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1
" 연속 수주"으로 검색하여,
3 건의 기사가 검색 되었습니다.
-
2024-11-21▲ 한국전력공사 로고[출처=한국전력공사]한국전력(대표이사 사장 김동철, 이하 한전)에 따르면 사우디아라비아 루마 1, 나이리야 1 가스복합발전소 건설·운영 사업 낙찰자로 선정됐다. 사우디 전력조달청(SPPC1) )이 국제입찰로 발주한 사업이며 전력판매계약 체결을 앞두고 있다.사우디 루마1, 나이리야1 사업은 2028년까지 각 1.9기가와트(GW) 규모의 복합화력 발전소를 건설해 향후 25년간 생산된 전력 전량을 사우디 전력조달청에 판매하는 사업이다.한전은 사우디 전력공사(SEC) 및 사우디 최대 민자발전사(ACWA Power)와 컨소시엄을 구성해 바라카 원전사업 이후 최대 규모의 발전사업을 수주했다.이 사업을 통해 지분 매출 약 4조 원(약 US$ 30억 달러)의 해외 매출을 기대하고 있다. 발전소 건설공사는 두산에너빌리티가 참여해 약 2조 원의 해외 동반수출이 예상된다.앞서 한전은 사우디 전력조달청이 발주한 Round 5 Sadawi 태양광 사업과 미국 괌 전력청이 발주한 에너지저장시스템(ESS) 연계 태양광 사업을 수주했다.2024년 들어 세 번째 국제 입찰사업 수주로 글로벌 에너지 시장 특히 중동에서 한전의 위상을 다시 한 번 입증했다. 한전은 사우디에서 2009년 1.2GW급 라빅 중유화력 발전사업을 수주해 운영 중이다. 2022년 사우디 국영석유회사인 아람코에서 발주한 317메가와트(MW) 자푸라 열병합 발전사업을 수주해 건설 중이다.최근 수주한 Sadawi 태양광 발전사업과 이번 가스복합 사업을 추가로 수주함으로써 사우디 시장에서 한전의 입지를 강화하는 동시에 중동지역 시장 내 사업 확대가 기대된다.한전은 잇따른 수주 쾌거를 발판으로 가스복합, 신재생, 그리드, ESS 등 다수의 사업이 지속 발주될 것으로 기대되는 중동 시장 진출에 박차를 가해 새로운 수익 창출을 모색하고 글로벌 에너지 리더로서의 역할을 지속 확대해 나갈 방침이다.
-
▲ 일본 가와사키중공업(川崎重工業) 빌딩 [출처=위키피디아]일본 가와사키중공업(川崎重工業)은 2016년 9월 중국 시멘트업체 콘치그룹과 제휴해 쓰레기소각발전 플랜트 4건을 연속 수주했다고 발표했다.수주총액은 80억엔으로 가와사키와 콘치의 합작회사인 안후이하일루오가와사키공정(ACK)이 소각플랜트 및 발전설비의 설계와 조달 등을 담당한다.중국에서 쓰레기발전소가 늘어나고 있는 이유는 중국 정부가 2016년부터의 '제13차 5개년 계획'에서 고형폐기물의 배출량감소를 중점 시책으로 내걸었기 때문이다.
-
일본 일본철강연맹의 자료에 따르면 2월 보통강재수주량은 564만2000톤으로 전년 동월 대비 1.6%증가해 8개월 연속 증가세를 기록했다.수출은 216만2000톤으로 전년 동월 대비 4.5% 늘어나 2개월 연속 증가했다. 내수는 347만9000톤으로 전년 동월 대비 0.1%늘어나는데 그쳤다.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