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1
" 스트롱"으로 검색하여,
5 건의 기사가 검색 되었습니다.
-
2021-05-24네덜란드 글로벌 맥주 및 주류 제조사인 하이네켄(Heineken)에 따르면 남아프리카공화국 주류 및 음료 제조업체인 디스텔(Distell)을 인수하기 위해 협의 중인 것으로 드러났다. 2021년 5월 현재 기준 디스텔의 시가총액은 R318억랜드(US$ 22억7000만달러)로 평가받고 있다. 하이네켄은 와인, 양주, 사이다 등을 제조하는 디스텔의 사업 대부분을 인수하는데 관심을 기울이고 있다.2016년 하이네켄은 남아공에서 스트롱보우(Strongbow)라는 브랜드를 론칭했다. 디스텔은 최근 몇 년 동안 국내뿐만 아니라 아프리카 대륙 내 국가들로 사업을 확장해왔다. 하이네켄의 이번 디스텔 인수 전략은 2020년 6월 네덜란드 본사에서의 8000명 감원을 통해 이익률을 회복하려는 계획의 일부분으로 분석된다.2021년 현재 기준 하이네켄과 세계에서 가장 큰 1위 사이다 제조업체이며 디스텔은 2위 사이다 제조업체로 시장 지배력을 유지하고 있다.▲디스텔(Distell) 홍보자료(출처 : 홈페이지)
-
2018-10-22미국 글로벌 햄버거 체인업체 버거킹(Burger King)에 따르면 10월 15일부로 싱가포르 매장에서 제공되는 음료수용 플라스틱 뚜껑과 스트로(빨대)를 더이상 제공하지 않았다.이 같은 친환경 정책은 현지 42개 점포에 적용되고 있으며 냉음료(cold drink)에 한해 시행되고 있다. 그러나 어린이층 고객들이 기존의 플라스틱 용품을 원하고 있어 제도가 완전히 정착되지는 못하고 있다.한편 버거킹 경영진은 플라스틱 사용에 대한 환경 인식을 고객들이 다시 생각해볼 수 있다는 점에서 장기적인 효과를 기대하고 있다. 슈퍼마켓의 비닐봉투가 종이봉투로 대체되는 추세를 대표적인 사례로 제시했다.현재 싱가포르 점포에서 배출되는 플라스틱 뚜껑 및 스트로 폐기물은 연 평균 14.7메트릭톤(MT)에 달한다. 버거키 외에 동종계 매장에서 배출되는 양까지 고려하면 폐기물 양은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난다.버거킹의 친환경 제도가 정착된다는 것은 동종 및 유사 식품업계에도 큰 영향을 줄 것으로 판단된다. 최근 몇 년간 '플라스틱 제로' 운동에 참여하는 외식업계가 늘어 나고 있다.참고로 미국의 치킨체인업체 KFC는 2018년 6월부터 버거킹과 같은 환경정책을 채택해 시행하고 있다. 또한 커피체인업체 스타벅스(Starbucks)도 플라스틱 스트로를 종이 스트로로 대체 중이다.▲버거킹(Burger King) 홈페이지
-
2018-07-12▲ 말레이시아 정부 로고말레이시아 정부에 따르면 2018년 플라스틱 봉투에 이어 '플라스틱 빨대' 사용도 줄여나갈 계획이다. 환경정책의 대상이 점점 확대되는 셈이다.지난 2017년 셀렝고르주와 쿠알라룸푸르주는 플라스틱 봉투의 사용을 금지하는 제도를 도입했다. 한 봉투당 20센을 지불하려고 해도 마트에서 판매하지 않았다.도입 초기에는 소비자들이 불편함을 호소했지만 점차 개인용 장바구니나 종이봉투 사용을 늘려가기 시작했다. 지금은 주 전지역에 이같은 형세가 잘 자리잡은 상태다.최근 미국 대형커피체인 스타벅스(Starbucks)에서 해양환경을 보존하기 위해 플라스틱 빨대의 사용을 감축시키겠다고 발표했다. 어류의 생장저해도 주요인으로 꼽았다.말레이시아 정부도 플라스틱 빨대가 주요 소매점마다 남용되고 있다는 사실을 인지했다. 플라스틱 컵과 더불어 빨대의 부적절한 처리방식과 오염실태도 지적했다.현재 정부 측은 플라스틱 빨대의 사용 금지 및 감축안을 검토하고 있다. 다만 대체안인 친환경소재 빨대는 가게와 소비자의 비용 부담을 가중시킬 수 있다고 우려했다.
-
일본 식음료업체인 산토리식품인터내셔널(サントリー食品インターナショナル)은 2016년 6월 탄산함유량이 높은 '펩시스트롱 5.0GV'를 발매한다고 발표했다.목넘김이 자극적인 강한 탄산이 특징으로 높은 탄산가스 압력에 버티는 두툼한 페트병을 새롭게 채용했다. 사내 스트레스 발산 등을 목적으로 자극이 강한 탄산음료를 찾는 수요가 확대되고 있다고 판단해 일본시장용으로 발매했다. 희망소비자가격은 490밀리리터에 140엔이다.
-
2013-09-23오리온그룹(이하 오리온)은 1934년 설립한 풍국제과에서 출발한다. 동양그룹의 창업주 이양구 회장이 1956년 풍국제과를 인수해 동양제과공업으로 법인 전환했으며, 현재의 ㈜오리온이 됐다. 창업주의 둘째 사위인 담철곤 회장이 2001년 동양제과와 엔터테인먼트 계열 16개사를 동양그룹으로부터 분리∙독립했다.오리온은 담철곤 회장의 횡령∙배임혐의에 대한 검찰의 구속 및 집행유예 판결, 동반성장위원회의 오리온 외식프랜차이즈 마켓오의 중소기업 적합업종 지정, 스포츠토토 경영진의 횡령사건으로 선정 탈락위기에 직면하는 등 총체적인 위기에 직면해 있다. 또한 최근 동양그룹의 유동성 위기를 해결하기 위해 오리온이 해결사로 나설 수 밖에 없는 상황이 발생해 진퇴양난의 처지다. ◇ 오리온그룹의 주요 계열사와 평가대상 기업오리온그룹은 국내17개, 해외22개, 총39개의 계열사를 가지고 있으며, 주요계열사는 표1과 같이 식품제조, 건설, 오락/서비스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표1. 오리온의 주요 계열사와 평가대상]식품제조부문 계열사는 (주)오리온, 오리온스낵인터내셔널, 오리온음료 등이 있다. (주)오리온은 1934년 설립한 풍국제과가 모태로 동양그룹의 창업주인 이양구회장이 1956년 인수해 동양제과공업으로 변경했다.1962년 오리온제과공업, 1986년 동양제과로 변경되었다가 2003년 현재의 상호로 변경됐다. 주요사업은 비스킷, 파이, 껌, 초콜릿 등 과자류의 생산∙판매, 외식 프랜차이즈인 마켓오 레스토랑 운영 등이다.오리온스낵인터내셔널은 1987년 미국 펩시코와 합작 설립한 오리온프리토레이가 모태로 2004년 현재의 상호로 변경됐다. 주요 사업은 스낵류, 강정류 등의 제조∙판매이다. 오리온음료는 청량음료, 곡류음료, 기호음료 등 각종 음료의 제조∙판매를 위해 1992년 설립했다. 기업의 매출규모·이익 등을 고려해 ㈜오리온, 오리온스낵인터내셔널을 평가대상으로 했다.건설부문 계열사는 메가마크, 리온자산개발, 하이랜드디앤씨, 미소인 등이 있다.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