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3
" 서부"으로 검색하여,
30 건의 기사가 검색 되었습니다.
-
2025-05-12▲ 인천항만공사 CI [출처=인천항만공사]인천항만공사(www.icpa.or.kr, 사장 이경규)에 따르면 2025년 5월11일(일)부터 18일(일)까지 6박 8일간 미국 시애틀 및 로스앤젤레스에서 리퍼(냉동·냉장) 화물 유치를 위한 전략적 포트마케팅 활동에 나선다.또한 인천항만공사는 이경규 사장을 단장으로 한 미주 포트마케팅을 통해 신규 고부가가치 리퍼(냉동·냉장) 화물 물동량 확보 및 미주항로 안정화를 위한 항만 간 전략적 제휴도 추진할 예정이다.이번 포트마케팅은 미국 서안의 타코마항, 시애틀항, 로스앤젤레스항 등 주요 항만 관계자 및 현지 물류 관계자들과 폭넓은 협의를 중심으로 진행된다.로스앤젤레스 항만청, 노스웨스트 시포트 얼라이언스(NWSA, 시애틀-타코마 항만 공동 운영 동맹체) 등 현지 주요 항만 당국과의 업무협의 및 항만시설 시찰을 통해 협력 관계를 한층 강화할 방침이다.특히 로스앤젤레스 항만청과는 자매항 협력 양해각서(MOU) 체결을 통해 신규 리퍼 화물 창출 협력 및 물류 정보 교류 활성화 등 다양한 분야에서 중장기적인 협력 기반을 다질 예정이다.인천항 미주항로의 물동량 증대와 항로 안정화를 위해 고부가가치 리퍼(냉동·냉장) 화물 유치에도 적극 나선다. 이를 위해 인천항 미주항로 기항터미널인 선광 신컨테이너터미널 임직원과 함께 바이오, 반도체 등 주요 품목을 취급하는 국적 선사, 현지 주요 화주 및 화물 운송 주선기업과 일대일(1:1) 상담 및 설명회를 통해 인천항의 우수한 콜드체인 기반시설과 높은 운송 효율성을 적극적으로 홍보할 계획이다.인천항만공사 이경규 사장은 “미국 서안은 인천항의 전략적 해외 파트너로 지속적인 교류와 협업을 통해 미주 수출입 물류의 안정성과 경쟁력을 높여나갈 것이다”며 “이번 포트마케팅을 시작으로 한미 항만 간 고부가 물류 협력체계를 보다 강화하겠다”고 밝혔다.
-
▲ 공기업 ESG 평가-파괴적 혁신을 통한 도약 발판 구축[출처=엠아이앤뉴스]현재 대한민국은 윤석열 대통령이 2024년 12월3일 선포한 비상계엄령으로 정치·경제적 혼란이 지속되고 있다. 대기업 뿐 아니라 공기업도 좌표를 잃은 나침반처럼 우왕좌왕거리고 있다.미국 트럼트 대통령의 보호무역주의,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전쟁 지속, 중국의 패권주의 등으로 글로벌 경제는 한치 앞을 내다보기 어려운 상황이라는 점을 고려하면 안타깝다.2020년 다보스 매니페스토에서 이해관계자 자본주의에 대한 논의가 본격화되며 서구 선진국은 기업의 지속가능 성장을 달성하기 위해 ESG 경영에 중점을 두기 시작했다.최근 국제표준화기구(ISO)는 전 지구적 관심사인 ESG 표준을 제정하기 위해 사전 조사 및 전문가로부터 의견을 청취했으며 ESG 표준 초안을 개발 및 채택했다.엠아이앤뉴스는 2012년 10월부터 국가정보전략연구소(www.iNIS.kr)와 협력해 특별기획으로 공기업의 윤리경영(2012년) 및 ESG 경영(2022년), 상장기업 ESG 경영(2024년)을 평가해왔다. 언론사 중 최초로 도입한 연재물로 국내외 전문가의 주목을 받으며 큰 반향을 불러일으키고 있다. 그동안 국회의원, 지방의회 의원, 보좌관, 대학교수 등 다양한 이해관계자로부터 평가에 대한 자료 요청에 화답하고자 2025년부터 시리즈 기사를 책으로 발간하기로 결정했다.먼저 공기업 대상 ESG 경영을 평가한 결과를 바탕으로 부족한 자료를 추가하고 첨삭해 시리즈로 발간할 계획이다. 다음은 3월 초 발행 예정인 '공기업 ESG 경영 평가-주택 및 에너지 공기업 편'을 소개한다. ◇ 공기업 ESG 경영 평가 - 주택 및 에너지 공기업 민진규·최치환·박재희·민서연·김봉석 공저 | 판형 149*218 300면분야 경제경영 | 발행일 2025년 3월 10일ISBN 000-00-00000-00-0 00000 | 값 20,000원【공저자】민진규
-
▲ 주빌란트 바르티아 그룹(Jubilant Bhartia Group) 로고[출처=주빌란트 바르티아 그룹 홈페이지]2024년 12월11일 서남아시아 경제는 인도와 파키스탄을 포함한다. 인도 EPC업체 VPRPL은 아지메르-찬데리야 노선을 두 배로 늘리고자 북서부철도 아지메르 지부와 Rs 10억3000만 루피 상당의 계약을 맺었다.◇ 미국 코카콜라, 인도 힌두스탄 코카콜라 음료((Hindustan Coca-Cola Beverages) 지분 40% 주빌란트 바르티아 그룹(Jubilant Bhartia Group)에 매각미국 코카콜라(Coca-Cola Company)에 따르면 계열사 중 인도 병입업체 힌두스탄 코카콜라 음료(Hindustan Coca-Cola Beverages)의 지분 40%를 주빌란트 바르티아 그룹(Jubilant Bhartia Group)에 매각했다.코카콜라는 시스템을 구축하며 인도에서의 입지를 강화하고자 전략적 투자를 결정했다. 참고로 인도는 코카콜라의 시장 중 다섯번째로 큰 규모를 차지하고 있다.EPC업체 VPRPL(Vishnu Prakash R Punglia Ltd)는 북서부철도(North Western Railway) 아지메르(Ajmer) 지부와 Rs 10억3000만 루피 상당의 계약을 체결했다.해당 프로젝트는 아지메르-찬데리야(Chanderiya) 노선을 두 배로 늘리는 것을 목표로 한다. 중요 교량 건설 및 아다르쉬 나가르(Adarsh Nagar)과 라일라 도로(Raila Road) 사이 지역에서 보조적인 공사를 포함한다.◇ 방글라데시 월톤 그룹(Walton Group), ATS 엑스포 2024에서 수주한 금액 35억 타카방글라데시 월톤 그룹(Walton Group)에 따르면 자사가 주최한 "ATS(Advanced Technology Solution) 엑스포 2024"에서 타기업으로부터 35억 타가 상당을 수주했다고 밝혔다.국내에서 유일한 산업 박람회로 바순다라 푸바찰시에서 3일간 개최됐다. 월톤은 새로운 VRF 에
-
2024년 9월 한국동서발전의 1호 창업기업인 에어로원이 산업통산자원부 지정 에너지 진단 전문기관이 됐다. 에어로원은 동서발전이 추진하는 에너지 혁신 분야 예비창업자 육성 창업지원사업에서 선정됐다.역대 사장은 이상영·이용오·정태호·이길구·장주옥·김용진·박희성·박일준·김영문이다. 김영문은 정치인이고 박일준·김용진은 공무원 출신, 나머지는 모두 한국전력공사에서 내려왔다. 내부 승진은 아무도 없다.동서발전의 ESG(환경·사회·지배구조) 경영 현황을 진단하기 위해 홈페이지, 국가정보전략연구소(국정연) 데이터베이스(DB), 국정감사·감사원·사법기관 자료, 각종 제보 등을 참조했다.글로벌 스탠다드를 지향하며 개발된 ‘팔기(八旗)생태계(8-Flag Ecosystem)’ 모델을 적용해 동서발전의 ESG 경영 현황을 진단해 봤다. ◇ 한국전력의 지침에 따르지만 ESG 경영 미흡... 인사에 성차별 없애 여성임원 선임 필요동서발전은 모기업은 한국전력공사의 ESG 정책에 따라 헌장을 제정하지는 않았다. 한국남동발전, 한국서부발전 등과 유사하다.▲ 한국동서발전(EWP)의 ‘팔기(八旗)생태계(8-Flag Ecosystem)’ 모델 평가 결과 비교 [출처=iNIS] 한국전력 발전 자회사 모두가 ESG위원회는 구성했으며 사외이사의 비율도 동일한 수준을 유지한다. 서부발전은 여성 임원을 1면만 선임했지만 동서발전과 서부발전은 여성을 임원으로 임명하지 않았다.부채 비율은 동서발전이 서부발전이나 남동발전에 비해 낮은 편이다. 종합청렴도는 남동발전과 서부발전은 2등급을 유지하고 있지만 동서발전은 3등급이다.현 최고경영자(CEO)가 법률가임에도 청렴도 개선에는 성공적인 못한 것으로 판단된다. 감사도 비슷한 관점에서 접근해야 혁신이 가능하다.무기계약직의 연봉은 해당사항이 없었으며 육아휴직 사용자는 전체 숫자
-
한국서부발전(KOWEPO)은 2026년 하반기 아랍에미리트에 1500메가와트(MW) 규모의 태양광발전소를 완공할 계획이다. 약 1조 원 이상의 예산이 투입되며 향후 30년 동안 에리미트수전력공사(EWEC)에 공급한다.서부발전의 역대 사장은 홍문신·이영철·김종신·손동희·김문덕·조인국·정하황·정영철·김병숙·방혁덕이며 내부 출신은 이영철·손동희 뿐이다. 대부분 한국전력공사에서 내려오고 있으며 외부 출신은 홍문신이 유일하다.한국서부발전(KOWEPO)의 ESG(환경·사회·지배구조) 경영 현황을 진단하기 위해 홈페이지, 국가정보전략연구소(국정연) 데이터베이스(DB), 국정감사·감사원·사법기관 자료, 각종 제보 등을 참조했다.글로벌 스탠다드를 지향하며 개발된 ‘팔기(八旗)생태계(8-Flag Ecosystem)’ 모델을 적용해 의 ESG 경영 현황을 진단해 봤다. ▲ 한국서부발전(KOWEPO)의 ‘팔기(八旗)생태계(8-Flag Ecosystem)’ 모델 평가 결과 비교 [출처=iNIS]◇ ESG 경영 전략 및 추진 방향 수립... 2023년 부채 7조7080억 원으로 부채상환에 47년 소요서부발전은 경영 비전을 ‘새로운 시대를 여는 친환경 에너지 글로벌 리더’로 밝혔다. ESG 경영 비전을 ‘우리의 에너지로 지속가능한 친환경 세상을 열다’로 ESG 지향점은 △환경과의 공존 △사회에 대한 존중 △지배구조를 통한 공감으로 정했다.ESG 경영 전략 방향은 △탄소중립 생태계 조성 △지속가능한 공공가치 창출 △국민신뢰수준 책임경영 실현으로 설정했다.전략 방향에 따른 목표와 추진 방향을 공개했다. 홈페이지에 ESG 경영 헌장은 부재했으며 윤리·인권경영 규범은 공개했다.모회사인 한국전력공사 뿐 아니라 한국중부발전, 한국남동발전,
-
▲ 영국 석유회사인 쉘(Shell)이 운용 중인 시추시설 전경 [출처=홈페이지]2024년 9월25일 유럽 경제동향은 영국, 프랑스, 독일, 네덜란드를 포함한다. 영국은 석유회사인 쉘( Shell)이 수요 부진을 이유로 저탄소 수소사업을 중단했다.은행에서 기술적 문제로 서비스 장애가 발생해 대규모 고객이 불편을 겪었다. 저가항공사가 승객에게 수화물 요금을 추가로 청구하면서 논란이 제기됐다.프랑스 오프라인 슈퍼마켓의 영업 부진과 매각 소식이 전해졌다. 국가의약품안전청(ANSM)은 대형 제약업체가 필수 의약품의 재고를 보유하지 않았다며 벌금을 부과했다.독일 2024년 9월 기업환경지수가 전월에 비해 하락했다. 네델란드 세계 최대 페인트 제조업체는 비용 절감을 이유로 구조조정을 진행 중이다.◇ 영국 쉘(Shell), 노르웨이 서부 해안에서 추진하던 저탄소 수소공장을 건설하려던 계획 폐기영국 석유회사인 쉘(Shell)은 2024년 9월23일 노르웨이 서부 해안에서 추진 중이던 저탄소 수소공장을 건설 계획을 폐기했다. 수요가 부족한 것이 주요인이다.현재 수소는 이산화탄소 포집 및 저장과 함께 천연가스로부터 생산한다. 이러한 수소를 블루 수소라고 부르는데 전통적인 방식보다 비용이 더 많이 소요된다.쉘은 2030년까지 파트너인 Aker Horizons, CapeOmega와 함께 1일 1200메트릭톤(t)의 블루수소를 생산할 계획이었다. 하지만 2024년 6월 파트너계약이 종료됐지만 갱신하지 않았다.영국 은행인 TSB에 따르면 2024년 9월24일 발생한 전산망 장애가 해결되지 않았다. 많은 고객들이 급여를 받지 못했거나 다른 금융거래가 제한됐다고 불평하면서 알려졌다.특히 매 4주 월요일이나 화요일에 지급하는 아동 수당이 입금되지 않았다. 자금 거래가 원활하지 않았던 고객의 문제는 해결됐다. 하지만 정확한 기술적인 문제가 무엇인지는 파악하지 못했다.은행의 문제로 상환이 늦어진 고객에게는 TSB는 현재 온라인과 폰 뱅킹으로 가입한 200만 명을 포함해
-
지난 6월 2주차 아르헨티나 경제는 중서부 멘도사(Mendoza) 지방 태양광 발전소 건설에 US$ 2억5000만 달러 및 말라르게(Malargue) 지역에 9000만 달러를 투자할 계획이다.○ 전력회사 제네이아(Genneia), 중서부 멘도사(Mendoza) 지방 태양광 발전소 건설에 US$ 2억5000만 달러 및 말라르게(Malargue) 지역에 9000만 달러 투자... 멘도사 지방의 2개 발전소의 총 설치 용량은 273메가와트(MW)이고 말라르게(Malargue) 지역의 설치 용량은 93MW로 설정 ▲ 김봉석 기자[출처=iNIS]
-
일본 종합상사인 미쓰비시상사(三菱商事)에 따르면 종합상사인 미쓰이물산(三井物産)과 오스트레일리아 서부 해저에서 이산화탄소 포집 및 저장(CCS) 신사업을 시작할 계획이다. 양사는 2022년 3월부터 오스트레일리아 정부 측에 해저 지층을 자세하게 조사하기 위한 허가를 받는 작업을 시작할 예정이다. 사업은 영국 에너지기업인 BP와 오스트레일리아의 석유회사인 우드사이드(Woodside)와 공동으로 진행한다. 이산화탄소 포집 및 저장 설비 가동은 2030년경이 될 것으로 전망된다. 이산화탄소 포집 및 저장 사업은 탈탄소 사회를 목적으로 하는 기술로 주목받고 있다. 향후에는 일본 기업에 의한 이산화탄소 배출분을 포집해 국내 산업의 탈탄소화에 활용할 방침이다. ▲미쓰비시상사(三菱商事) 로고
-
2019-12-31중국 정부에 따르면 북서부 5개 지역은 올해 청정 에너지를 이용한 발전량이 두 자릿수로 성장했다. 에너지 혼합을 개선하고 오염을 줄이기 위해 녹색에너지에 대한 막대한 투자가 이뤄졌기 때문이다.2019년 1월 ~ 11월 기간 동안 산서성(陕西省), 간쑤성(甘肅省), 닝샤(宁夏), 칭하이(靑海) 및 신강(新疆)의 5개 지역은 풍력을 통해 884억 5천만 kWh의 전력을 생산해 연간 10.3% 증가했다.또한, 5개 지역은 태양 에너지로부터 521억 9천만 kWh의 전력을 생산해 전년 대비 18.3% 증가했다. 지난 10년 동안 5개 지역의 새로운 에너지 생산 용량은 거의 45배 급증했다.이를 위해 해당 지역에서 가장 큰 풍력 및 태양광 발전 프로젝트가 건설됐다. 이와같이 풍력 및 태양 에너지로 생산된 전기는 이 지역의 모든 전기 소비량의 4분의 1을 차지했다.정부는 온실가스 배출을 줄이고 대기 오염을 해결하기 위해 석탄에 대한 의존도를 줄이기 위해 노력하고 있는 것으로 평가된다. 향후에도 더 많은 재생 에너지를 개발할 것으로 전망된다.▲ China-Government-RenewableEnergy▲ 중국 정부의 2020 국가 그리드 계획(출처 : 위키피디아)
-
프랑스 최대 규모의 슈퍼마켓 체인중 하나인 Casino La Roseraie에 따르면 서부의 앙제 (Anges) 마을에서 직원을 대신해 자동 체크아웃이 이뤄졌다.해당 슈퍼마켓은 115 명의 직원을 고용하고 있지만 일요일 오후에는 직원들이 근무하지 않았다. 쇼핑객은 13시부터 21시까지 자동화된 체크아웃을 통해 쇼핑하고 비용을 지불했다.이미 마르세이유 및 리옹과 같은 대도시에서 직원이 없는 슈퍼마켓이 테스트된 바 있다. 특히 파리에는 자동화된 체크 아웃 기능을 갖춘 편의점이 점점 증가하고 있다.그러나 자동화된 체크아웃에 대해 프랑스 노동조합은 회의적이다. 특히 계산원을 기계나 로봇으로 교체하는 것이 일자리 손실로 이어질 것인가에 대해 우려하고 있다.이러한 우려에도 불구하고 이미 미국의 글로벌 유통업체인 아마존(Amazon Go)은 2018년 미국에서 아웃워크 매장을 오픈했다. 직원없이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자동 체크아웃이 이뤄진다.2021년까지 3,000개의 매장을 오픈할 계획이지만 진행 속도는 느리다. 중국은 2016년 광동성에 최초의 셀프 서비스 편의점인 빙고박스(BingoBox)를 오픈한 후 다시 임베디드 앱을 사용하고 있다.이와같이 자동화된 상점에 대해서는 노동자들의 일자리 감소와 같은 실질적인 문제를 함께 고려해야하는 어려움이 존재한다.즉 4차산업혁명에 따른 기술발전에 따라 대두되는 여러 문제점들을 원만히 해결할 수 있을 때 기술혁신의 혜택을 누릴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France-CasinoLaRoseraie-Robot▲ Casino La Roseraie의 전경(출처 : 위키피디아)
1
2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