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2
" 엑스포"으로 검색하여,
20 건의 기사가 검색 되었습니다.
-
2025-03-25▲ 고양시 킨텍스에서 열린 ‘2025 세계 보안 엑스포’(오른쪽 세 번째 황호원 항공안전기술원장)[출처=항공안전기술원]항공안전기술원(KIAST, 원장 황호원)에 따르면 2025년 3월19일(수)부터 21일(금)까지 경기도 고양시 킨텍스에서 열린 ‘2025 세계 보안 엑스포(SECON 2025)’에 참가했다2025 세계 보안 엑스포는 미래 보안산업 발전을 위해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주최로 열린 국내 최대 규모 보안 전시회다물리보안 및 정보보호 솔루션을 한자리에서 경험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는 국내 보안 기업의 글로벌 비즈니스 진출을 지원하는 중요한 행사다. 올해로 24회를 맞이하는 이번 엑스포에는 다수의 보안 관련 기업과 기관이 참여해 첨단 기술을 선보였다.황호원 항공안전기술원장은 항공보안 분야의 전문가로서 이번 행사에서 보안산업 관계자, 기업, 기관을 대상으로 항공보안장비 성능인증제도의 운영 현황과 항공안전기술원의 역할을 소개했다. 또한 보안기업 및 관련 산업의 활성화를 위한 지원 방안을 논의하며 협력 방안을 모색하는 시간을 가졌다.특히 황 원장은 행사 기간 국내 항공보안장비 제조업체들의 전시 부스를 방문해 출품 장비에 대한 설명을 듣고, 개발 및 인증 과정에서의 애로사항과 제도 개선 방향에 대한 의견을 수렴했다. 이를 통해 현장 관계자들의 목소리를 직접 듣고 실질적인 지원 방안을 마련하는 계기를 마련했다.공항 및 화물터미널 등 국가 주요 시설에서 활용되는 보안장비의 기술 경쟁력 향상과 산업 발전 방안에 대해 논의하는 자리를 통해 국내 보안장비 기업과 협력 관계를 더욱 공고히 했다.항공안전기술원은 국토교통부가 지정한 항공보안장비 성능인증제도 운영 공인기관으로서 국내외 항공보안 환경 변화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고 국가보안 역량 강화를 위한 정책적·기술적 지원을 지속할 계획이다.황 원장은 “이번 세계 보안 엑스포는 보안장비 기업과 협력을 강화하고 보안산업 생태계에 대한 이해를 높이는 뜻깊은 기회였다”며 “앞으로도 항공보안장비 성능인증제도의 내실화를 통해 국내 보안장비 산업의 기술 자립과 성장 기반을 마련하는 데 최선을 다하겠다”고 강조했다.
-
▲ 주빌란트 바르티아 그룹(Jubilant Bhartia Group) 로고[출처=주빌란트 바르티아 그룹 홈페이지]2024년 12월11일 서남아시아 경제는 인도와 파키스탄을 포함한다. 인도 EPC업체 VPRPL은 아지메르-찬데리야 노선을 두 배로 늘리고자 북서부철도 아지메르 지부와 Rs 10억3000만 루피 상당의 계약을 맺었다.◇ 미국 코카콜라, 인도 힌두스탄 코카콜라 음료((Hindustan Coca-Cola Beverages) 지분 40% 주빌란트 바르티아 그룹(Jubilant Bhartia Group)에 매각미국 코카콜라(Coca-Cola Company)에 따르면 계열사 중 인도 병입업체 힌두스탄 코카콜라 음료(Hindustan Coca-Cola Beverages)의 지분 40%를 주빌란트 바르티아 그룹(Jubilant Bhartia Group)에 매각했다.코카콜라는 시스템을 구축하며 인도에서의 입지를 강화하고자 전략적 투자를 결정했다. 참고로 인도는 코카콜라의 시장 중 다섯번째로 큰 규모를 차지하고 있다.EPC업체 VPRPL(Vishnu Prakash R Punglia Ltd)는 북서부철도(North Western Railway) 아지메르(Ajmer) 지부와 Rs 10억3000만 루피 상당의 계약을 체결했다.해당 프로젝트는 아지메르-찬데리야(Chanderiya) 노선을 두 배로 늘리는 것을 목표로 한다. 중요 교량 건설 및 아다르쉬 나가르(Adarsh Nagar)과 라일라 도로(Raila Road) 사이 지역에서 보조적인 공사를 포함한다.◇ 방글라데시 월톤 그룹(Walton Group), ATS 엑스포 2024에서 수주한 금액 35억 타카방글라데시 월톤 그룹(Walton Group)에 따르면 자사가 주최한 "ATS(Advanced Technology Solution) 엑스포 2024"에서 타기업으로부터 35억 타가 상당을 수주했다고 밝혔다.국내에서 유일한 산업 박람회로 바순다라 푸바찰시에서 3일간 개최됐다. 월톤은 새로운 VRF 에어컨 모델과 대형 디스플레이를 특징으로 하는 분할형 AC를 선보였다.
-
2024-10-12▲ 아랍에미리트 냉방 서비스 제공업체인 Empower(Emirates Central Cooling Systems Corporation PJSC)는 일본 미쓰비스 중공업의 냉방 시스템 개발 자회사인 MHI Thermal Systems과 파트너십을 체결했다. [출처=Empower 엑스(X) 계정] 2024년 10월 2주차 아랍에미리트 경제는 정보통신기술(ICT)과 서비스, 통계 등을 포함한다. 아랍에미리트 공항 서비스 제공업체이 두바이 국립항공여행사(dnata)에 따르면 대한민국 저가항공사인 티웨이항공(T’way Air)과 이탈리아 로마 피우미치노 레오나르도 다빈치 공항(FCO)의 케이터링 서비스에 대한 다년간 계약을 체결했다.아랍에미리트 정부에 따르면 2023년 국내 비석유 부문 수출의 22%는 도로 운송으로 진행됐다. 2023년 도로 운송을 통한 비석유 부문의 수출 규모는 AED 5764억 디르함(US$ 1569억 달러)로 집계됐다.○ 아랍에미리트 국영 재생에너지 회사인 마스다르(Masdar)에 따르면 2023년 재생에너지 포트폴리오 규모는 31.5기가와트(GW)로 전년 대비 58% 확장했다.연간 지속가능 보고서에 따르면 2023년 재생에너지 발전량은 2만6700기가와트시(GWh) 이상이며 이산화탄소(CO2e) 배출량은 1400만 톤(t)을 절감했다.해외 시장에 진출해 글로벌 재생에너지 비중을 50% 이상 늘리며 재생에너지 규모를 확장할 수 있었다. ESG 경영의 일환으로 자산의 환경 부문 실적을 강화할 방침이다.○ 아랍에미리트 상품 교환 및 자유무역지역인 두바이 종합 상품센터(DMCC)에 따르면 스위스 블록체인 벤처자본기업인 크립토벨리벤처캐피털(CV VC)과 지역별 웹3(Web3) 생태계 향상 및 지원을 위한 전략적 협업을 체결했다.협업을 통해 스위스와 두바이의 각 운영 기관의 웹3 앙트레프레너십을 가속화해 웹3 생태계 내의 입지를 강화하고자 한다.양사 간의 지역 협업의 일환으로 교육 프로그램과 워크숍, 지식 공유, 협업 이벤트 등을 진행해 블록체인 기술 이노베이션을 강화할 계획이다.○ 아랍에미리트 두바이 주차 시설 및 서비스 제공기업인 파킨(Parkin Company)에 따르면 영국 항공 자산 서비스 및 드론 기업인 스카이포츠 인프라시설(Skyports Infrastructure)과 두바이 수송 인프라시설 개선을 위한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파킨의 주차 시설 네트워크에 스카이포츠의 수직이착륙장(Vertiport) 인프라시설을 도입해 서비스 제공 범위를 확장할 계획이다.협업에 따라 양사는 수직이착륙장에 주차 시설을 제공하며 새로운 에어 택시(Air taxi) 인프라시설의 개발과 에어 택시 서비스를 확장하고자 한다.▲ 두바이 주차 시설 및 서비스 제공기업인 파킨(Parkin Company)은 2024년 10월 스카이포츠 인프라시설(Skyports Infrastructure)과 두바이 수송 인프라시설 개선을 위한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 [출처=스카이포츠 인프라시설 홈페이지]○ 아랍에미리트 정부에 따르면 2024년 10월 요르단과 포괄적경제동반자협정(CEPA)을 체결했다. 양국간 투자 규모는 US$ 225억 달러를 초과했다.주요 산업 부문인 에너지, 농업, 식량 안보 등의 협업 강화와 원활한 무역 및 투자 흐름을 조성하는 것에 도움을 줄 것으로 전망된다.CEPA의 일환으로 재생가능에너지 개발을 통해 2020-2030 요르단 에너지 전략(Jordan Energy Strategy)을 지원할 계획이다. 현재 요르단 발전량의 29%는 태양열과 풍력 발전을 통해 충족하고 있○ 아랍에미리트 공항 서비스 제공업체이 두바이 국립항공여행사(dnata)에 따르면 대한민국 저가항공사인 티웨이항공(T’way Air)과 이탈리아 로마 피우미치노 레오나르도 다빈치 공항(FCO)의 케이터링 서비스에 대한 다년간 계약을 체결했다.계약에 따라 dnata는 인천국제공항(ICN)과 로마 노선을 이용하는 고객을 대상으로 연간 8만개 이상의 식사를 준비 및 공급하게 된다.티웨이항공은 1주에 3회 해당 노선을 운항한다. 티웨이는 로마를 비롯해 최근 바르셀로나, 프랑크푸르트, 파리 등 유럽 지역의 운영을 확장하고 있다.현재 dnata는 이탈리아 국내의 11개 항공 내에서 37개 항공사에 케이터링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아랍에미리트 냉방 서비스 제공업체인 Empower(Emirates Central Cooling Systems Corporation PJSC)에 따르면 일본 미쓰비시중공업의 냉방 시스템 개발 자회사인 MHI Thermal Systems(Mitsubishi Heavy Industries Thermal Systems Ltd)와 파트너십을 체결했다.계약에 따라 2025년부터 최신 기술을 활용한 고효율 터보 냉동기 18대를 공급할 계획이다. 전체 수용량은 5만6250냉동톤(RT)로 두바이 내 여러 냉각 시설에 배치한다.이번 협업은 양사 간 2번째 협업 계약 체결이다. 두바이 내 주거, 상업, 보건, 교육 등 다양한 부문의 고객들에게 최신 기술을 접목한 냉각 시설을 제공할 방침이다.양사는 냉방 인프라 시설의 기술 발전과 에너지 효율 솔루션을 통한 탄소 중립 사회를 가속화하기 위해 노력을 기울일 방침이다.○ 아랍에미리트 부동산 서비스 기업인 알다(Aldar)에 따르면 두바이 전시관 및 무역센터인 엑스포 시티 두바이(Expo City Dubai)와 복합 용도 건설 프로젝트에 대한 파트너십을 체결했다.50대50 조인트벤처에 따라 두바이 국제공항인 알막툼 국제공항(Al Maktoum International Airport) 근처에 주거, 오피스, 소매업 등 다목적 건물 6개를 건설한다.건축 규모는 AED 17억5000만 디르함(US$ 4억8000만 달러)이며 완공 이후 주요 국제 행사 개최 등 비즈니스와 관광업을 향상시킬 계획이다.○ 아랍에미리트 정부에 따르면 2023년 국내 비석유 부문 수출의 22%는 도로 운송으로 진행됐다. 2023년 도로 운송을 통한 비석유 부문의 수출 규모는 AED 5764억 디르함(US$ 1569억 달러)로 집계됐다.국내 주요 도시와 항만, 산업 지역을 연결하는 UAE 철도 프로그램(The UAE Railway Programme)의 개발에 집중할 방침이다.국내 철도와 지원 부문의 개발을 통해 경제 기회와 일자리 창출을 목표로 정했다. 화물 수송 이후 2025년 말부터 주요 관광지를 연결하는 승객 교통 부문을 시작할 예정이다.
-
▲ 사우디아라비아 신도시 지역인 네옴(NEOM)은 콘크리트 제조 시설 건설을 위해 건설 및 엔지니어링 기업인 아사스 알 모히렙(Asas Al-Mohileb)과 파트너십 계약을 체결했다. [출처=네옴 홈페이지]2024년 10월11일 중동 경제동향은 아랍에미리트와 사우디아라비아의 건설과 교통을 포함한다. 아랍에미리트 정부에 따르면 2023년 국내 비석유 부문 수출의 22%는 도로 운송으로 진행됐다.사우디아라비아 신도시 지역인 네옴(NEOM)에 따르면 건설 및 엔지니어링 기업인 아사스 알 모히렙(Asas Al-Mohileb)과 SAR 7억 리얄(US$ 1억8640만달러) 규모의 파트너십 계약을 체결했다.◇ 아랍에미리트 알다(Aldar), 엑스포 시티 두바이(Expo City Dubai)와 복합 용도 건설 프로젝트에 대한 파트너십 체결아랍에미리트 부동산 서비스 기업인 알다(Aldar)에 따르면 두바이 전시관 및 무역센터인 엑스포 시티 두바이(Expo City Dubai)와 복합 용도 건설 프로젝트에 대한 파트너십을 체결했다.50대50 조인트벤처에 따라 두바이 국제공항인 알막툼 국제공항(Al Maktoum International Airport) 근처에 주거, 오피스, 소매업 등 다목적 건물 6개를 건설한다.건축 규모는 AED 17억5000만 디르함(US$ 4억8000만 달러)이며 완공 이후 주요 국제 행사 개최 등 비즈니스와 관광업을 향상시킬 계획이다.아랍에미리트 정부에 따르면 2023년 국내 비석유 부문 수출의 22%는 도로 운송으로 진행됐다. 2023년 도로 운송을 통한 비석유 부문의 수출 규모는 AED 5764억 디르함(US$ 1569억 달러)로 집계됐다.국내 주요 도시와 항만, 산업 지역을 연결하는 UAE 철도 프로그램(The UAE Railway Programme)의 개발에 집중할 방침이다.국내 철도와 지원 부문의 개발을 통해 경제 기회와 일자리 창출을 목표로 정했다. 화물 수송 이후 2025년 말부터 주요 관광지를 연결하는 승객 교통 부문을 시작할 예정이다.◇ 사우디아라비아 네옴(NEOM), 아사스 알 모히렙(Asas Al-Mohileb)과 SAR 7억 리얄(US$ 1억8640만 달러) 규모 파트너십 계약 체결사우디아라비아 신도시인 네옴(NEOM)에 따르면 건설 및 엔지니어링 기업인 아사스 알 모히렙(Asas Al-Mohileb)과 SAR 7억 리얄(US$ 1억8640만 달러) 규모의 파트너십 계약을 체결했다.협업에 따라 더 라인(THE LINE) 건설에 중요한 역할을 수행할 콘크리트 제조 시설을 건설할 계획이다. 더 라인은 네옴 내에서 구축하고 있는 계획 신도시이다. 탄소포집활용(CCU) 기술을 활용해 탄소 배출이 없도록 설계됐다.새로운 콘크리트시설은 주요 건설 부문 지원을 목적으로 2024년 11월부터 운영을 가동할 계획이다. 2025년 현지 일자리 500개 이상을 창출할 것으로 전망된다.
-
▲ EXPO 2025 홈페이지중국 정부는 침체하는 경제를 지탱하기 위해 대형 국유은행에 최대 1조 위안의 자본을 투입을 검토 중이다. 대형 금융기관은 성장 둔화, 부동산 위기 등으로 이자 축소, 이익 침체, 불량 채권의 증가에 고민이 깊어지고 있다.중국 통신장비 대기업 화웨이(头华)는 2024년 10월 중 자체 개발한 운영체제 HarmonyOS NEXT의 베타 버전을 공개할 예정이다.중국 항저우시(杭州市人民政府) 컨벤션 전시센터에서 개최된 제3회 글로벌 디지털 무역 박람회(第三届全球数字贸易博览会)에서 주요 프로젝트 조인식이 개최됐다.일본 ANAHD에 따르면 2025년 오사카·간사이 엑스포에서 '하늘을 나는 자동차'에 대한 일반인을 태워 비행하는 상용 운항을 보류하기로 했다.일본 국세청(国税庁)은 2023년 민간기업 직원 및 파트 타임 종사자의 평균 급여(상여포함)가 459만5000엔으로 2022년 대비 0.4%인 1만9000엔이 증가했다고 밝혔다.Z/Yen Group Limited에 따르면 홍콩의 글로벌 금융센터 지수가 121개 금융 중심지 중 3위를 차지했으며 아시아/태평양 지역에서는 1위를 기록했다. 뉴욕과 런던이 각각 1, 2위를 차지했으며 한국 서울은 11위를 기록했다.◇ 중국 화웨이(头华), 10월 자체 개발한 운영체제 HarmonyOS NEXT 베타 버전 공개중국 정부는 침체하는 경제를 지탱 하기 위해 대형 국유은행에 최대 1조 위안의 자본을 투입을 검토 중이다. 대형 금융기관은 성장 둔화, 부동산 위기 등으로 이자 축소, 이익 침체, 불량 채권의 증가에 고민이 깊어지고 있다.폭넓은 경기 자극책의 일환으로 주로 특별 국채를 발행해 충당할 에정이다. 정부가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처음으로 대형 국유은행에 자본을 투입할 계획을 추진하고 있다.중국 통신장비 대기업 화웨이(头华)에 따르면 2024년 10월 자체 개발한 운영체제 HarmonyOS NEXT의 베타 버전을 공개할 예정이다.운영체제는 자체 개발 아키텍처를 사용했으며 화웨이가 안드로이드와 완전히 분리하는게 핵심이다. 공개 베타에 참여할 첫 번째 모델은 화웨이 메이트 60 시리즈, 화웨이 메이트 X5 시리즈, 화웨이 메이트패드 프로 13.2인치 시리즈 등이다.중국 항저우시(杭州市人民政府) 컨벤션 전시센터에서 개최된 제3회 글로벌 디지털 무역 박람회(第三届全球数字贸易博览会)에서 주요 프로젝트 조인식이 개최됐다.박람회에서 국내 자금 지원 프로젝트 28개, 외국인 투자 프로젝트 8개 등 총 36개 프로젝트가 현장에서 체결됐다. 총 투자액은 1024억8000만 위안으로 1000억 위안을 초과했다.투자금액이 20억 위안 이상인 프로젝트는 23개이며 이 중 50억 위안 이상 프로젝트가 7개를 차지했다. 또한 3분의 2인 24개 프로젝트가 고급 제조 프로젝트다.◇ 일본 ANAHD, 2025년 오사카·간사이 엑스포에서 '하늘을 나는 자동차'에 대한 일반인을 태워 비행하는 상용 운항 보류ANAHD에 따르면 2025년 오사카·간사이 엑스포에서 '하늘을 나는 자동차'에 대한 일반인을 태워 비행하는 상용 운항을 보류하기로 결정했다.일본항공(日本航空)도 상용운항을 보류 하고 두 운항사업자 모두 시험 비행을 할 계획이다. 일본과 미국으로 부터 개막전 안전성에 관한 허가 획득이 어려울 것으로 판단하고 있기 때문이다.일본국제박람회협회(日本国際博覧会協会, 万博協会), 정부, 오사카부, 오사카시 등 비행하는 자동차에 관한 회의를 열고 각 사업자의 준비상황 확인 과정에서 드러났다.일본 국세청(国税庁)에 따르면 2023년 민간기업 직원 및 파트 타임 종사자의 평균 급여(상여포함)가 459만5000엔으로 2022년 대비 0.4%인 1만9000엔이 증가했다.비교 가능한 2014년분 이후 과거 최고치를 기록했다. 인력 부족 등으로 임금이 상승하면서 3년 연속 증가했다.2023년 말 기준 원청징수의무가 있는 약 350만 사업소 중 약 2만7000 사업소, 급여소득자 약 30만 명을 추출해 급여액을 산출했다.남성이 568만5000엔, 여성은 315만8000엔을 각각 기록했다. 정규직 직원은 530만3000엔, 정규직 이외 직원은 201만90001엔으로 조사됐다.◇ 홍콩, 글로벌 금융 센터 지수가 121개 금융 중심지 중 3위 차지글로벌 시장조사업체인 Z/Yen Group Limited에 따르면 홍콩의 글로벌 금융 센터 지수가 121개 금융 중심지 중 3위를 차지했으며 아시아/태평양 지역에서는 1위를 기록했다. 뉴욕과 런던이 각각 1, 2위를 차지했다.홍콩이 비즈니스 환경, 인적 자본, 인프라, 평판 및 포괄성 부문 등 경쟁력 측면에서 최고 수준에 속한다고 평가했다. 투자관리, 보험산업, 은행산업, 전문서비스 등 금융 산업 분야에서 순위가 크게 상승했다.한국 서울의 글로벌 금융센터 지수는 11위를 기록했으며 아시아/태평양 지역에서는 홍콩, 싱가포르, 상하이, 선전 다음으로 5위를 기록했다. 6위는 베이징, 7위는 도쿄, 8위 부산, 9위 시드니, 10위 칭다오 등이다.
-
▲ 탄소회계 솔루션 기업 엔츠가 ‘2024 탄소중립 엑스포’에 참가한다[출처=엔츠]탄소회계 솔루션기업 ‘엔츠(AENTS)’는 2024년 9월4일~6일까지 3일간 부산 벡스코에서 개최되는 ‘2024 탄소중립 엑스포(넷제로 엑스포, Net Zero Expo)’에 참가해 SaaS 기반 탄소회계 플랫폼 ‘엔스코프’를 소개한다.탄소중립 엑스포는 부산 벡스코 제1전시장에서 산업계 탄소중립 이행 성과를 공유하고 확산하기 위한 자리로 산업통상자원부가 주최한다.엑스포는 2023년부터 통합 범부처 행사로 확대됐으며 2024년 ‘기후산업국제박람회(World Climate Industry Expo, WCE)’의 일환으로 ‘무탄소에너지관-탄소중립존’에서 진행된다.주요 행사는 △탄소중립의 글로벌 동향과 국내 유망기술을 공유하는 ‘글로벌 탄소중립 기술 컨퍼런스’ △국내외 탄소 규제에 따른 대응 방안을 함께 모색하는 ‘탄소중립 세미나’ 등도 마련될 예정이다.이번 탄소중립 엑스포에서 엔츠는 탄소회계 플랫폼 ‘엔스코프’를 중심으로 기업이 탄소중립을 실현하기 위해 이행해야 하는 전 과정을 소개한다.탄소배출량 측정부터 공유, 분석, 제3자 검증, 감축 계획 수립, 배출권 거래까지 하나의 플랫폼에서 어떻게 자동화하고 관리하는지 공개하고 부스 방문 참관객을 대상으로 다양한 프로모션을 진행한다.부스를 방문하는 모든 기업에게 ‘엔스코프’를 통해 온실가스 인벤토리 구축 및 스코프(Scope) 1, 2 탄소배출량 관리를 경험해볼 수 있는 플랫폼 무료 사용 혜택을 제공한다. 일부 기업에게는 기후변화 전문 컨설턴트의 기업 맞춤 컨설팅 기회도 주어진다.더불어 박광빈 엔츠 대표는 9월6일 열리는 탄소중립 세미나에서 ‘글로벌 기후 공시 동향과 국내 기업의 대응 방안’을 주제로 발표한다.탄소정보공개 프로젝트(CDP), 국제 지속가능성 공시 기준(ISSB) 등 빠르게 변화하고 있는 글로벌 기후 공시 동향과 규정에 대해 소개한다.그에 따라 국내 기업이 수행해야 하는 탄소배출량 산정, 탄소정보 공개, 탄소중립 로드맵 수립 등 다양한 업무에 대해 설명하고 대응 방안을 제시한다.또 이해를 돕기 위해 자사 플랫폼 ‘엔스코프’의 고객사례도 규모별·산업별로 공개하고, 실제 기업이 어떻게 탄소중립에 대응하고 있는지 소개할 예정이다.엔츠는 탄소회계 플랫폼 ‘엔스코프’를 기반으로 기업의 탄소중립 이행 전 과정을 지원하는 기후테크 스타트업으로 국내 최초로 탄소회계 서비스를 상용화했다.‘엔스코프’에 기업의 내부 ERP 시스템과 한국전력공사, 폐기물 적법처리를 위한 ‘올바로(All baro)’ 시스템 등 외부 시스템을 연동해 데이터를 자동으로 수집하고 국제표준에 근거해 탄소배출량을 산정·분석·검증한다.또 글로벌 공시를 위한 탄소 리포트의 자동 생성과 감축 프로젝트 추천 및 시뮬레이션을 지원하며, 규제 대응을 위한 제3자 검증과 배출권 거래도 하나의 플랫폼에서 가능하다.2024년 4월 기업의 지속가능성 공시 제도 대응을 지원하기 위해 ESG 데이터 수집 및 관리에 중점을 둔 ‘엔스코프 for ESG’를 선보이기도 했다.한편 올해로 세번째 탄소중립 엑스포에 참가하는 엔츠의 부스는 벡스코 제1전시장 ‘a038’에 위치한다. 행사와 관련한 자세한 내용은 엔츠 홈페이지(https://aents.co)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엔츠 박광빈 대표는 “엔츠는 진정한 넷제로 실현을 위해 단순히 탄소배출량 측정과 보고에 집중하는 것이 아니라 기업이 탄소중립을 이행하는데 필요한 업무 역량을 내재화하고 실제 탄소배출량을 감축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다”고 강조했다.또한 “최근 EU CBAM, 미국 청정경쟁법 등 글로벌 수출 규제 대응, ESG 공시 등 다양한 이유로 기업의 탄소중립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이번 탄소중립 엑스포의 엔츠 부스에 기업 관계자들이 많이 방문하셔서 필요한 정보를 얻어가시길 바란다”고 말했다.
-
▲ 쿠바 국기[출처=CIA]2024년 6월 4주차 쿠바 경제동향은 2024년 6월17일부터 21일까지 하바나(Havana)의 파브엑스포(PABEXPO)에서 쿠바산업 국제전시회("Cubaindustria 2024") 개최했다.○ 정부, 2024년 6월17일부터 21일까지 하바나(Havana)의 파브엑스포(PABEXPO)에서 쿠바산업 국제전시회("Cubaindustria 2024") 개최... 약 300여 곳의 국내외 전시업체 참석 ▲ 김봉석 기자[출처=iNIS]
-
10월15일 방탄소년단(BTS)은 ‘2030부산세계박람회’ 유치를 기원하기 위한 ‘BTS 옛 투 컴인 부산(BTS 'Yet To Come' in BUSAN)’ 콘서트를 개최할 예정이다. BTS 팬 10만명이 방문할 것으로 추정되는데 정작 부산광역시는 후원만 하고 비용과 행사준비는 나몰라 해 비난을 받고 있다.BTS를 홍보대사로 위촉해 행사 출연료를 지급하지 않는 것은 자유지만 행사 비용을 소속사에 떠맡기는 것은 ‘2030부산세계박람회유치위원회’와 부산시의 전형적인 ‘갑’질이다.지역 숙박업체는 1박에 평소보다 수십 배 많은 숙박료를 청구하고 있다. 부산의 이미지에 먹칠을 가하고 BTS의 국가행사 무료협찬 의미를 퇴색시키는 행위다.윤석열정부가 주요 국정과제로 선정한 사업조차도 예산지원이 부족해 기업·연예인의 ‘열정페이’를 강요하는 현실이 안타깝다.6·1 지방선거에서 부산시장 후보자들이 제시한 선거공약을 국가정보전략연구소(국정연)가 개발한 ‘오곡(五穀)밸리혁신(5G Valley Innovation)-선거공약’ 모델을 적용해 평가해 봤다. ◇ 보수가 장악했지만 발전은 정체·후퇴역대 민선 부산광역시장은 문정수·안상영·허남식·서병수·오거돈·박형준이다. 민선 1기 문정수는 제12·13·14대 국회의원을 지냈으며 신민당·신한민주당·민주자유당·한나라당 등에서 요직을 거친 지역의 대표 정치인이다. 문 시장은 부산국제영화제 초대 조직위원장을 성공적으로 수행했다.민선 2·3기 안상영은 제25대 관선 부산시장·해운항만청장 등을 지냈으며 서울시 도로국장·도시계획국장·종합건설본부장으로 근무한 경험이 있다.민선 3기 재·보궐선거, 민선 4·5기 시장인 허남식은 부산시청 공무원으로 출발해 시장직까지 올랐다. 민선 6기 서병수는 2002년 해운대·기장갑 국회의원 보궐선거에 출마해 당선된 이후 제16·17·18·19대 국회의원을 지냈으며 현 제21대 국회의원이다.민선 7기 오거돈은 관선 부산 동구청장·부산시 정무부시장·행정부시장·제13대 해양수산부 장관을 지내고 부산시장에 당선됐다. 오 시장은 성추행 혐의로 시장직에서 물러났다.민선 7기 보궐선거·8기 부산시장에 당선된 박형준은 제17대 국회의원·제29대 국회사무총장·한나라당 대변인·청와대 정무수석을 지냈다.6·1 지방선거에서 시장에 당선된 국민의힘 박형준은 더불어민주당 변성완·정의당 김영진과 경쟁해 승리했다. 후보자들의 대표 공약을 간략하게 살펴보자.첫째, 박형준은 5대 공약으로 15분 생활권, 라이프스타일·공동체 등 시민행복 15분 도시, 디지털금융·첨단 수소항만·문화관광 도시 등 글로벌 허브도시 조성, 부산창업청·부산투자금융공사·아시아 창업 허브 조성 등을 통한 아시아 창업도시 조성, 기업·인재·지자체가 함께 지산학 인재도시 육성, 스포츠 시설 확충·산업 육성·생활 체육 활성화 지원을 통한 생활체육 천국도시 등을 제시했다.둘째, 변성완은 가덕도신공항 2029년 개항·2030부산월드엑스포 개최·부울경 메가시티 실현·2차 공공기관 이전 등 글로벌 메가시티 중심도시, 4차 산업 선도 미래도시, 다이나믹 문화 관광도시 등을 공약으로 제시했다. 변성완의 공약은 대규모 투자비가 소요되는 토목건설이 대부분이다.셋째 김영진은 ‘같이 살자, 부산’이라는 구호아래 아파도 걱정 없는 부산 및 돌봄 걱정 없는 부산·사람에게 투자하는 부산·노동이 당당한 부산·기후위기 극복하는 부산·다시 살아나는 부산 등 5대 공약을 제시했다.김영진의 공약은 다른 지역의 진보당 출신과 마찬가지로 ‘퍼주기 식’ 복지 관련 공약으로 지역발전에 큰 도움이 되지 않는다. ◇ 글로벌 허브·창업 도시 건설로 도약 추진민선 8기로 당선된 박 시장의 공약은 아직 세부 공약이 시청 홈페이지에 명확하게 공개돼 있지 않아 선거 공보물을 확인했다. 6·1 지방선거가 끝난 지 100일, 취임한지 80일이 지났음에도 세부 공약·이행방안을 구체적으로 정리하지 않아 아쉽다.박 시장은 3대 핵심 정책·10대 중점 정책·지역별 생활 정책을 제시했다. 3대 핵심 정책은 시민행복 15분 도시(3개)·글로벌 허브도시(5개)·아시아 창업도시(3개) 등 11개다. 10대 중점 정책은 인프라 혁신도시(4개)·생활체육 천국도시(2개)·디지털 전환도시(5개)·깨끗한 환경도시(4개)·지산학 인재도시(2개)·고품격 문화관광도시(4개)·촘촘한 복지도시(3개)·스마트 교통도시(4개)·안전한 안심도시(2개)·따뜻한 신뢰도시(3개) 등 총 33개다.지역별 생활 정책은 구별로 구분했으며 총 62개다. 국정연은 박 시장의 공약을 정치(4)·경제(9)·사회(14)·문화(14)·과학기술(3) 요소별로 구분했다.첫째, 정치 관련 공약은 메타버스 기반 지역 브랜드 마케팅 지원·서부산 제조업 디지털 팩토리 전환지원센터 설립·글로벌 메타 경제권 협력 네트워크 구축·해운대 53사단 부지 이전 등이다. 대부분의 공약이 실질적이기보다는 ‘정치적 구호’에 가깝다.둘째, 경제 관련 공약은 글로벌 디지털 금융도시 조성·친환경 수소 및 암모니아 첨단항만 조성·아시아 창업허브 조성·도심 내 저활용 시설 창업혁신공간으로 활용·블록체인 기반 글로벌 메타시티 부산 조성 등이 있다. 대부분이 공약이 침체된 지역 경제에 활력을 불어넣기에는 부족하다.셋째, 사회 관련 공약은 가덕도 신공항 조기 착공·낙동강 본류 의존도 줄이고 경상남도의 깨끗한 원수 공급 추진·어반루프 등 신교통수단 추진 등이다. 부산시는 1991년 낙동강 페놀 오염사건 이후 안전하고 깨끗한 수돗물을 공급받기 위해 노력하는 중이다.넷째, 문화와 관련된 공약은 15분 생활행복 공공디자인 사업 추진·영어 상용 도시·세계 최고 영화제 도시 부산 조성·세계적 미술관 유치 등이 있다.다섯째, 과학기술 관련 공약 탄소 포집·활용·저장기술(CCUS) 선도, 도심항공모빌리티(UAM) 인프라구축· 운영, 블록체인 기반 자원봉사 은행(V-Bank) 설립 등이다.▲ 부산광역시의 ‘오곡(五穀)밸리혁신(5G Valley Innovation)-선거공약’ 모델의 평가 결과[출처 = iNIS]◇ 창업허브·어반루프 등 성공 가능성 낮음박 시장의 공약을 국정연이 개발한 갑옷(ARMOR) 즉 달성 가능성(Achievable)·적절성(Relevant)·측정 가능성(Measurable)·운영성(Operational)·합리성(Rational)의 지표를 적용해 평가했다. 간략한 내역과 개선방안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첫째, 달성 가능성은 50점 만점에 14점에 불과했으며 대부분의 공약이 성공 가능성이 낮다. 글로벌 디지털 금융도시 조성은 싱가포르·홍콩도 완성하지 못한 비전이며 금융기관 몇 개 옮긴다고 구현되는 것이 아니다. 친환경 수소·암모니아 첨단항만 조성 공약도 임기 내에 관련 기술이 개발될 가능성이 낮다.둘째, 적절성은 공약이 부산시의 다양한 여건에 적합한지 평가하는 지표이며 22점을 획득했다. 세계 최고 영화제 도시 조성·세계적 미술관 유치 건립·글로벌 메타시티 조성·어반루프 등 신교통수단 추진 등이 침체된 부산경제를 회생시킬 묘안이라 보기는 어렵다.부산국제영화제는 올해 27회째를 맞이하지만 세계 최고 영화제로 발돋움하지 못했고 세계 3대 영화제인 프랑스 칸영화제·독일 베를린영화제·이탈리아 베니스영화제 수준으로 성장할 가능성도 낮다. 대규모 문화행사는 전시행정의 표본이고 ‘돈 먹는 하마’로 전락한지 오래다. 세계적 미술관 유치도 적절한지 의문이다.셋째, 측정 가능성은 공약의 성과를 측정할 수 있는지 여부를 평가하며 23점을 받았다. 경제 관련 공약 중 디지털 금융도시·첨단항만·아시아 창업허브·글로벌 메가시티 등은 공약 이행이 완료됐는지 평가하기란 불가능하다.아시아 창업허브가 어떤 수준인지 측정하기도 어렵고 실패에 관대하지 않은 우리나라 사회 분위기로 창업을 하려는 청년층이 감소하고 있어 성공 가능성도 매우 낮다.넷째, 운영성은 행정조직·공무원이 공약을 실천할 역량·조직체계를 구축·운영했는지 평가하는 지표로 19점을 획득했다. 경남의 깨끗한 원수 공급도 오랫동안 우려먹은 선거 공약이며 경남의 지지를 이끌어내지 못하고 있다다섯째, 합리성은 공약이 주민자치를 실현하고 주민의 이익을 극대화하는데 도움이 되는지 파악하기 위한 목적이며 15점으로 낙제점을 받았다.대표적으로 메타버스·블록체인·어반루프 등은 기술 개발이 미흡해 임기인 4년 내 실현 가능성도 낮고 지역주민의 삶을 개선하는데 큰 도움이 되지도 않는다. 비합리적인 공약이라는 의미다.종합적으로 박 도지사의 선거공약은 4년 동안 32개를 충실하게 이행해도 250점 만점에 93점으로 달성률은 37%에 불과하다. 적절성·측정 가능성은 평균 점수를 획득했지만 달성 가능성·운영성·합리성은 낙제점을 벗어나지 못했다. ⋇오곡(五穀)밸리혁신(5G Valley Innovation)-선거공약=국가정보전략연구소가 중앙정부와 지방자치단체의 선거공약을 평가하기 위해 국내외 전문가들과 협력해 개발한 모델이다. 5G는 오곡(五穀·다섯 가지 곡식), 밸리(Valley)는 계곡을 의미한다. 문명은 ‘오곡백과’가 풍성한 계곡에서 탄생해 발전했기 때문에 국가·지자체가 번성하기를 기원하는 마음을 담았다. - 계속 -
-
2022-03-31일본 국립대학인 오사카대(大阪大学)에 따르면 2025년 오사카 간사이 엑스포에 배양육을 제공할 계획이다. 3D 프린터를 이용한 배양육 양산 기술과 제3자에게 배양육을 제공하기 위한 제도적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 향후 엑스포 방문자에게 시식용 배양육 제공 여부와 생산 규모에 대해 오사카부와 협의를 진행할 방침이다. 오사카대 고분자화학과 마츠사키 미치야(松崎典弥) 교수팀은 쇠고기에서 늘린 근육과 지방 세포를 3D 프린터를 이용해 섬유 상태로 가공했다. 2021년 국제과학지에 해당 섬유를 활용한 배양육 재현법을 저술했다. 상용화를 위해 정밀기기 제조기업인 시마즈제작소(島津製作所)와 식품 개발 노하우를 지닌 컨설팅기업인 시그마크시스(シグマクシス)와 3자 제휴할 계획이다. ▲오사카대학(大阪大学) 로고
-
아랍에미리트 최대 도시 두바이의 알케불란 다이닝 홀(Alkebulan Dining Hall)에 따르면 세계 최초로 아프리카 음식과 음악 및 문화을 선보이는 대규모 '아프리카 레스토랑 홀'로 오픈했다.알케불란 다이닝 홀은 유명 요리사이자 사업가인 알렉산더(Alexander Smalls)가 직접 고른 11개의 아프리카 레스토랑 콘셉트가 특징이다.남아프리카공화국의 바베큐, 동아프리카 지역의 해산물, 케냐의 염소 요리, 세네갈의 구운 요리 등이 제공된다. 알렉산더는 6~7년 전부터 '아프리카 레스토랑 홀' 오픈을 준비했다. 노예제도를 통해 아프리카인들이 어떻게 글로벌 요리계에 변화를 주었는지에 대해 알리기 위한 목적이다. 2020년부터 코로나-19 사태로 외식산업이 축소되면서 고민이 깊었다. 하지만 엑스포 2020 두바이(Expo 2020 Dubai)에서 식음료를 만드는 것을 포함한 유럽과 중동 전역의 주요 프로젝트를 파트너와 진행하게 됐다. 향후 영국 런던을 비롯해 최소 8개 도시에 오픈할 계획이다. ▲알케불란 다이닝 홀(Alkebulan Dining Hall) 홈페이지
1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