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1
" 셧다운"으로 검색하여,
2 건의 기사가 검색 되었습니다.
-
2025년 10월23일 북중남미 경제동향은 미국, 캐나다, 브라질을 포함한다. 미국 트럼프 행정부가 연방정부를 셧다운하고 있는 상황에서 국가부채가 급증해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미국 트럭 제조업체는 정부의 관세정책에 대응하기 위해 캐나다 제조공장의 운영을 줄일 방침이다. 300명의 직원을 해고하며 캐나다에서 생산을 줄이고 미국에서 생산량은 늘릴 방침이다.브라질 전력업체는 회사명을 변경해 새로운 기술 및 시장 변호에 적극 대응할 계획이다. 브라질과 미국 뉴욕 증시에 상장되어 있으며 기업명도 바뀐다.▲ 미국 재무부(Department of the Treasury) 빌딩 [출처=홈페이지]◇ 미국 재무부, 2025년 10월 기준 총 국가부채가 사상 처음으로 US$ 38조 달러 상회미국 재무부에 따르면 총 국가부채가 2025년 10월 기준 사상 처음으로 US$ 38조 달러를 상회한 것으로 드러났다. 불과 2개월 전에 37조 달러가 넘은 선 이후 1조 달러가 확대됐다.정부의 부채는 2000년 이후 이전과 비교해 2배나 빨리 증가하고 있다. 또한 정부가 셧다운된 상태에서 부채가 더욱 증가하고 있어 대책 마련이 시급한 실정이다.수십 만 명의 공무원이 급여를 받지 못해 정부 기능이 정상적으로 작동하지 않고 있으며 경제에 혼란이 초래되고 있다. 정부의 정책이 중단됐으며 다시 재개하면 비용은 늘어나게 된다.백안관 산하 행정관리예산처(Office of Management and Budget)는 2023년 연방정부 셧다운으로 20억 달러의 비용이 발생했다고 밝혔다. ◇ 미국 파카(Paccar Inc), 2025년 10월22일 캐나다에 고용하고 있는 직원 300명 해고미국 트럭 제조업체인 파카(Paccar Inc)는 2025년 10월22일 캐나다에 고용하고 있는 직원 300명을 해고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약 500명의 직원은 고용을 유지한다.미국 정부가 캐나다산 수입 트럭에 관세 25%를 부과할 것이기 때문이다. 캐나다의 생산은 줄이고 미국에
-
2020-06-03미국 글로벌 시장조사기관 가트너(Gartner)에 따르면 2020년 1분기 글로벌 스마트폰 판매량이 2억9900만대로 전년 동기 3억7500만 대비 7600만대 감소했다. 2020년 1~3월 출하량이 20.5% 줄어들었다.1분기 삼성전자의 스마트폰 판매량은 22% 이상 줄어들었으며 시장 점유율은 18.5%를 기록했다. 중국 화웨이의 스마트폰 판매량은 미국의 제재 여파가 겹치면서 약 27% 감소했으며 시장 점유율은 14.2%를 차지했다.미국 애플(Apple)의 스마트폰 판매량은 8% 줄어들었으며 시장 점유율은 13.7%로 나타냈다. 또한 2020년 글로벌 모바일폰 출하량이 14.6% 감소할 것으로 전망된다.주요 글로벌 스마트폰 제조사들이 중국에 있으며 대부분 공장들이 셧다운했기 때문이다. 참고로 코로나-19가 회복되기도 전에 미국과 중국의 무역분쟁이 격화되면서 글로벌 스마트폰 시장 전망도 암울한 실정이다.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