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3
" 섬유 제품"으로 검색하여,
24 건의 기사가 검색 되었습니다.
-
2006년 인적분할로 설립된 진도는 모피 중심의 의류 제조 및 도소매 기업이다. 1973년 진도(주)가 설립됐으며 1988년 모피의류 내수시장을 런칭했다. 2010년 3월 상호를 주식회사 진도에프앤에서 주식회사 진도로 변경했다.주요 브랜드로는 모피 의류 브랜드인 △진도(JINDO) △엘페(ELFEE) △끌레베(KLEVER)와 기성 의류 브랜드인 △우바(UVA) △에릭자비츠 등을 운영하고 있다. 2024년 매출 비중에서 모피의류는 87.4%로 대부분을 차지했으며 기성의류는 9.8%를 기록했다.진도의 ESG(환경·사회·지배구조) 경영 현황을 진단하기 위해 홈페이지, 국가정보전략연구소(국정연) 데이터베이스(DB), 국정감사·감사원·사법기관 자료, 각종 제보 등을 참조했다.글로벌 스탠다드를 지향하며 개발된 ‘팔기(八旗)생태계(8-Flag Ecosystem)’ 모델을 적용해 진도의 ESG 경영 현황을 진단해 봤다. ▲ 진도의 ‘팔기(八旗)생태계(8-Flag Ecosystem)’ 모델 평가 결과 [출처=iNIS] ◇ ESG 경영 목표 및 계획 부재... 2023년 부채총계 167억 원으로 부채율 14.95%경영 비전은 ‘The First In Ten’으로 최고 품질과 신뢰를 바탕으로 모피 분야 마켓리더 진도와 대한민국 최고의 종합 패션사가 되는 것을 목표로 정했다.경영이념은 △세계적인 패션유통전문사로 성장 △신규볼륨 브랜드 런칭 △해외시장 공략으로 밝혔다. 기존 모피 분야에서 국내 리딩기업으로 성장하기 위해 신규 브랜드 출시 및 해외진출 본격화를 통해 종합패션 전문기업으로 성장하고자 한다. 국내외로 성장 기반을 구축해 브랜드와 조직을 세계화할 계획이다.ESG 경영에 대한 표명은 없었으며 ESG 경영 헌장 및 계획도 부재했다. ESG 경영 위원회도 설치하지 않았으며 지속가능경영 보고서도 구비하지 않았다.윤리경영을 경영의 최우선 가치로 생각하고 실천해 이해관계자로부
-
▲ 동남·서남아시아 주요 국가 [출처=iNIS]2024년 6월 동남·서남아시아 제조업 주요 동향은 다국적 기업 코카콜라(Coca-Cola)가 인도 남부 텔랑가나주에 70억 루피 규모의 그린필드 시설을 건설하겠다고 발표했다. 국내에서의 세번째 공장으로, 2022년 4월 시드디펫 지역에 2번째 공장 설립을 발표한 바 있다.태국 육상운송연맹(LTFT)에 따르면 2024년 5월 자동차 국내 생산량은 12만6161대로 전년 동월 대비 16.9% 감소했다. 경기침체와 픽업트럭·승용차의 생산량이 감소했다는 점이 주요한 원인으로 분석된다. 이와 비교해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EV) 생산량은 1만5354대로 50.71% 증가했다.[싱가포르] ST 엔지니어링(ST Engineering), 4월부터 6월까지 유럽과 US$ 1억 달러 이상의 탄약 거래 성사... 북대서양조약기구(NATO) 표준에 따른 155mm와 40mm 탄약 주문으로 방어·공공 보안 부문에서 회계연도 2024년 1월부터 3월까지 매출액 약 17억 달러 기록[싱가포르] ST 엔지니어링, 모니터링 및 제어 가능한 디지털 양수계 '브라이트시티(BrightCity)' 출시... 제공업체와 사용자 모두 물 소비량을 관리할 수 있도록 해 지속가능성 향상[말레이시아] 자동차 제조업체 DRB-하이콤, 2024년 프로톤 약 16만 대·혼다 약 8만 대 판매할 것으로 예상... 중국 저장지리그룹의 지원받아 2030년까지 전기자동차(EV) 허브 구축 목표[말레이시아] 전자제조업체인 VS 인더스트리(VS Industry Bhd), 2024년 4월 30일 마감 3분기 순이익 5442만 링릿으로 전년 동기 RM 2677만 링깃 대비 103% 증가... 동기간 매출액은 9억9678링깃에서 10억1000만 링깃으로 소폭 상승[말레이시아] 프로톤(Proton), 1983년 사업 시작 이후 차량 500만 대 제조 기록 달성... 국내 최고 베스트 카인 사가의 판매가 200만 대 이상이며 X-시리즈
-
뉴질랜드 나노섬유제조기업 레볼루션파이버스(Revolution Fibres)에 따르면 국내 근해산 생선인 호키(hoki)의 껍질에서 추출한 콜라겐을 기본 성분으로 만든 천연스킨케어제품 'actiVLayr'를 출시했다.하이테크 기술로 생선껍질을 이용해 만든 이 제품은 주름, 화상 등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테스트 결과 피부 주름을 1/3로 줄였다.또한 이 제품은 피부병, 화상, 여드름이 있는 환자 등에게 통제된 용량으로 사용이 가능할 것으로 전망된다. 또한 자동차경주팀인 포뮬라원이나 우주항공산업 등에서도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레볼루션파이버스(Revolution Fibres) 로고
-
인도네시아 산업부(Kemenperin)에 따르면 2017년 국내 섬유산업의 연간 성장률 목표치는 1.6~1.7%에 도달하는 것이다. 2016년 섬유산업 성장률은 1.2%에 그쳤다.섬유산업이 촉진되기 위해서는 '수출형' 제품의 수요가 지속돼야 한다. 2016년 섬유제품의 수출총액은 US$ 118억7000만 달러이며 2017년에는 120억 달러까지 늘어나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2017년 1~5월 섬유제품의 누적 수출총액은 51억1000만 달러로 지난해 동기에 비해 3.4% 증가했다. 중국을 비롯한 동남아지역의 섬유제품 수요가 소폭 늘어났기 때문이다.참고로 지난 3년간 지속된 섬유공장의 설비투자로 생산성과 효율성이 향상됐다. 올해 1분기 섬유산업에 대한 외국인투자총액은 17만4510만 달러로 전년 대비 17.9% 확대됐다.
-
파키스탄 통계청(PBS)에 따르면 2016/17년 7월~3월까지 9개월동안 섬유제품 수출액은$US 92억7800만달러로 전년 동기간 93억6200만달러 대비 감소했다.2016/17년 7월~3월, 9개월동안 수건(Towels) 수출액은 5억7824만달러로 전년 동기간 5억9710만달러 대비 감소했다. 반면 동기간 침대보 수출액은 15억8500만달러로 전년 동기간 15억800만달러 대비 5.11% 증가했다.2017년 3월 한달간 타월 수출액은 $US 7035만달러로 전년 동월 5076만달러 대비 15.78%나 급증하기도 했다. 수출된 타월의 양은 1만5325톤으로 전년 동기 1만3551톤보다 크게 늘어났다.▲파키스탄 타월 (출처 : 파키스탄섬유제조협회)
-
파키스탄 통계청(PBS)에 따르면 2016/17년 8개월동안 섬유수출액은 $US 82억달러로 전년 동기 대비 1.74% 감소한 것으로 집계됐다. 2016년 7월부터 2017년 2월까지 기간이다.동기간 섬유산업 중에서 원면은 전년 동기 대비 49.27%, 면사 6.14%, 카펫, 러그 및 매트 제품 17.86%, 스포츠용품 5.49%, 외과용 의료제품 5.33% 등으로 각각 감소했다.또한 카펫, 스포츠용품, 가죽제품 등을 포함한 제조업 수출도 마이너스성장을 기록했다. 카페, 매트 등은 17.86%, 스포츠용품은 5.49% 각각 줄어들었다.2016/17년 8개월동안 전체 수출액은 133.2억달러로 전년 동기 138.6억달러 대비 3.9% 감소했다. 하지만 동기간 수입은 335.2억달러로 전년 동기 대비 15.99% 증가해 무역수지 불균형이 심화됐다.▲정부 로고
-
필리핀 섬유산업개발위원회(PhilFIDA)에 따르면 2016년 1월~9월 아바카제품 수출금액은 $US 1억180만달러로 전년 동기 대비 17% 증가한 것으로 집계됐다.2015년 1월~9월 수출금액은 8670만달러였다. 아바카펄프는 7030만달러로 전체 수출금액의 20%를 차지했다. 유럽으로 수출물량은 1만2187.2톤으로 전년 동기 대비 5%, 아시아로 수출물량은 2935.4톤으로 전년 동기 대비 9% 각각 줄었다.반면에 미국으로 수출물량은 2101.5톤으로 3배나 증가했다. 2016년 1월~9월 아바카섬유 총수출물량은 1만7224.1톤을 기록했다.섬유의 수출금액은 62만3517달러로 전년 동기 78만3209달러 대비 줄었다. 섬유수공예품의 수출액은 68만달러로 전년 동기 32만달러 대비 2배나 증가했다.아바카는 차백, 고기소지지의 케이스, 수술마스크, 담배종이 등에 사용되는 섬유이다. 필리핀은 아바카제품을 미국, 독일, 영국, 프랑스, 벨기에, 중국, 대만, 한국 등에 수출하고 있다.▲섬유산업개발위원회(PhilFIDA) 로고
-
필리핀 섬유산업개발청에 따르면 2016년 1~5월 아바카(마닐라삼) 섬유 및 제품의 수출액은 5140만달러로 전년 동기 대비 39.4% 증가했다.제품들 중 주력제품인 아바카펄프의 수출액은 3420만달러로 62% 증가했다. 국가별로는 대미 수출량이 964톤을 기록해 전년 동기 102톤에서 급증했다.
-
인도네시아 섬유협회(API)에 따르면 2016년 8월 국내 섬유산업 가동률은 76%로 여전히 제한요소가 많다고 지적했다. 비가동률인 24%에 대한 분석 결과 '높은 에너지비용'이 주요인으로 드러났다.대표적인 섬유제품은 레이온(rayon fibers)과 폴리에스테르(polyester fibers)이며 생산비용은 대부분 '가스'에서 발생한다. 하지만 수입되는 가스의 가격이 비싸다보니 해외 섬유제품에 비해 가격경쟁력을 확보하지 못하는 실정이다.▲인도네시아 섬유협회 로고
-
방글라데시 정부는 글로벌 시험기관의 인증을 획득하기 위해 노력한다면 방글라데시의 ▲가죽제품 ▲기성복 ▲섬유산업제품 등의 수출이 예상보다 초과될 것이라고 주장했다. 이를 위해 특히 방글라데시인증부(BAB)와 다카상공회의소(DCCI) 등과 같은 공공기관의 협업을 촉구했다.
1
2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