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1
" 우유고형분"으로 검색하여,
8 건의 기사가 검색 되었습니다.
-
뉴질랜드 유제품 제조업체인 폰테라(Fonterra)에 따르면 현재 예상되는 우유고형분 가격은 1킬로그램당 $US 6.25달러~6.50달러 수준으로 나타났다.한편 낙농업계 전문가는 유제품 가격 동향 및 뉴질랜드달러의 강세 등으로 6달러~6.25달러를 예상하고 있다. 2018년 11월 둘째주 기준 유제품 가격은 전년 동기 대비 6.2% 하락한 상태이다.2018년 5월 최고치 대비 17.7% 더 낮은 셈이다. 최종 경매에서 GDT지수는 2.15 하락했는데 이는 지난 격주 18회 경매 중에서 15번째 하락한 것이다.11월에만 뉴질랜드 달러화 가치가 미국 달러 대비 2% 상승했으며 최근까지 5.5% 올랐다. 하지만 여전히 2018년 연초 대비 3%나 하락했다.뉴질랜드 달러 가치가 상승하고 있는 것은 2018년 3분기 실업률이 3.9%로 하락해 10년내 최저치를 기록했기 때문이다. 국내 경제가 호전될 것이라는 전망이 강하게 제기되고 있다.미국 경제가 호전되면서 미국 달러화 가치가 오르고 있지만 뉴질랜드 달러화 가치는 더욱 상승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폰테라의 실적도 점점 개선될 것으로 전망하는 이유다.▲폰테라(Fonterra)의 유제품제조시설(출처 : 홈페이지)
-
뉴질랜드 유제품산업서비스기업 GDT에 따르면 2018년 10월 첫째주 GDT경매에서 전반적인 유제품가격은 2주 전의 경매 대비 1.9% 하락했다. 버터를 비롯한 유지방가격의 하락이 주요인으로 분석된다.유지방가격은 4.4%, 버터가격은 5.9% 각각 하락했다. 분유(WMP)가격은 1.2% 하락해 1톤당 $US 2753달러를 기록했다. 2018년 8월까지 12개월 동안 우유생산량은 5.5% 증가했다. 회계연도 2018/19년 폰테라(Fonterra)의 낙농가 우유 수급가격은 1킬로그램당 $NZ 6.75달러가 될 것으로 예상된다. 전문가들은 1킬로그램당 6.25~6.50달러 사이로 하락할 가능성도 예상된다고 지적한다.2018/19년 현재 시즌 우유고형분가격은 1킬로그램당 5.40달러에서 5.50달러로 상승이 예상된다. 좋은 날씨로 목초지가 양호한 것이 우유생산량이 증가한 주요인이다.▲GDT경매의 유제품가격 검증 및 판매 전략(출처 : 홈페이지)
-
뉴질랜드 유제품제조사 폰테라(Fonterra)에 따르면 회계연도 2018/19년 시즌 낙농장 수매 우유고형분 가격은 1kg당 NZ$ 7달러 이상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폰테라는 2018년 5월31일 마감 기준 현재 시즌에 대한 회계연도 2017/18년 예측치를 상향조정했다. 이전 예상치 kg당 6.75달러보다 25센트 올린 것이다.세계적인 공급 및 수요에 대한 긍정적인 전망과 더불어 중국의 유제품 수요 강세 유지, 버터, 유지방 등에 대한 수요확대가 수매가격 인상에 영향을 미쳤다. 회계연도 2018/19년 폰테라의 국내 우유 수집량은 15억2500만 킬로그램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이번 시즌의 현재 예상치 보다 1.5%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글로벌 국가의 수급현황을 보면 유럽연합(EU), 미국, 오스트레일리아, 아르헨티나 등에서 우유의 공급이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폰테라(Fonterra) 로고
-
뉴질랜드 유제품제조사 폰테라(Fonterra)에 따르면 회계연도 2017/18년 새로운 착유 시즌 첫 달동안 우유고형분 1만2000톤을 수거했다.6월 실적은 전년 동월 대비 19% 증가한 양이다. 수거한 양은 피크 시즌에 비해서는 작지만 낙농가들이 겨울 우유계약을 늘렸기 때문이다.지역별로 보면 북섬은 900만 킬로그램으로 20%, 남섬은 300만 킬로그램으로 15% 각각 증가했다. 2017/18년 새로운 착유시즌 첫 달은 2017년 6월 1일 마감 기준 1개월이다. ▲폰테라(Fonterra) 홈페이지
-
뉴질랜드 유제품제조사 폰테라(Fonterra)의 자료에 따르면 2017년 1월31일 마감 기준 6개월 동안 순이익은 $NZ 4억1800만 달러로 전년 동기간 대비 2% 증가했다.매출은 92억 달러로 전년 동기간 대비 5% 증가했다. 2016/17년 상반기 우유고형분 낙농가 예상가격은 킬로그램당 $NZ 6달러로 확정했다.2016년 10월 예상 생산량은 7% 정도 감소할 것으로 전망했지만 겨울철의 많은 비에도 불구하고 생산량은 3% 정도 감소하는데 그쳤다.지난 회계연도에 우유고형분의 가격이 낮아 최고가가 5달러 수준에 그쳤지만 이번 회계연도에는 최저가격이 5달러 선으로 유지되고 있다. 킬로그램당 6달러만 유지해도 국가경제에 30억 달러의 경제 유발효과가 기대된다.▲폰테라(Fonterra) 로고
-
뉴질랜드 유제품 대기업 폰테라(Fonterra) 2017년 1월 우유고형분 생산량은 1억7250만 킬로그램으로 전년 동월 1억500만 킬로그램 대비 1.4% 감소했다.2016년 시즌보다 5%나 감소했다. 북섬에서 매우 습한 봄 날씨로 착유작업에 어려움을 겪었기 때문이다. 북섬에서 수집한 우유고형분은 1월31일 마감 기준 8개월 동안 6.8%나 감소했다.동기간 남섬에서 수집한 우유고형분은 1.6% 감소하는데 그쳤다. 세계 최대 낙농수출업체인 폰테라는 지난 1년 동안 35만7704톤의 유제품을 수출했다. ▲폰테라(Fonterra) 홈페이지
-
뉴질랜드 금융기관 라보뱅크(Rabobank)의 자료에 따르면 당분간 뉴질랜드 우유고형분 가격은 킬로그램당 $NZ 6달러 이하 내지 $NZ 5달러 이상으로 유지될 것으로 전망된다.원유가격이 높게 유지될 것으로 예상돼 우유 공급량보다 수요가 더 강하기 때문이다. 뉴질랜드 축산농가들의 원유 출하량도 증가 추세를 보이고 있다. 또한 낮은 원유 가격과 나쁜 날씨 등으로 유럽의 원유 생산량은 감소하고 있다. 유럽의 축산농가들이 뉴질랜드 축산농가들 보다 나쁜 날씨의 영향을 더 많이 받고 있는 셈이다.▲라보뱅크(Rabobank) 홈페이지
-
뉴질랜드 타투아(Tatua) 낙농협동조합의 자료에 따르면 회계연도 2015/16년 우유고형분 지불금은 kg당 $NZ 6.30달러로 전년 7.10달러 대비 인하됐다. 그러나 유제품제조 대기업인 폰테라(Fonterra)보다 더 높다.Tatua는 와이카토의 모린스빌에 위치한 113개의 우유공급낙농가들의 협동조합으로 매출 2억8120만 달러를 달성했다. 글로벌 유제품 공급과잉으로 인해 가격하락이 유지돼 실적관리에 어려움을 겪었다.▲Tatua 홈페이지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