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1
" 위탁생산"으로 검색하여,
7 건의 기사가 검색 되었습니다.
-
2025-01-14▲ 삼성바이오로직스 4공장[출처=삼성바이오로직스]삼성바이오로직스(대표이사 존 림)는 2025년 1월14일(화요일) 공시를 통해 유럽 소재 제약사와 2조747억 원(US$ 14억1011만 달러) 규모의 초대형 위탁생산(CMO) 계약을 체결 소식을 전했다.삼성바이오로직스는 새해 시작과 함께 2조 원 규모의 역대 최대 규모 수주 계약을 체결하며 2025년 첫 수주 성과를 알렸다.이번 계약은 삼성바이오로직스 창립 이래 역대 최대 규모로 2024년 전체 수주 금액(5조4035억 원)의 40% 수준이다. 계약 기간은 2030년 12월31일까지며 고객사 및 제품명은 비밀유지 조항에 따라 공개되지 않았다.삼성바이오로직스는 이번 계약을 통해 자체 최대 수주 기록을 또 한번 경신했다. 2024년 10월 아시아 소재 제약사와 1조7028억 원 규모의 계약을 체결한지 불과 3개월여 만이다.글로벌 시장 확대 측면에서도 삼성바이오로직스는 2024년 미국, 유럽, 아시아 등 글로벌 주요 시장에서 1조 원 규모의 ‘빅딜’을 잇따라 3건 체결하는 등 입지를 더욱 확고히 했다.2024년 연간 수주 금액은 역대 최대 규모인 5조4035억 원으로 전년 대비 약 1.5배 증가했다. 현재 글로벌 상위 제약사 20곳 중 17곳을 고객사로 확보하고 있다.압도적 생산능력, 품질 경쟁력, 다수의 트랙 레코드 등 핵심 수주 경쟁력을 바탕으로 창사 이래 누적 수주 총액은 176억 달러를 돌파했다.삼성바이오로직스는 증가하는 바이오의약품 수요에 선제적으로 대비하기 위해 생산능력을 확대하고 있다. 5공장은 1~4공장의 최적 사례를 집약한 18만 리터(L) 규모의 생산공장으로 오는 4월 가동을 목표로 건설 중이며 완공 시 삼성바이오로직스는 총 78만4000L의 생산능력을 확보하게 된다.품질 측면에서는 99%의 배치(Batch) 성공률을 기록하는 등 의약품 제조·관리 전 과정에서 뛰어난 경쟁력을 입증하고 있다.또한 2024년 12월 기준 미국 식품의약국(FDA) 41건, 유럽
-
▲ 삼성바이오로직스 4공장[출처=삼성바이오로직스]삼성바이오로직스(대표이사 존 림)에 따르면 2024년 11월20일(수요일) 유럽 소재 제약사와 총 9304억 원(US$ 6억6839만 달러) 규모의 위탁생산(CMO) 계약을 체결했다고 2건을 공시했다.이번 계약은 각각 7524억 원 규모, 1780억 원 규모 총 2건의 계약으로 수주 금액을 합하면 전년도 전체 수주 금액 3조5009억 원의 약 30%에 달한다.고객사 및 제품명은 비밀유지 조항에 따라 공개되지 않았으며 계약 기간은 2031년 12월31일까지다. 삼성바이오로직스가 글로벌 제약사와 연이은 ‘빅딜’을 체결하며 창립 이래 최초로 연 누적 수주 금액 5조 원을 돌파했다.삼성바이오로직스는 2024년 3월 첫 계약을 시작으로 현재까지 글로벌 제약사들과 공시 기준 총 11건의 수주 계약을 체결했다. 11개월 만에 전년도 수주 금액의 1.5배에 달하는 5.3조 원의 수주 성과를 기록했다.특히 삼성바이오로직스는 2024년에만 미국, 아시아, 유럽 등 글로벌 전역에서 초대형 계약을 잇달아 체결하며 대규모 수주 물량을 확보하는 등 세계 최고 수준의 위탁개발생산(CDMO) 역량을 증명하고 있다.7월 미국 소재 제약사와 1.46조 원 규모의 계약을 시작으로 10월에는 아시아 소재 제약사와 1.7조 원 규모의 계약을 체결하며 역대 최대 규모 수주 기록을 3개월여 만에 경신했다. 이번 계약을 포함하면 올해만 1조 원 규모의 ‘빅딜’을 총 3건 체결했다.삼성바이오로직스는 현재 글로벌 상위 제약사 20곳 중 17곳을 고객사로 확보하고 있다. 압도적 생산능력, 품질 경쟁력, 다수의 트랙레코드 등 핵심 수주 경쟁력을 바탕으로 창사 이래 누적 수주 총액은 161억 달러를 돌파했다.삼성바이오로직스는 증가하는 바이오의약품 수요에 선제적으로 대비하기 위해 생산능력을 확대하고 있다. 5공장은 1~4공장의 최적 사례를 집약한 18만리터(L) 규모의 생산공장으로 2025년 4월 가동을
-
대만 의류 위탁생산 대기업 루홍(儒鴻企業, ECLAT TEXTILE CO., LTD)에 따르면 중국 우시시에 있는 제조 자회사의 조업의 중단하고 생산을 철수하기로 결정했다.또한 총 생산량의 60~70%를 담당하고 있는 베트남에 업무를 이관하기로 했다. 최근 중국에서 인건비 상승 등 고비용으로 적자가 늘어나 생산비율이 1% 이하대로 머물러 있었다.2015년에만 하더라도 중국의 생산비율은 25%를 기록했다. 따라서 루홍은 향후 동남아시아로 이전을 가속화할 예정이다.▲ Taiwan_ECLAT(Elastic Textile)_Homepage▲루홍(儒鴻企業, ECLAT TEXTILE CO., LTD) 홈페이지
-
홍콩 의류위탁생산업체 TAL Apparel에 따르면 2016년 10월 20일 베트남 빈푹성 바티엔 제2공단 봉제공장에서 생산을 시작했다. 투자액은 $US 5000만달러로 타이빈의 1공장에 이어 두번째 공장이다.TAL Apparel은 빈푹성에서 선진기술을 도입해 봉제공장에 투자할 계획이다. 프로젝트의 총 투자액은 2억5000만달러를 예상하고 있다.
-
인도네시아 국영중공업체 바라타(Barata)의 자료에 따르면 미국 제너럴일렉트릭(GE)과 발전소 관련 부품 위탁생산에 관한 양해각서를 체결했다.바라타측은 GE와의 제휴를 통해 가스터빈, 석탄화력발전소용 보일러, 재생에너지 관련 장비 등을 생산할 계획이다. 또한 제조 외에 보수 및 점검 서비스도 담당한다.
-
일본 섬유전문상사인 마루사(丸佐)는 2016년 7월 인도네시아에서 의류품의 위탁생산을 개시한다고 발표했다. 마루사는 중국 상하이에 현지법인을 갖고 있다.지금까지 일본의 의류기업으로부터 발주를 받아 중국 및 베트남의 봉제공장에서 의류품을 생산하는 일이 많았지만 인건비 상승을 배경으로 타국에도 거점을 신설해 수익을 확보할 방침이다.
-
일본 의약품제조업체 시믹홀딩스(シミックホールディングス)는 2016년 연고 생산능력을 11만개로 현재에 비해 2.2배 확대할 계획이다. 제약업체가 외부에 위탁생산하는 움직임이 확산돼 수요를 확보하기 위한 목적이다.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