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2
" 스크린"으로 검색하여,
13 건의 기사가 검색 되었습니다.
-
2025-06-26▲ 광주광역시 김대중컨벤션센터에서 열리는 ‘2025 광주미래산업엑스포’에 마련된 삼성전자 부스 소개 [출처=삼성전자]삼성전자(회장 이재용)에 따르면 2025년 6월25일(수)부터 28일(토)까지 광주광역시 김대중컨벤션센터에서 열리는 ‘2025 광주미래산업엑스포’에 참가해 ‘비스포크 인공지능(AI)’ 가전의 차별화된 기술력과 서비스를 선보인다.광주미래산업엑스포는 2009년부터 17회째 진행된 가전·로봇 전시회로 2025년 약 270개 업체가 참가한다.삼성전자는 △누구나 쉽게 쓰고(Easy) △시공간과 에너지를 절약하며(Save) △가족을 돌보고(Care) △집을 안전하게 지켜주는(Secured) 2025년형 ‘비스포크 AI 가전’과 스마트싱스 기반의 서비스를 소개한다.◇ 가전에 탑재된 터치스크린을 통해 매끄럽게 연결되는 ‘AI 홈’ 경험 선보여삼성전자는 2025년형 비스포크 AI 가전으로 구현한 ‘AI 홈’을 전시한다. 특히 가전에 탑재된 터치스크린을 통해 별도의 허브 없이 주방·리빙 가전과 사물인터넷(IoT) 기기까지 매끄럽게 연결하는 모습을 선보인다.삼성전자 가전에 탑재된 터치스크린은 ‘와이파이(Wi-Fi)’, ‘지그비(Zigbee)’, ‘스레드(Thread)’ 등 다양한 프로토콜을 지원해 ‘매터(Matter)’나 ‘HCA(Home Connectivity Alliance)’ 표준의 가전은 물론 조명·스위치 등 IoT 기기까지 연결하고 조작할 수 있다. (모델에 따라 지원하는 프로토콜이 다를 수 있음)삼성전자는 이러한 강력한 연결성을 기반으로 사용자 라이프스타일에 맞춰 알아서 가전이 동작하는 자동화 기능도 다양하게 선보인다.사용자가 외출하면 에어컨 등의 가전제품을 자동으로 종료하고 로봇청소기나 식기세척기를 작동시
-
2025-06-12▲ 가족 구성원의 목소리를 인식·구별해 사용자 맞춤 기능을 제공하는 ‘보이스 ID’ 기능으로 접근성 설정이 자동 적용된 모습 [출처=삼성전자]삼성전자(회장 이재용)에 따르면 2025년 6월 중 2025년형 터치 스크린이 탑재된 비스포크 인공지능(AI) 냉장고를 대상으로 ‘보이스 ID’ 소프트웨어 업데이트를 순차적으로 진행한다.신규 기능인 ‘보이스 ID’는 AI 음성 비서 ‘빅스비’를 기반으로 동작한다. 냉장고에 등록된 가족 구성원의 목소리를 인식·구별해 일정, 사진, 휴대전화 위치 확인, 접근성 설정 연동 등 사용자별 맞춤 기능을 제공한다.보이스 ID 기능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사전에 삼성계정 등록이 필요하며 일정과 사진 등을 사전에 연동해야 한다.사용자가 냉장고 앞에서 “빅스비, 내 일정 알려줘”라고 말하면 목소리를 인식해 해당 사용자의 일정을 보여준다. “빅스비, 내 사진 보여줘”라고 말하면 연동된 해당 사용자의 사진을 보여준다.“빅스비, 내 폰 찾아줘”라고 말하면 해당 사용자의 휴대전화 벨소리를 울려 집 안에서 위치를 알려주는 ‘내 폰 찾기’기능도 제공한다.또한 사용자의 목소리를 인식하면 해당 사용자의 갤럭시 스마트폰에 설정해 둔 색상 반전, 흑백 등 접근성 설정이 냉장고의 ‘AI 홈’ 스크린에 자동으로 적용된다.시력이 좋지 않거나 고령인 소비자도 스마트폰 접근성 설정과 자동으로 동기화된 냉장고 스크린을 통해 편리하게 냉장고를 사용할 수 있다.삼성전자는 냉장고의 빅스비 활성화 방식도 강화했다. 기존 “하이 빅스비” 호출 방식에 더해 냉장고의 스크린 화면이 꺼져있을 때 스크린을 두 번 톡톡 치면 빅스비가 호출된다.삼성전자는 2025년형 ‘비스포크 AI 패밀리허브’와 9형 스크린 탑재 ‘비스포크 AI 하이브리드’ 냉
-
▲ 삼성전자 모델,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리는 세계 최대 영화 산업 박람회 ‘시네마콘(CinemaCon) 2025’에서 시네마 LED 스크린 ‘오닉스(Onyx, 모델명: ICD)’ 신제품 소개[출처=삼성전자]삼성전자(회장 이재용)에 따르면 2025년 3월31일(현지시간)부터 4월3일까지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리는 세계 최대 영화 산업 박람회 ‘시네마콘(CinemaCon) 2025’에서 시네마 LED 스크린 ‘오닉스(Onyx, 모델명: ICD)’ 신제품을 공개했다.오닉스는 삼성전자가 2017년 세계 최초로 선보인 극장 전용 시네마 LED 스크린으로 뛰어난 화질과 신뢰성을 바탕으로 시네마 경험의 혁신을 선도하고 있다.영사기가 아닌 영화 스크린으로는 세계 최초로 디지털 영화협회(DCI, Digital Cinema Initiatives)로부터 화질, 음질, 콘텐츠 보안 기능 등에 대해 정립한 디지털 시네마 표준 규격 인증을 받았다.삼성전자는 시네마콘 2025에서 최신 시네마 디스플레이 기술을 탑재한 오닉스를 비롯해 삼성 컬러 이페이퍼 등 혁신 디스플레이와 함께하는 극장의 미래를 제시했다.삼성전자 영상디스플레이사업부 정훈 부사장은 “삼성전자가 세계 최초로 시네마 LED 스크린을 선보인 이후 시네마 산업도 기존 방식을 뛰어넘는 새로운 패러다임을 향해가고 있다”며 “오닉스는 극장에서만 경험할 수 있는 극강의 몰입감을 지향하는 시네마 스크린의 새로운 기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더 밝게, 더 선명하게, 더 몰입감 있게… 역대급 시네마 경험 선사시네마 LED 오닉스는 △압도적인 화질 △스크린 확장성 △다양한 미디어 서버 호환성 등에서 한 차원 더 진화했다.이번 신제품은 △4K 해상도(4096 x 2160) △최대 4K 120Hz 프레임 레이트(Frame Rate) △DCI-P3 100%의 정확한 색상 △압도적인 명암비와 깊은 블랙감 등이 특징이다.크기는 가로 길이 기준 △
-
독일 글로벌 자동차제조업체인 메르세데스벤츠(Mercedes Benz)에 따르면 2021년 1월 11일부터 14일까지 개최되는 최초의 디지털 2021 CES(Consumer Electronics Show)에서 MBUX 하이퍼스크린(Hyperscreen)을 공개할 계획이다.MBUX 하이퍼스크린은 인공지능(AI)을 이용해 인포테인먼트, 편의성 및 차량 기능의 작동과 표시를 새로운 차원으로 끌어올린 것으로 평가된다. 대형 곡면으로 이루어진 스크린으로서, 운전자와 조수석 앞 차량의 전체 폭을 따라 확장될수 있다.이와 같은 디지털 곡면 스크린은 운전자에게 직관적이고 수월하면서도 감성적인 경험을 제공할 수 있다. 완전 전기식 럭셔리 세단인 EQS에서 처음으로 옵션으로 제공될 예정이다.하이퍼스크린은 벤츠 전체 차량의 감성 지능(emotional intelligence)를 대표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글로벌 자동차제조업체들의 첨단 기술개발 경쟁은 더욱 치열해지고 있다.▲ Germany-mercedezBenz-AI▲ 메르세데스벤츠(Mercedes Benz)의 홍보자료(출처 : 홈페이지)
-
중국 글로블 전자제품 제조업체인 화웨이(華為技術有限公司)에 따르면 스마트 TV 스크린이 9월 8일에 온라인으로 판매됐다.국내 온라인 마켓 플레이스 jd.com에서 선주문이 시작됐으며 9월 19일에 공식적으로 출시될 예정이다. 이 스마트 TV 스크린은 자체 개발 운영체제인 HarmonyOS가 장착된 두번째 장치이다.스마트 TV는 화웨이의 사물인터넷(IoT)을 위한 새로운 제어센터로서 인공지능(AI) 기반의 대화형 사용자 경험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HarmonyOS는 구글의 안드로이드 OS를 대체하려는 화웨이의 계획으로 널리 알려져있다.화웨이는 자체 기술로 더 많은 신제품을 지원함으로써 HarmonyOS와 함께 자체 생태계를 구축하는 데 전진하고 있는 것으로 전망된다.특히 미국 정부의 블랙리스트에도 불구하고 자체 기술을 구축하는 중국 기술대기업의 꾸준한 발전을 보여주는 것으로 평가된다. 참고로 2019년 8월 HarmonyOS가 장착된 최초의 장치인 HONOR Vision이 공개된 바 있다. ▲ China-huawei-IOT▲ 화웨이(華為技術有限公司)의 홍보자료(출처 : 홈페이지)
-
2018-12-13영국 자동차 유리 수리 및 교체 전문회사인 오토윈드스크린(Auto Windscreens)에 따르면 고급 운전보조시스템(advanced Driver Assistance Systems, 이하 ADAS)이 장착된 새로운 포드(Ford) 밴을 추가했다. ADAS를 통해 도로에서 안전을 확보하기 위한 목적이다. 적응형 크루즈 컨트롤, 차선 이탈경고, 보행자 감지기능이 있는 충돌 완화, 속도 기호인식, 자동 하이빔 및 운전자 손상 모니터링 기능을 포함한다.ADAS는 자동차에서 대중적으로 인기가 있지만 상업용 차량 시장에는 비교적 새로운 기술로 알려져 있다. ADAS를 이용하면 2030년까지 주요 유럽 시장에서 자동차 충돌을 15% 줄일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따라서 오토윈드스크린은 보다 광범위하게 ADAS을 추가할 예정이다. 이를 통해 영국 전역 비즈니스에서 도로 안전을 개선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UK-autowindscreens-autonomouscar▲ 오토윈드스크린의 홍보 자료(출처 : 홈페이지)
-
미국 영화협회(MPA)에 따르면 2018년 중반까지 인도네시아 영화관은 1638개 스크린을 확보할 것으로 전망된다. 2012년 이후 2배로 늘어나는 것이다.2017년 기준 영화관 매출액은 $US 3억4500만달러로 미국 시장을 제외하고 세계 15위 규모를 기록한 것으로 추정된다. 영화시장이 커지면서 투자자도 늘어나고 있는 중이다.경제발전으로 중산층이 증가하면서 영화에 대한 수요가 확장되고 있다. 조코위도도 대통령은 2016년 영화산업에 대한 외국인 투자제한을 철폐했다.현재 외국인 투자자들은 영화 생산, 분배, 전시 등에 관련된 기업의 지분 100%를 소유할 수 있다. 한국의 CJ CGV, 롯데 시네마(Lotte Cinema) 등이 국내 시장에 진출해 있는 상태이다.현지기업으로는 리포그룹(Lippo Group)이 자체적인 시네맥스(Cinemaxx) 브랜드를 앞세워 시장을 공략 중이다. 45개 극장에 226개 스크린을 확보하고 있는데 5년 이내에 1000개 스크린까지 확장할 계획이다.▲리포그룹(Lippo Group)의 시네맥스 영화관(출처 : 홈페이지)
-
일본 후쿠비화학공업(フクビ化学工業)은 2016년 8월 1일부터 창틀에 설치해 알루미늄 샷시에 단열성을 높이는 고성능 스크린 ‘레제리아’를 판매한다고 밝혔다.새로운 제품은 스크린 양쪽에 1.2밀리미터인 최소 사이즈의 파스너를 장착해 샷시와 스크린 사이의 기밀성을 높여 단열성을 30~40% 향상시킬 수 있게 됐다. 또한 자유롭게 위치를 정해 고정할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이에 기존 샷시에 비해 전체 비용을 20% 절감할 수 있으며 설치도 간단해 기존 스크린의 절반 이하의 시간 안에 작업을 완료할 수 있다.최근 주택의 에너지절약 대응이 진행되고 있는 가운데 당사는 신규주택이나 리모델링 등의 수요확대를 전망하고 있다.▲레제리아 이미지(출처 : 후쿠비화학공업)
-
일본 후쿠비화학공업(フクビ化学工業)은 2016년 8월 1일부터 창틀에 설치해 알루미늄 샷시의 단열성을 향상시키는 고성능 스크린 ‘레제리아’ 판매한다고 밝혔다. 새로운 제품은 샷시와 스크린 사이의 기밀성을 높여 단열성을 30~40% 향상시킬 수 있다.
-
일본 전자기기업체인 스크린홀딩스(SCREENホールディングス)는 2016년 스마트폰용 유기EL패널을 양산하는 장치 사업에 진출할 계획이라고 밝혔다.미국 스마트폰업체인 애플이 유기EL을 채택할 방침을 나타내면서 스마트폰 관련 부품의 증산이 확산되고 있기 때문이다.
1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