러시아(PwC Russia) 사업을 중단한다고 공개적으로 밝혔다. 글로벌 회계법인들은 러시아 사업을 중단하는데 수개월 또는 수년이 걸릴 것으로 예상했었다.하지만 미국, 영국 및 유럽연합(EU)의 러시아에 대한 경제 제재가 한층 강화되면서 예상보다 아주 빠르게 사업중단을 결정했다.다국적 회계법인뿐만 아니라 많은 다국적 기업들이 러시아에서 철수함으로써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에 대응하고 있다. 기업들은 러시아 및 벨라루스의 사업을 영구적으로 중단하지 않을 것으로 판단된다.하지만 많은 다국적 기업들은 향후 법적으로 러시아 및 벨라루스 협력사 및 자회사 등의 법인들을 분리하는 절차를 밟을 것으로 전망된다. 법적인 사업체 분리가 실현될 경우 러시아 및 벨라루스에서 유명한 모기업의 브랜드 및 회사명을 사용할 수 없게 된다. 세계 4대 회계법인이 러시아 및 벨라루스에서의 사업을 중단하면서 영향을 받게 될 러시아 및 벨라루스 직원은 ▶EY는 4700명 ▶딜로이트 3000명 ▶KPMG 4500명 ▶PwC 3700명 등이다.▲EY 로고
-
2022-03-09영국 다국적 회계 감사기업인 PwC에 따르면 러시아 푸틴 정부의 우크라이나 침공으로 러시아 사업을 중단할 계획이다. PwC는 세계 4대 회계법인 중 하나이다. PwC의 러시아 자회사인 PwC 러시아(PwC Russia)의 3700명 파트너 및 직원에게 악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 이번 PwC의 결정으로 딜로이트(Deloitte), EY, KPMG 등은 선례를 따르도록 압력을 받게 될 것이다.하지만 글로벌 회계법인들은 PwC처럼 러시아 사업을 중단하기까지 수개월 또는 수년이 걸릴 정도로 복잡한 과정이 촉발될 것으로 예상된다.PwC의 러시아 사업 철수는 우크라이나 침공의 여파로 러시아와 관계를 끊는 일련의 주요 기업들 중 가장 최근 사례가 된다.마크스 앤 스펜서(Marks & Spencer), 넥스트(Next) 등과 같은 회사들을 포함한 소매업, 소비재 산업에서부터 미디어와 스포츠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산업에 걸친 러시아 대탈출이 이뤄지고 있다.많은 다국적 기업들이 러시아에서의 영구 철수를 선언하기보다는 러시아에서의 활동을 중단한 사례가 더 많다. 지난 10일 동안 많은 다국적 기업들이 러시아를 떠났다.PwC 이전 영국 기업들 중 가장 중요한 러시아 탈퇴 발표는 러시아 국영석유공사인 로즈네프트(Rosneft)의 지분을 매각하기로 한 석유대기업인 BP의 결정이었다.▲PwC 로고
-
2021-05-24영국 글로벌 석유기업인 로얄 더치 쉘(Royal Dutch Shell)에 따르면 나이지리아에서의 육상 유전 사업을 폐업하기 위해 정부와 협의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로얄 더치 쉘이 나이지리아 유전에서 석유를 생산해 낸 지 반세기 반에 친환경 에너지 대기업으로 탈바꿈하기 위함이다. 또한 나이지리아 국내에서 송유관 파열로 인한 오염 및 손실로 지역 사회와의 법적 다툼 등 고질적인 문제가 누적돼왔다.이에 따라 로얄 더치 쉘은 지난 10년 이상 동안 나이지리아를 포함해 서아프리카 국가에서의 육상 자산을 점진적으로 매각해왔다.로얄 더치 쉘은 석유와 가스 사업을 점차 줄여 2050년까지 에너지 사업에서 탄소 배출량을 제로(0)로 만들겠다는 목표를 밝힌 바 있다.참고로 파리기후협약과 더불어 2020년 중국발 코로나-19 사태로 다양한 기업 및 사업에서 친환경 기업 및 사업으로의 변환 요구는 가속화되고 있다.▲로얄 더치 쉘(Royal Dutch Shell) 홈페이지
-
나이지리아 DAPPMA(Depot and Petroleum Products Marketers Association)에 따르면 2018년 10월 18일을 기준으로 정부가 미지급한 보조금은 6500억나이라 이상인 것으로 집계됐다.석유 판매산업의 운영에 대한 거대한 재정적 문제로 부각되고 있다. 채무가 안정화돼야만 석유 판매기업들이 자산을 은행으로부터 압류 당하지 않기 때문이다.국내 석유판매 기업들의 60% 이상이 채무를 정리하지 못해 자산을 압류당함으로써 사업을 중단한 것으로 조사됐다. 판매기업들이 망하면서 국내 다운스트림 산업도 위협을 받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국영석유공사 건물(출처 : 위키피디아)
-
나이지리아 DAPPMA(Depot and Petroleum Products Marketers Association)에 따르면 2018년 10월 18일을 기준으로 정부가 미지급한 보조금은 6500억나이라 이상인 것으로 집계됐다.석유 판매산업의 운영에 대한 거대한 재정적 문제로 부각되고 있다. 채무가 안정화돼야만 석유 판매기업들이 자산을 은행으로부터 압류 당하지 않기 때문이다.국내 석유판매 기업들의 60% 이상이 채무를 정리하지 못해 자산을 압류당함으로써 사업을 중단한 것으로 조사됐다. 판매기업들이 망하면서 국내 다운스트림 산업도 위협을 받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국영석유공사 건물(출처 : 위키피디아)
-
싱가포르 자전거공유서비스기업 오바이크(oBike)에 따르면 멜버른에서 사업을 시작한 지 1년도 안돼 중단을 고려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주요인은 자전거공유서비스사업에 대한 환경보호청(EPA) 및 멜버른시 당국의 엄격한 단속 및 탄압이라고 주장한다.2018년 5월 환경보호청은 적절치 않은 장소에 방치된 자전거나 고장난 자전거를 수거하는 시간을 더 엄격하게 적용시켰다.새로운 규정에 따라 위험을 유발하는 자전거는 2시간 이내에 수거해야 한다. 또한 거리에 방치된 자전거도 24시간 이내에 이동시키도록 요구하고 있다.하지만 오바이크(oBike)는 고장나거나 부서진 자전거는 24시간 이내, 주차대가 아닌 장소에 방치된 자전거는 48시간 이내에 수거한다며 반발했다.양측의 주장이 엇갈리고 있지만 오바이크가 이를 준수하지 않을 때마다 멜버른시는 매회 A$ 3000달러의 벌금을 부과할 계획이다. ▲오바이크(oBike) 로고
-
필리핀 복합대기업 산미구엘(SMC)에 따르면 환경보호를 위해 플라스틱병 생수사업을 중단할 방침이다. 플라스틱병 생수사업이 수익성은 좋지만 환경을 파괴한다는 여론이 높기 때문이다.현재 전력, 인프라, 공공사업, 연료 등의 사업에 관심을 갖고 있지만 긴급한 사회 및 환경 이슈에 대해서 기업의 사회적 책임을 다하기 위한 목적이다.현재 불라칸상수도프로젝트와 같은 대규모 인프라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으며 안전하고 믿을 수 있는 식수를 필리핀 가정에 제공하는 것이 주요 전략 목표로 판단하고 있다.2017년 3월 산미구엘은 'Water for All' 캠페인을 진행하고 있으며 2025년까지 가정의 물사용량을 50% 절감시킬 계획이다. 산미구엘은 필리핀 국가 전체적으로 지속가능 성장의 기반을 마련하기 위해 노력 중이다.▲복합대기업 산미구엘(SMC) 로고
-
뉴질랜드 국내외 최대 시멘트제조사 홀심뉴질랜드(Holcim New Zealand)에 따르면 2016년 연간 손실은 $NZ 1230만 달러를 기록했다.주요사업인 제조를 중단하고 수입 및 유통으로 전환하면서 유통비용이 증가했기 때문이다. 2016년 매출은 1억4000만 달러로 2015년 1억7400만 달러 대비 감소했다. Holcim NZ은 Westport시멘트공장을 폐쇄하면서 새로운 수입시설에 투자했다. 시멘트 수입터미널은 오클랜드, 티마루 등에 위치해 있으며 중간 저장창고는 더니든, 리틀턴, 넬슨, 웰링턴, 네이피어 등에 두고 있다.▲Holcim NZ 홈페이지
1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