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9
" 외환"으로 검색하여,
90 건의 기사가 검색 되었습니다.
-
2025-03-05▲ 우리은행 전경[출처=우리은행]우리은행(은행장 정진완)에 따르면 2025년 3월4일 우리은행 본점에서 한국강소기업 협회와 ‘강소기업 지원과 신규기업 발굴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한국강소기업협회는 자원과 인프라가 부족하지만 특정 분야에 우수한 기술력과 글로벌 경쟁력을 가진 유망 강소기업을 발굴·육성하기 위해 2016년 설립된 이후 2700여 개 회원사를 보유하고 있다.비즈니스 매칭, 컨설팅 서비스 등을 제공해 중소기업이 강소기업 △중견기업 △대기업으로 성장할 수 있게 디딤돌 역할을 하고 있다.이번 협약으로 우리은행은 한국강소기업협회가 추천한 회원사에 금리·수수료 우대, 외환 업무지원 등 금융서비스 혜택과 플랫폼 기반 공급망 금융 서비스 ‘원비즈플라자’를 제공한다.2022년 9월 우리은행이 금융권 처음으로 선보인 ‘원비즈플라자’는 중견·중소기업 디지털 공급망금융 플랫폼으로 구매, 공급, 금융, 경영지원 등 서비스를 무상 제공하고 있다.또한 임직원을 위해 파고다 교육그룹, 세무법인 다솔, 법무법인 민주, 법무법인 퍼스트, 서브원 등이 제공하는 기업경영 콘텐츠도 제공한다.
-
▲ 하나은행 로고[출처=하나은행]하나은행(은행장 이호성)에 따르면 미국 글로벌 금융·경제 전문지 ‘글로벌파이낸스(Global Finance)지’가 선정하는 ‘2025 아시아 최우수 외국환 은행상(Best Foreign Exchange Bank in Asia 2025)’과 ‘2025 대한민국 최우수 외국환 은행상(Best Foreign Exchange Provider in Korea 2025)’을 각각 수상했다.국내 최초로 아시아 지역을 대표해 ‘아시아 최우수 외국환 은행상’을 수상한데 이어 2001년부터 24회 연속 ‘대한민국 최우수 외국환 은행상’에 선정됐다. 대한민국 최고의 외국환 전문은행임을 다시 한 번 국제적으로 인정 받았다.‘글로벌파이낸스지’는 영국 런던에서 열린 시상식을 통해 하나은행이 외환거래량, 시장점유율 등 객관적인 수치와 평판, 손님서비스, 기술혁신 등 주관적인 부분에서 모두 높은 점수를 받아 선정됐다고 수상 이유를 밝혔다.특히 ‘아시아 최우수 외국환 은행상’의 영예를 가져간 것은 외환시장에서 보여준 하나은행의 탁월한 성과와 혁신이 손님들로부터 신뢰받고 있다는 것을 입증한 것이라고 강조했다.한편 전 세계 26개 지역에 글로벌 금융 네트워크를 보유하고 있는 하나은행은 해외송금 소요시간 및 수취 여부까지 실시간 확인이 가능한 ‘인공지능(AI) 해외송금 예측 서비스’ 시행, 국내 시중은행 최초로 해외 수취인 계좌 상태를 사전 검증할 수 있는 ‘수취계좌 사전 확인 서비스’ 등 간편하고 안전한 외국환 서비스 제공을 통해 외환시장 선진화에 앞장서고 있다.
-
2025-02-13▲ 미래에셋증권 로고[출처=미래에셋증권]미래에셋증권(설립자 및 GSO 박현주, 대표이사 부회장 김미섭·허선호)에 따르면 2205년 2월5일 기획재정부로부터 일반환전 업무 인가를 받았다.해당 인가를 통해 미래에셋증권을 찾는 고객들도 은행과 같이 개인 대상 여행·유학자금 등 투자목적 외 환전을 이용할 수 있게 됐다.기획재정부는 2023년 7월 외국환업무변경신고 인가를 받는 증권사도 투자목적 외 일반환전이 가능하도록 외국환거래규정을 개정했다.미래에셋증권은 기존 기업 대상 일반환전이 가능했으며 이번 일반환전 인가를 통해 개인 대상으로 그 범위를 넓히게 되었다.2025년 2월10일 증권사 일반환전 업무 지원을 위한 외국환거래규정이 추가 개정됐다. 추가 개정을 통해 증권사 창구에서 현금 환전이 가능해졌으며 미래에셋증권도 해당 서비스 출시를 위한 준비 중이다.미래에셋증권은 ‘목표환율 자동환전 서비스’를 지난 2024년 10월 출시한 바 있다. 미래에셋증권 M-STOCK(MTS)를 이용하는 고객들은 본인이 설정한 환율에 도달시 자동으로 환전되는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미래에셋증권 관계자는 “미래에셋증권을 이용해주시는 투자 고객은 물론 여행자·유학생에게 새로운 편익을 제공할 수 있는 서비스를 마련하고 있으며 연 내 출시를 목표로 한다”고 강조했다.
-
▲ 중국 국가외환관리국(国家外汇管理局) 홈페이지중국 국가외환관리국(国家外汇管理局)에 따르면 2025년 1월 말 외환보유액이 US$ 3조2090억 달러를 기록했다. 14개월 연속 3조2000억 달러 이상을 유지했다.중국 인민은행(中国人民银行)에 따르면 국무원(国务院)의 승인을 받아 인도네시아 중앙은행과 4000억 위안/878조 인도네시아 루피아 규모의 양자 간 현지 통화 스와프 계약을 갱신했다.미쓰비시케미칼그룹(三菱ケミカルグループ)에 따르면 제약 자회사 타나베미쓰비시제약(田辺三菱製薬)을 미국 투자 펀드 베인케피탈에 매각한다.SMBC닛코증권(SMBC日興証券)에 따르면 구 도쿄증권거래소(旧東証)1부에 상장했던 기업 660개사의 2024년 4~12월 결산 결과 최종 이익 합계는 28조9387억엔으로 전년 동기 대비 10.4% 증가했다.일본 미쓰비시 후소트럭&버스(三菱ふそうトラック・バス株式会社, MFTBC)에 따르면 2025년 2월부터 Battery 2nd Life 이니셔티브 시범 사업을 시작한다.S&P Global Ratings에 따르면 홍콩 일부 지역 부동산 개발업체가 신용 압박에 직면해 있다고 추측하고 있다. 대형 개발업체가 잠재적 채무 불이행에 직면하면 시장 신뢰에 타격이 발생하고 구매자가 시장 진입을 미룰 수 있다고 내다봤다.◇ 중국 국가외환관리국(国家外汇管理局), 2025년 1월 말 외환보유액 US$ 3조2090억 달러중국 국가외환관리국(国家外汇管理局)에 따르면 2025년 1월 말 외환보유액이 US$ 3조2090억 달러를 기록했다. 14개월 연속 3조2000억 달러 이상을 유지했다.국내외 금융 시장 혼란이 심화되는 상황에서 1월 외환 보유액이 감소세를 멈추고 반등해 67억 달러 증가했다. 국제 금 가격이 사상 최고치를 기록한 가운데 동기간 달러화 기준 금 보유액은 2065억 달러로 전월 대비 152억 달러 늘어났다.중국 인민은행(中国人民银行)에 따르면 국무원(国务院)의 승인을 받아 인도네시아 중앙은행과 4000억 위안/878조 인도네시아 루피아 규모의 양자간 현지 통화 스와프 계약을 갱신했다.이 계약은 향후 5년간 유효하며 양측의 동의하에 연장될 수 있다. 양자간 통화스와프 연장으로 통화 및 금융협력 강화, 원활한 양자 무역 및 투자, 금융 시장 안정성 유지 등이 기대된다.◇ 일본 미쓰비시케미칼그룹(三菱ケミカルグループ), 제약 자회사 타나베미쓰비시제약(田辺三菱製薬) 미국 투자 펀드 베인케피탈 매각미쓰비시케미칼그룹(三菱ケミカルグループ)에 따르면 제약 자회사 타나베미쓰비시제약(田辺三菱製薬)을 미국 투자 펀드 베인케피탈에 매각한다.매각 금액은 약5100억엔으로 2025년 7~9월기 완료해 약 950억엔의 양도 수익을 계상한다. 미쓰비시케미칼은 신약 후보 확충 비용이 많이 드는 의약품 사업을 분리하고 화학 관련 사업의 수익 회복에 주력하기로 했다.SMBC닛코증권(SMBC日興証券)에 따르면 구 도쿄증권거래소(旧東証)1부에 상장했던 기업 660개사의 2024년 4~12월 결산 결과 최종 이익 합계는 28조9387억엔으로 전년 동기 대비 10.4% 증가했다.성장률은 전년 동기 대비 약 20% 감소했으며 전체기업의 약60%인 397개사만 늘어났다. 업종별로는 엔저 배경으로 수출 시 이익이 발생한 전기기기, 화학, 해운 등이며 은행업은 일본은행의 금리 인상으로 인해 이익이 대폭 확대됐다.또한 235개 기업은 이익이 줄어들었으며 28개 기업은 적자를 기록했다. 이 중 철강은 중국 제품과 가격 경쟁력으로 인해 이익이 26% 감소했다.일본 미쓰비시 후소트럭&버스(三菱ふそうトラック・バス株式会社, MFTBC)에 따르면 2025년 2월부터 Battery 2nd Life 이니셔티브 시범 사업을 시작한다.이 이니셔티브에 따라 회사는 전기 경량 eCanter 트럭에 사용된 배터리를 재활용해 에너지 저장 시스템을 구축할 계획이다.MFTBC는 차세대 축전지를 개발하는 회사인 CONNEXX SYSTEMS와 공동으로 시연을 실시한다. 수명이 다한 eCanter 모델의 사용된 배터리는 차량에서 제거해 CONNEXX SYSTEMS에서 개발한 EV 충전기와 통합된 "EnePOND EV Charger(가칭)" 에너지 저장 시스템의 전원으로 사용된다. ◇ 홍콩 S&P Global Ratings, 홍콩 일부 지역 부동산 개발업체 신용 압박에 직면S&P Global Ratings에 따르면 홍콩 일부 지역 부동산 개발업체가 신용 압박에 직면해 있다고 추측하고 있다. 대형 개발업체가 잠재적 채무 불이행에 직면하면 시장 신뢰에 타격이 발생하고 구매자가 시장 진입을 미룰 수 있다고 내다봤다.또한 주거용 부동산 매매량이 2만채의 약 50%로 감소할 수 있으며 공급과잉 및 수요 감소로 주택 가격이 5~7% 하락할 것으로 예측했다.
-
▲ 나이지리아 유리 포장 기업인 베타 유리(Beta Glass Plc)의 유리 제조 과정 모습. [출처=베타 유리 홈페이지]2025년 2월7일 아프리카 경제동향은 이집트와 나이지리아의 기업 경영과 제조업을 포함한다. 이집트 아프리카 벤처 자본기업인 P1 벤처(P1 Ventures LLC)에 따르면 2025년 2월 아프리카 허브의 기술 부문에 US$ 5000만 달러 규모의 기관 기금을 투자할 계획이다.나이지리아 유리 포장 기업인 베타 유리(Beta Glass Plc)에 따르면 2024년 매출은 N 1175억8000만 나이라로 2023년 629억1000만 나이라와 대비해 87% 증가했다. ◇ P1 벤처(P1 Ventures LLC), 2025년 2월 아프리카 허브의 기술 부문에 US$ 5000만달러 규모의 기관 기금 투자 계획이집트 아프리카 벤처 자본기업인 P1 벤처(P1 Ventures LLC)에 따르면 2025년 2월 아프리카 허브의 기술 부문에 US$ 5000만 달러 규모의 기관 기금을 투자할 계획이다.펀드 자금의 약 50%는 북, 서, 중앙아프리카의 프랑스어 국가와 일부 허브 지역에 배정할 계획이다. 나머지 자금은 나이지리아, 이집트, 케냐 등 서아프리카에 투입된다.투자 기회를 모색하기 위해 구축한 데이터 과학 툴과 아프리카 대륙 내 1만개 이상의 기업을 포함한 데이터 베이스를 활용할 방침이다.현재 US$ 6000만 달러 이상의 자산을 운영하고 있다. 향후 인공지능(AI)과 기업 소프트웨어, 핀테크 스타트업에 투자를 집중할 계획이다.◇ 나이지리아 베타 글라스(Beta Glass), 2024년 매출 N 1175억8000만나이라로 2023년 629억1000만나이라 대비 87% 증가나이지리아 유리 포장 기업인 베타 글라스(Beta Glass)에 따르면 2024년 매출은 N 1175억8000만 나이라로 2023년 629억1000만 나이라와 대비해 87% 증가했다.매출이 증가하며 2024년 세수후이익은 139억6000만 나이라로 2023년 64억4000만 나이라와 비교해 117% 급증했다.매출 상승에도 불구하고 2024년 외환 환율 손실은 20억 나이라로 집계됐다. 2023년 외환 환율로 17억9000만 나이라의 이익을 본 것과 상반된다.배당금은 8억3995만 나이라로 결정했다. 2024년 기준 총자산은 1321억8000만 나이라로 전년 1068억5000만 나이라 대비 상승했다.
-
▲ 일본경제단체연합회(経済団体連合会, 経団連) 홈페이지중국자동차공업협회(中国汽车工业协会)에 따르면 2024년 1~11월 상위 10위 SUV 제조사의 신차 판매량은 853만6000대로 전체 SUV 판매량의 65.5%를 차지했다.중국국가외환관리국(国家外汇管理局)에 따르면 2024년 9월 말 기준 국내 은행의 대외 금융자산은 US$ 1조5642억 달러, 대외 부채는 1조5029억 달러, 대외 순자산은 613억 달러다.중국 교통운수부(交通运输部)에 따르면 2024년 11월 말 기준 고속도로 휴게소에 총 3만3000개의 충전소와 4만9000개의 충전주차 구역을 건설했다.미쓰이스미모토파이낸셜그룹(三井住友フィナンシャルグループ)에 따르면 2025년3월기 순이익 예상치를 1조 엔에서 1조1600억 엔으로 상향 조정했다.일본 구마모토현(熊本県)에 따르면 대만 반도체 수탁전문기업 TSMC의 구마모토 제1공장이 양산에 돌입했다. TSMC는 2024년 12월 말까지 양산을 시작한다는 계획에 맞췄다.일본경제단체연합회(経済団体連合会, 経団連)에 따르면 종업원 500인 이상 대기업 21종16개사의 겨울철 보너스 평균액이 92만5545엔으로 전년 대비 2.11% 증가했다.대만의 허쉬(和碩, 페가트론, Pegatron)에 따르면 캐논 주식 1만5140주를 매각했다. 매각 가격은 주당 NT$ 66.05달러, 매각이익은 7억4500만 달러 규모이며 남아있는 주식은 6.22%다.◇ 중국 교통운수부(交通运输部), 2024년 11월 말 기준 고속도로 휴게소에 총 3만3000개 충전소 건설중국자동차공업협회(中国汽车工业协会)에 따르면 2024년 1~11월 상위 10위 SUV 제조사의 신차 판매량은 853만6000대로 전체 SUV 판매량의 65.5%를 차지했다.동기간 이치-다중(一汽-大众, FAW-폴크스바겐), 테슬라(特斯拉, Tesla), 광치도요타(广汽丰田)는 2자릿수 판매 감소를 보였다.치루이자동차(奇瑞汽车), 비야디(比亚迪), 지리자동차(吉利汽车), 창안자동차(长安汽车), 창청자동차(长城汽车), 리샹자동차(理想汽车, Li Auto), 이치도요타(一汽丰田, FAW Toyota) 등은 각각 성장했다.2024년 1~11월 상위 10위 내 자동차 제조사의 신차 판매량은 709만5000대로 전체 자동차 판매량의 69.2%를 차지했다.중국국가외환관리국(国家外汇管理局)에 따르면 2024년 9월 말 기준 국내 은행의 대외 금융자산은 US$ 1조5642억 달러, 대외 부채는 1조5029억 달러, 대외 순자산은 613억 달러다. 이 중 위안화 순부채는 3597억달러, 외화순자산은 4210억 달러를 기록했다.대외금융자산 중 예금 및 대출자산이 9537억 달러, 채권자산이 3723억 달러, 주식 등 기타자산이 2382억 달러로 각각 61%, 24%, 15%를 차지했다.대외부채 중 예금 및 대출 부채는 7129억 달러, 채권부채 3797억 달러, 자본 등 기타 부채 4103억 달러로 각각 47%, 25%, 27%를 차지했다.중국 교통운수부(交通运输部)에 따르면 2024년 11월 말 기준 고속도로 휴게소에 총 3만3000개의 충전소와 4만9000개의 충전주차 구역을 건설했다.2023년 대비 각각 1만2000개, 1만7000개 증가했다. 현재 전국 6000개 이상 고속도로 휴게소중 5800개 이상에 충전소가 설치되어 약 97%를 기했다.◇ 일본경제단체연합회(経済団体連合会, 経団連), 종업원 500인 이상 대기업 겨울철 보너스 평균 92만5545엔미쓰이스미모토파이낸셜그룹(三井住友フィナンシャルグループ)에 따르면 2025년3월기 순이익 예상치를 1조 엔에서 1조1600억 엔으로 상향 조정했다.또한 2026년 3월기 연결 순이익은 1조2000억 엔 초과를 목표로 설정했다. 일본은행의 금융정책전환으로 제로금리 정책을 탈피해 은행예금 이자 등 수익 확대를 기대할 수 있기 때문이다.일본 구마모토현(熊本県)에 따르면 대만 반도체 수탁전문기업 TSMC의 구마모토 제1공장이 양산에 돌입했다. TSMC는 2024년 12월 말까지 양산을 시작한다는 계획에 맞췄다.일본 내 제1공장은 회로선 폭 12~28나노미터(나노=10억분의1) 연산용 로직 반도체를 생산한다. 정부가 최대 4760억 엔을 보조했다.일본경제단체연합회(経済団体連合会, 経団連)에 따르면 종업원 500인 이상 대기업 21종16개사의 겨울철 보너스 평균액이 92만5545엔으로 전년 대비 2.11% 증가했다.2년 연속 90만 엔 대를 기록했으며 1981년 집계 이후 3번째로 높은 수준이다. 업종별로는 건설이 전년 대비 20.48% 증가했다.◇ 대만 허쉬(和碩, 페가트론), 캐논 주식 1만5140주 매각으로 NT$ 7억4500만 달러 이익 실현대만의 전자기기 생산업체 허쉬(和碩, 페가트론, Pegatron)에 따르면 캐논 주식 1만5140주를 매각했다. 매각 가격은 주당 NT$ 66.05달러, 매각이익은 7억4500만 달러 규모이며 남아있는 주식은 6.22%다.2024년 3분기 말 기준 페가트론의 캐논 주식 보유량은 총 2813만5300주로 9.72%에 달했다. 자회사 화유인베스트먼트는 6495주를 갖고 있었다.최근 로봇 테마주로 캐논 주식이 급등함에 따라 총 1514만주를 처분했다. 총 거래금액은 10억 달러를 초과해 7억4500만 달러의 이익을 실현했다.
-
2024-12-26▲ 독일 비행 택시 제조업체인 릴리움(Lillium)의 기체 이미지 [출처=홈페이지]2024년 12월26일 북중남미 경제동향은 미국, 캐나다, 아르헨티나를 포함한다. 독일 비행택시 제조업체가 자금 부족을 이유로 운영을 중단하기로 결정했다.연방준비은행(FED)가 은행의 스트레스 테스트 기준을 변경한다고 밝히자 대형 은행들이 반발하고 있다. 자본금 요구의 변동성을 줄이기 위한 목적이라지만 은행의 경영에 압박을 가할 것이기 때문이다.캐나다 정부가 이민자의 숫자를 줄이고 있지만 이민자의 1년 후 정착률이 지역별로 큰 차이를 보이고 있다. 퀘벡주가 단연 1위로 가장 우수한 성적을 기록했다.아르헨티나는 2024년 하반기 경제가 침체에서 벗어나지 못했지만 2025년 경제성장률은 4~5%로 높아질 것으로 전망된다. 수출이 증가하고 내수 소비가 회복되고 있기 때문이다.◇ 미국 릴리움(Lillium), 자금 부족으로 1000명의 직원을 해고하고 운영 중단독일 비행 택시 제조업체인 릴리움(Lillium)은 1000명의 직원을 해고하고 운영을 중단한다고 밝혔다. 기술 개발에 필요한 자금을 확보하지 못했기 때문이다.2017년 첫 비행을 시작한 이후 2019년 비행 테스트를 완료했다. 수직이착륙(VTOL)이 가능한 전기항공 택시는 시속 100킬로미터(km)로 비행했다.2019년 시범 제작한 기체는 시속 300km로 300km 거리를 비행한다고 주장했다. 일부 직원은 청산을 위해 근무하고 있지만 자산과 지식재산권의 처분 방향은 결정하지 못했다.미국 은행정책연구소(Bank Policy Institute)에 따르면 연간 은행 스트레스 테스트에 대해 연방준비은행(FED)을 제소했다. FED가 은행 스트레스 테스트를 변경할 것이라고 밝혔기 때문이다.스트레스 테스트의 투명성을 개선하고 자금 여유 요구의 변동성을 줄이기 우해 중요한 변화가 필요하다고 판단했다. BPI는 스트레스 테스트 자체를 반대하지 않는다.BPI는 JP모건, 시티그룹, 골드만삭스, 미국은행가협회, 오하이오은행가리그, 오하이오상공회의소, 미국상공회의소 등 대형 은행을 회원으로 두고 있는 비영리 단체다.◇ 캐나다 통계청(Statistics Canada), 2021년 기준 퀘벡주 이민자 중 1년 후에도 떠나지 않은 비율 94%캐나다 통계청(Statistics Canada)에 따르면 2021년 기준 퀘벡주 이민자 중 1년 후에도 떠나지 않은 비율이 94%에 달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2018년 수치와 비교하면 8.8%가 증가했다.퀘벡주는 영주권자를 대상으로 추진하던 핵심 이민 프로그램을 멈췄다. 2025년 중반까지 고용미션도 중단할 방침이다.실업률이 현재의 5.7%보다 높았던 10년 전만 하더라도 퀘벡주는 이민자가 떠나는 지역이었다. 하지만 일자리와 사회 프로그램이 개선되면서 정착이 늘어났다.퀘벡주 다음 순위는 온타리오주가 94.6%, 브리티시 콜롬비아주는 91.7%,, 앨버타주는 89.5%를 각각 기록했다. 반면에 뉴퍼들랜드와 래브라도는 14.1%, 노바스코티아는 11.7%가 축소됐다.◇ 아르헨티나 경제연구소(Abeceb), 2025년 국내 경제성장률은 4~5% 기록 전망아르헨티나 경제연구소(Abeceb)는 2025년 국내 경제성장률은 4~5%를 기록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외환시장의 불안으로 중앙은행은 외환보유고를 늘리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중앙은행은 2025년 외환시장에서 US$ 200억 달러를 매입할 것으로 예상된다. 2024년 12월 기준 외환보유고는 325억5000만 달러이지만 부채 상환을 고려하면 49억 달러가 부족하다.수입 제품에 대한 비용을 지불하고 여행 수요를 충당하려면 경제성장이 필요하다. 수출이 증가하고 소비가 회복되면서 신용이 개선되며 경제가 안정되고 있다. 광산업과 에너지 산업이 성장세를 이끌고 있다.
-
연말연시가 되면서 '과도한 음주'에 대해 걱정하는 사람들이 적지 않다. 다른 나라에 비해 음주에 관대한 사회적 분위기도 과음을 부추긴다.전문가들은 '술은 부모에게 배워야 한다'는 말이 있지만 자녀에게 술을 가르치는 것이 바람직하지 않다고 지적한다. 과도한 음주와 음주 후의 일탈행위를 막기란 쉽지 않기 때문이다.또한 모든 부모가 자녀에게 올바른 주도(酒道)를 가르쳐줄 지식과 소양이 충분한 것은 아니다. 국내 주요 주류업체와 업계의 현안 이슈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IMF 외환위기 이후 대기업이 주류시장 평정... 소주와 맥주의 아성에 도전하는 막걸리우리나라 사람들은 소주, 맥주, 양주, 막걸리, 와인, 기타 과실주 등을 애용하는 편이다. 1997년 국제통화기금(IMF) 외환위기 이후 군소업체가 인수합병되며 주류 시장은 대기업 위주로 재편됐다.▲ 국내 주요 주류업체와 시장 분석 자료 [출처=iNIS]소주업체는 화이트진로, 롯데칠성음료, 무학, 금복주, 선양소주, 보해양조, 충북소주 등이 대표적이다. 화이트진로는 2011년 화이트와 진로가 합병돼 탄생했으며 국내 최대 주류업체다.롯데칠성음료는 음료회사로 출발했지만 인수합병 과정을 통해 청주, 소주, 맥주 등 주류사업을 키웠다. 무학, 금복주, 선양소주, 보해양조는 특정 지역을 거점으로 사업을 영위한다.1996년 각 광역시·도에 소주 제조사를 1개씩 둬야 하는 '자조주법'이 헌법재판소에서 위헌 결정이 나면서 지역 소주업체의 전성기는 끝났다. 지역별 할당제가 사라지면서 춘추전국시대를 거쳐 대기업만 살아남았다.맥주업체는 화이트진로, 롯데칠성음료, 오비맥주, 제주맥주 등이 시장을 나눠먹고 있다. 화이트진로는 100년이 넘는 역사를 자랑하며 소주 시장에서 1위이지만 맥주 시장은 2위다.국내 맥주 1위 업체는 오비맥주로 카스(cASS)로 높은 인지도를 유지하고 있다. 롯데칠성음료는 막강한 시장지배력을 바탕으로 맥주시장에 진입했지만 크게 성공하지 못했다.제주맥주는 크래프트 맥주제조업체로 시작했지만 단기간에 돌풍을 일으키고 있다. 기타 소규모 브랜드도 다수 론칭됐지만 소비자의 관심을 끌어내는데 성공하지 못했다.양주업체는 윈저글로벌, 골든블루, 디아지오코리아, 롯데칠성음료 등으로 많지 않다. 정통 스카치위스키 브랜드인 윈저를 수입해 판매하는 업체다.골든블루는 2009년 국내 최초 36.5도 프리미엄 위스키 출시해 시장을 확대했다. 디아지오코리아는 딤플, 조니워커, 베일리스, 스미노프 등의 양주를 수입한다.롯데칠성음료는 스카치블루를 판매하고 있으며 1980년대 국내 양주시장을 평정했던 캪틴큐를 부활할지로 관심을 받고 있다. 양주는 코로나19 팬데믹 기간 동안 극심한 소비부진으로 어려움을 겪었다.막걸리업체는 서울장수, 지평주조, 국순당이 전국구 업체다. 서울장수는 서울 지역 막걸리이지만 경기도, 인천 등으로 시장을 확대했다.지평주조는 경기도 양평군의 소규모 양조장에서 출발했지만 현대화에 성공했다. 증류식 소주, 아이스크림, 위키스 혼합주 등으로 제품을 확장하는 중이다.국순당은 2000년 코스닥에 상장하며 전통주 바람을 일으켰지만 침체의 늪에 빠졌다. 대표 제품인 국순당 막걸리의 시장점유율은 명성에 어울리지 않을 정도로 쪼그라들었다.◇ 소주가 가장 좋아하고 많이 소비되는 술로 등극... 맥주 소비 침체와 달리 막걸리 선호도 상승세 유지국내 애주가로부터 가장 사랑을 받는 술은 소주다. 고려시대 몽고군이 곡물을 발효시켜 술을 만드는 방법을 전수한 이후 지역별로 다양한 소주가 만들어졌다.소주는 대표 주류로 남녀노소를 불문하고 즐기는 사람이 많다. 소주는 기본적으로 25도에서 30도를 유지했지만 2000년대 이후 20도 아래로 내려갔다.소주는 낮은 도수로 진화하며 강한 술을 싫어하던 여성까지 소비자층으로 이끌었다. 특히 젊은 세대는 부드럽고 순한 소주를 좋아한다. 소주의 가격이 저렴한 것도 주머니가 가벼운 청년층이 쉽게 선택하는 요인이다지역별 할당제가 사라진 후 지방업체는 급격한 침체기를 겪고 있다. 강원도 경월소주와 충청북도 충북소주는 롯데칠성음료에게 인수된 것이 대표적이다.지역 주민의 전폭적인 지지를 업고 세력을 유지하고 있는 무학, 금복주, 선양, 보해양조 등도 오랫동안 생존하기는 어려울 것으로 전망된다. 청년층이 지역업체보다 전국적인 인지도를 갖춘 브랜드를 좋아하기 때문이다.맥주는 도수가 낮고 청년층이 감소하면서 시장 규모가 축소 중이다. 저렴한 외국산 맥주의 수입 급증도 국산맥주의 경쟁력을 떨어뜨린다.일본에서 유행하다 국내에 출시되는 무알콜 음료와 경쟁도 버거운 상태다. 카스, 하이네켄 등이 향미와 맛이 맥주와 비슷한 무알콜 맥주를 판매 중이다.양주는 경기 침체로 양주 시장 자체가 축소되며 고전 중이다. 소주와 맥주를 섞어 마시는 소맥이 양주를 대체하기도 한다.우리나라에서 양주는 고급 카페, 룸싸롱 등과 같은 술집에서 주로 판매된다. 법인카드의 사용 규제와 더불어 접대비 통제가 겹치며 고급 술집의 양주 판매가 줄어들었다. 양주업체들은 술집과 같은 전통적인 유통채널 외에 할인점, 편의점, 슈퍼마켓 등으로 판매망을 확충하고 가격을 인하하며 소비자를 유혹한다.청년층은 편의점에서 위스키를 구입해 집에서 마시는 홈술을 선호한다. 그렇다고 해도 양주업체가 다시 과거의 전성기를 회복하기는 어려울 것으로 전망된다.막걸리는 저소득층, 노인층이 주요 소비자이며 소주, 맥주에 이어 판매 순위 3위를 기록하고 있다. 판매가격이 낮아 '싸구려 술'이라는 이미지가 있었지만 사실은 제조원가는 소주나 맥주보다 높다.최근에는 양주보다 비싼 프리미엄 막걸리도 출시되고 있다. 여성 소비자, 해외 수출 등으로 시장이 확대되며 새로운 전성기를 맞이했다. 해외에서 K-푸드(K-Food)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며 막걸리의 수출도 증가세다. 특히 한류를 경험한 일본인이 막걸리를 좋아한다.- 계속 -
-
2024년 12월12일 현재 윤석열 대통령의 비상계엄령 사태로 정치 및 경제적 혼란이 지속되고 있다. 특히 주식시장과 외환시장이 요동을 치며 경제의 불확실성이 더 커지는 중이다.소상공인과 자영업자 모두 12월 연말 특수를 누리지 못한다고 아우성을 치고 있다. 내수심리가 바닥을 치며 유통업체도 대책 마련에 고심 중이다. 1974년 럭키슈퍼마켓이 모체인 GS리테일은 GS그룹 산하 유통전문기업이다.GS리테일의 ESG(환경·사회·지배구조) 경영 현황을 진단하기 위해 홈페이지, 국가정보전략연구소(국정연) 데이터베이스(DB), 국정감사·감사원·사법기관 자료, 각종 제보 등을 참조했다.글로벌 스탠다드를 지향하며 개발된 ‘팔기(八旗)생태계(8-Flag Ecosystem)’ 모델을 적용해 GS리테일의 ESG 경영 현황을 진단해 봤다. ▲ GS리테일의 ‘팔기(八旗)생태계(8-Flag Ecosystem)’ 모델 평가 결과 [출처=iNIS] ◇ ESG 중장기 비전 및 과제 수립... 2023년 부채총계 5조6082억 원으로 부채율 125%ESG 비전은 ‘Green Life Together!’로 지속가능한 기업의 가치창출을 목적으로 한다. 중장기 비전을 목표로 환경과 사회의 세부전략 및 과제를 설정했다.홈페이지에 ESG 경영헌장은 없었다. ESG 경영을 추짐함에 있어 헌장을 제정하지 않은 것은 이해하기 어렵다. 물론 국내 대기업 대부분이 ESG 경영헌장을 제정하지 않은 상태다.ESG 경영 7개 전략과제는 환경에서 △그린 프로닥트(Green Product) △그린 스토아(Green Store) △그린 벨류체인(Green Value-chain)이다.사회 부문은 △Together With Employees △Together with Partners △Together with Customers △Together with Communities이라고 공개했다.윤리경영 실천을 위해 윤리규범을 제정해 정도경영을 추진한다. 상호 신뢰와 협력을 토대로 모든 이해관계자와 공동의 이익을 추구한다.홈페이지에 윤리규범과 임직원의 기본윤리 실천지침, 윤리규범 실천서약 등을 공개했다. 국내 대기업이 2008년 글로벌 금융사태 이후 윤리경영을 적극 도입한 결과다.2021년 이사회 산하에 ESG 위원회를 설치했다. ESG 경영 운영을 목적으로 ESG위원회를 비롯해 ESG 추진협의회와 실무조직으로 구성된 ESG자주연 등을 운영하고 있다.ESG 주요 분야인 △환경 △임직원 △경영주 △파트너사 △개인정보 △사회공헌의 각 분야별 위원회/협의회도 구축해 운영한다. 임직원 및 경영주는 거버넌스, 파너트사 및 개인정보는 사회 지표와 관련됐다.2023년 이사회 인원은 총 7명으로 사내이사 2명, 사외이사 4명, 기타 비상무이사 2명으로 구성됐다. 구성원 비중은 2021년에서 변동이 없다.2023년 이사회 내 여성 임원 수는 1명으로 2021년 1명과 동일했다. 2023년 ESG위원회 사외이사 비율은 75%로 2021년 75%와 같았다.2023년 자본총계는 4조4337억 원으로 2021년 4조4143억 원과 비교해 0.44%로 근소하게 증가했다. 2023년 부채총계는 5조6082억 원으로 2021년 5조415억 원과 대비해 11.24% 증가했다. 2023년 부채율은 125.0%로 2021년 125.0%와 비교해 변동이 없었다.2023년 매출액은 11조6125억 원으로 2021년 9조5172억 원과 대비해 22.02% 증가했다. 2023년 당기순이익은 221억 원으로 2021년 8012억 원과 비교해 97.24%로 급감했다.2023년 당기순이익을 기준으로 부채 상환에 약 253년이 소요된다. 공기업의 부채 상황이 심각한 것은 수차례 지적했지만 상장기업이 상환이 어려울 정도로 부채가 많은 것은 의외다.◇ 2022년 하청업체로부터 부당 수수료 222억 원 수령... 2023년 육아휴직 이용자 183명상생경영 운영을 위한 동반성장 철학과 추진전략을 수립했다. 동반성장 핵심과제로는 △공정한 거래문화 정착 △실질적 경영지원 △지속적 성장추구 △열린 소통으로 정했다. 상생경영을 통해 △파트너사 지원제도 △경영주 지원제도 △지역사회 참여정책 등을 운영하고 있다.2022년 8월 공정거래위원회는 GS리테일이 하도급 업체 8곳으로부터 부당 수수료 약 222억 원을 받은 혐의로 시정명령과 과징금 243억 원을 부과했다.공정위 조사에 따르면 2016년 11월부터 2019년 9월까지 자사 브랜드의 신선식품 제조 하청업체에 성과장려금, 판촉비, 정보제공료를 요구했다. 2020년 기준 편의점 총 1만3818개를 운영 중이다.GS리테일은 정당한 사유 없이 하청업체 8곳에 매월 매입액의 최대 1%를 성과장려금 명목으로 총 68억 원, 판촉비로 126억 원을 각각 요구했다.또한 수익 개선을 위해 수취 비율을 인상하기도 했다. 이들 하청업체의 GS리테일에 대한 매출 의존도는 100%에 달해 부당한 요구를 거절하기 어려웠다.최근 3년간 육아휴직 사용 인원 수는 △2021년 137명 △2022년 156명 △2023년 183명으로 증가세를 보였다. 육아휴직을 사용한 남성 직원 수는 △2021년 75명 △2022년 64명 △2023년 90명으로 감소 후 증가했다.최근 3년간 사회공헌 사업 실적 부문에서 공익사업은 △2021년 34억 원 △2022년 33억 원 △2023년 35억 원으로 감소 후 증가했다. 동반성장 실적은 △2021년 13억 원 △2022년 14억 원 △2023년 13억 원으로 집계됐다.지난 3년간 임직원 봉사 인원은 △2021년 1405명 △2022년 2598명 △2023명 3861명으로 증가세를 기록했다.2020년부터 2023년까지의 지속가능경영보고서를 홈페이지에 공개했다. ESG 경영을 포함해 지속가능경영 전략과 성과를 판단했다. 이해관계자와의 소통과 ESG 성과 및 활동을 투명하게 공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 환경경영 3대 전략 및 운영체계 수립... 2025년까지 SEMS 전 매장 설치 목표환경 슬로건은 ‘Green Together’로 지속가능한 환경경영을 목적으로 환경경영방침을 수립했다. 환경경영 3대 전략은 △그린 밸류체인(Green Value-chain) △그린스토어(Green Store) △그린 프로덕트(Green Product)로 정했다.환경경영 운영체계로는 사업별 실행전략을 수립해 환경경영 평가위원회를 통해 경영 진행 현황 관리 및 영향평가를 진행한다. 이사회 산하의 ESG위원회 및 ESG 추진협의회에 진행 상황을 보고하는 체계를 구축했다.최근 3년간 온실가스 배출량은 △2021년 59만8102.69t이산화탄소환산량(CO2eq) △2022년 62만8219.65tCO2eq △2023년 66만4783.65tCO2eq으로 증가세를 보였다.최근 3년간 친환경 서비스 구매액은 △2021년 20억 원 △2022년 64억 원 △2023년 142억 원으로 증가세를 보였다.친환경 제품·서비스 매출액은 △2021년 3164억 원 △2022년 4310억 원 △2023년 5218억 원으로 상승세를 기록했다.친환경 매장(Green Store)은 SEMS(Smart store Energy Management System)가 설치된 점포와 녹색매장으로 구분된다.최근 3년간 SEMS가 설치된 점포 수는 △2021년 1만1241점 △2022년 1만2218점 △2023년 1만4994점으로 상승세를 보였다. 녹색매장 수는 △2021년 3점 △2022년 27점 △2023년 27점으로 집계됐다.SEMS는 사물인터넷(IoT) 기술을 점포 내의 전기 장비와 기기에 접목한 스마트 에너지 관리 시스템이다. 원격으로 매장 전력량과 에너지 총량 등을 관리할 수 있다. 2025년까지 전 점포에 설치하는 것을 목표로 정했다.최근 3년간 폐기물 총 발생량은 △2021년 1만2670톤(t) △2022년 1만4568t △2023년 1만5664t으로 증가세를 보였다. 폐기물 재활용률은 △2021년 69% △2022년 67% △2023년 72%로 하락한 후 상승했다. ◇ 잘못된 거래관행 근절해야 온라인 유통업체와 경쟁 가능... 환경 부문 지적 사항 많지 않아△거버넌스(Governance·지배구조)=거버넌스는 상장기업임에도 윤리경영 수준에 머물고 있을 뿐 아니라 ESG 헌장조차 제정하지 않아 개선이 필요하다고 판단했다.특히 유통업체로 여성직원의 비율이 높음에도 여성 임원의 수는 미미했다. 부채액이 연간 매출액보다 많으며 연간순이익으로 부채를 전부 상환하려면 장기간 소요되는 점도 고려했다. △사회(Social)=사회는 오프라인에 집중된 유통업체로 협력업체와 상생하지 않으면 온라인 업체와 경쟁이 불가늠함에도 잘못된 거래관행을 유지하고 있어 안타깝다.육아휴직 사용자가 증가세를 보이고 있으며 임직원 봉사 인원도 늘어나고 있어 긍정적으로 평가했다. 지속가능보고서를 공개하며 투명경영을 추진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환경(Environment)=환경은 제조업체가 아닌 유통업체로서 환경에 대한 고려는 크지 않은 편이다. 친환경적인 제품의 비중을 늘리고 유통단계에서 폐기물 발생을 줄이려는 노력도 좋다.친환경 서비스 구매액도 급증했으며 친환경 매장도 늘어나고 있어 환경 부문에서 지적할 사항은 많지 않다. 폐기물 발새량, 폐기물 재활용률 등은 양호하다고 판단했다. ⋇팔기(八旗)생태계(8-Flag Ecosystem)=국가정보전략연구소가 정부·기업·기관·단체의 ESG(환경·사회·지배구조) 경영을 평가하기 위해 국내외 전문가들과 협력해 개발한 모델이다. 팔기는 주역의 기본 8괘를 상징하는 깃발, 생태계는 기업이 살아 숨 쉬는 환경을 의미한다. 주역은 자연의 이치로 화합된 우주의 삼라만상을 해석하므로 기업이 직면한 다양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을 찾는데 유용하다.
-
2024-12-03▲ 안상순 국세청 공무원의 '대한민국 미래로 가는 세금' 주제로 특강[출처=사)겨레사랑복지협의회]통일부 산하 비영리 사단법인인 겨레사랑복지협의회(이사장 황정길)에 따르면 2024년 11월30일(토요일) 오후 4시 서울특별시 송파구 소재 씨엠빌딩 7층에서 제3회 애국특강을 진행했다.이날 초청된 강사는 국세청 소속 안상순으로 '대한민국 미래로 가는 세금'이란 주제로 강연을 펼쳤다. 안 강사가 설파한 세금의 의미와 재정에 관한 내용은 다음과 같다.우선 국가발전에 기여한 세금(재정)의 역할이다. 특히 대한민국은 1998년 국제통화기금(IMF) 위기나 2020~2023년 코로나19 팬데믹(대유행)을 잘 극복해 2025년 광복 80주년을 경축할 기회를 만들었다.국가 위기시에는 막대한 재정지출이 불가피하지만 건전재정을 유지해 잘 이겨낼 수 있었다. 세계 각국이 글로벌 무한 경쟁을 통제하기 위해 무역 장벽을 쌓으면서 국가재정의 중요성은 더욱 높아졌다.한국 경제는 세계 10대 강국에 진입했으며 문화산업 및 방위산업 역시 경쟁력이 높은 수준에 도달했다. 이에 글로벌 선도국가로서 역할을 확대하려면 국민 소양과 납세 의식이 세계 최고로 높아져야 한다. ▲ 사)겨레사랑복지협의회 이사장 황정길(가운데 좌측), 일경큰스님(가운데), 유삼남 명에총재(가운데우측)[출처=사)겨레사랑복지협의회]다음으로 세금에 대한 하드웨어(H/W)와 소프트웨어(S/W) 인프라에 대한 평가다. 국세청의 전산시스템인 차세대국세행정시스템(NTIS·엔티스)은 세계 최고 수준이며 홈텍스, 손텍스 등을 이용한 납세자의 전자신고 능력은 어느 국가에도 뒤지지 않는다.반면 현재 국민의 납세의식은 선진국이 아니라 후진국 수준에 머물러 있다. 세금을 적게 내거나 내지 않기 위해 회피하려는 국민도 적지 않다. 모든 거래를 투명하게 만들어 지하경제를 축소시켜야 한다.국민 개개인이 국가의 재정기반을 강화한다는 자세로 성실하게 세금을 내겠다는 의지를 잃지 않아야 한다. 일부 정치권에서 주장하는 가상자산에 대한 과세 연기는 자칫 지하경제를 양산할 가능성마저 있어 우려된다.상속세 방식을 유산세에서 유산취득세 방식으로 전환해 실질과세 및 공정과세에 기여해야 한다. 사회 양극화를 해소하고 복지재정에 기여하는 것이 중요하기 때문이다.마지막으로 국민 납세의식이 통일국가, 세계 선도국가(최고 국가)를 만드는 토대가 됨을 잊지 않아야 한다고 당부했다. 서독이 동독을 통일하고 낙후된 경제구조를 개선하기 위해 막대한 비용을 지출한 점을 지적했다.북한은 동독보다 더 열악한 경제구조를 갖고 있어 통일비용을 적절하게 준비하지 않으면 '축복'이 돼야 할 통일이 자칠 우리 민족에게 큰 '재앙'이 될 수 있기 때문이다.사)겨레사랑복지협의회 황정길 이사장은 "국가 미래 발전을 이끌며 우리 자신을 돌아보는 의미가 있는 내용이었다"며 "안 상순 강연자는 조세전문가로 국가현실을 직시하고 더 크게 국가발전을 위한 국민의식 향상을 위해 뜻깊은 발표를 진행했다"고 밝혔다.
1
2
3
4
5
6
7
8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