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2
" 육군"으로 검색하여,
11 건의 기사가 검색 되었습니다.
-
2025-04-02▲ 국방부 로고[출처=국방부]국방부(국방부장관 직무대행 김선호)에 따르면 2025년부터 국가 및 지방의 균형 있는 발전에 기여하고 지역 내 우수한 인재를 군무원으로 채용하기 위한 ‘군무원 지역 인재 채용 제도’를 시행한다. 또한 군무원 지역 인재 9급 선발시험을 시행한다.군무원 지역 인재 9급 선발시험은 특성화고, 마이스터고 및 전문대의 우수 인재를 채용하는 것이다. 2025년 최초로 시행하는 제도이며 졸업 예정자이거나 졸업 후 2년 이내인 사람을 대상으로 한다.공고문에 안내된 학과 성적 기준을 충족한 경우 학교별 인원수 제한 없이 군무원 지역 인재 9급 선발시험에 응시 가능하다.2025년 군무원 지역 인재 9급 선발시험은 200명을 모집한다. 국방부 및 각 군 인터넷 누리집을 통해 ‘2025년 군무원 지역 인재 9급 선발시험 시행 계획’을 4월3일 공고한다.▲ 국방부 및 각 군의 지역별 선발 인원[출처=국방부]국방부 및 각 군별 군무원 지역 인재 9급 선발시험 공고문은 인터넷 누리집에서 확인할 수 있다.▲ 국방부 및 각 군별 군무원 지역 인재 9급 선발시험 공고문 확인 방법[출치=국방부]원서접수는 국방부 및 각 군별 인터넷 누리집을 통해 4월25일(금)부터 진행되며 필기시험(7.5), 서류전형(10월) 및 면접시험(11월)을 거쳐 최종합격자를 발표(12월)할 예정이니다.최종합격자는 2026년부터 각 군 및 국방부 직할부대(기관)에서 수습 근무(6개월)를 거쳐 9급 군무원으로 임용될 예정이다. 임용 후에는 해당 선발 지역에서 5년간 근무하게 된다.국방부는 특성화고, 마이스터고 등에서 우수한 소양을 갖춘 인재를 군무원으로 영입해 조직 경쟁력을 강화하고 공직 채용경로의 다양화를 통해 청년 일자리 창출에도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
2024년 12월3일 저녁 10시23분 윤석열 대통령은 계엄령을 선포한 후 육군특수전사, 정보사, 국군방첩사, 수도방위사 등에 소속된 군인과 경찰을 동원했다.1979년 10·26 사태 이후 최규하 대통령 대행이 제주도를 제외한 전국에 비상계엄령을 내린 후 45년 만이다. 12·12 쿠데타 세력은 1980년 5월17일 비상계엄을 전국으로 확대하며 공포감을 조성했다.45년 비상계엄령과 12·3 비상계엄령에 동원된 군인들의 대처는 180도로 달랐다. 맹목적으로 신군부의 지휘명령에 따랐던 과거와 달리 MZ(밀레니엄+Z) 세대 군인들은 직접적인 명령 불복종 대신에 태업(怠業)으로 일관했다.비상계엄을 지휘했던 대통령과 국방장관은 국회의 비상계엄해제를 방해하고 주요 정치인을 체포하길 원했다. 하지만 초급 지휘관과 병사들은 시간을 끌며 유혈사태를 막았다.2023년 11월 개봉한 영화 '서울의 봄'은 1300만 명의 관람객을 끌어모으며 흥행에 성공했다. 12·12 군사반란에 대한 역사적 재평가와 더불어 군부통치의 문제점을 잘 조명했기 때문이다.군(軍)의 용사 뿐 아니라 초급지휘관은 모두 MZ 세대로 '꼰대문화'에 젖은 장군들과 장관의 일탈행위를 용납하지 않았다.군과 마찬가지로 기업에서도 MZ 세대는 임원과 최고경영자(CEO)의 부당한 명령과 잘못된 의사결정은 따르지 않은지 오래됐다. 직원과 경영자를 포함한 구성원 전체를 단결시킬 수 있는 기업문화(corporate culture)가 중요한 이유다.◇ 기업문화는 기업의 생존을 결정... 문화상대주의 관점에서 다양성 존중하는 것이 중요경영자가 기업문화에 관심을 가지는 이유는 기업의 성과와 생존에 밀접한 연관성이 있기 때문이다. 성공한 글로벌 기업에는 나름의 독특한 기업문화가 있다.그것이 어떤 문화이고 그 문화의 특장점을 연구해 다른 기업에 적용할 수 있느냐 하는 것이 최근 경영학의 화두이다. 좋은 기업문화가 하루아침에 생기는 것도 아니다.좋은 기업문화를 구축했다고 해도 지속적으로 노력하지 않으면 유지할 수 없다. 이런 측면에서 기업문화 관리가 중요성하다고 하는 것이다.기업문화는 살아있는 생물과 마찬가지로 기업이 처한 외부환경의 변화와 구성원의 진입과 퇴출에 따라 진화한다. 즉 기업문화는 정체돼 있는 것이 아니라 내·외부 환경의 변화에 따라 달라진다.찰스 다윈(Charles Robert Darwin)의 진화론에 따르면 환경의 변화에 가장 빠르게 적응한 종만이 살아남는다. 마찬가지로 강한 문화가 살아남기보다는 환경 적응성이 높은 문화가 영속성을 가진다.기업문화도 동일한 원리가 적용된다. 기업문화는 기업활동에서 의사전달, 의사소통의 원활화, 직원의 유기적 협력, 조직의 일체감을 강화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규모가 작은 기업의 기업문화는 바꾸기 쉽지만 덩치가 큰 기업은 변화 자체가 어렵다. 나이든 사람보다는 젊은 사람, 남성보다 여성이 새로운 기업문화에 적응하는 속도가 빠르다.기업별로 인종, 나이, 성별 등에 따라 새로운 기업문화의 습득 속도가 다르기 때문에 혁신이 필요하다면 변화 에이전트(agent)를 선발해 운영해야 한다.성공한 기업보다 실패 경험을 가진 기업이 새로운 기업문화를 빨리 받아들인다. 강한 기업문화를 가진 기업보다는 약한 기업문화를 가진 기업이 새로운 기업문화를 잘 받아들인다.일반적으로 문화는 어떤 문화가 좋고 나쁘다를 평가하는 것이 아니라 있는 그대로 인정해야 한다는 문화상대주의가 주류 흐름이다.즉 사회문화는 그 문화가 생성된 특정한 상황의 문제해결에 대처한 결과라고 생각한다. 이런 생각은 자신의 문화가 우월하다는 자문화중심주의의 반성에서 나왔다.문화상대주의를 인정해야만 여러 문화가 병립할 수 있고 문화의 다양성은 사회발전의 원동력으로 작용한다고 본다. 새로운 문화가 유입되면 조직 내부에 문화적 동화현상이 일어나며 긍정적, 부정적 효과가 동시에 나타난다.◇ 좋은 기업문화와 나쁜 기업문화... 존경받는 기업이 되려면 좋은 기업문화 창달해야기업문화에는 ‘좋은 기업문화’와 ‘나쁜 기업문화’가 있다. 나쁜 기업문화는 기업이 급변하는 비즈니스 환경에 적응하기 위해 변화하려는 노력을 방해한다.▲ 국가정보전략연구소가 창안한 SWEAT Model과 기업문화 위협도 평가 [출처=iNIS]기업 내부 저항세력의 힘이 셀수록 기업문화의 혁신(innovation)은 어려워진다. 기업문화를 관리하기 위해서는 눈에 보이지 않는 부분까지 관심을 갖고 챙겨야 한다.직원의 마음 속을 바꾸지 못하면 진정한 기업문화 혁신은 불가능하다. 동일한 사업을 하고, 유사한 수준의 자원을 가진 기업이 경쟁하여도 어떤 기업은 생존하고 어떤 기업은 망해서 사라진다.좋은 기업문화를 가진 기업은 살아남고 나쁜 기업문화를 가진 기업은 죽는다. 위대한 기업으로 존경받는 기업은 모두 우수한 고유의 기업문화를 갖고 있다.북유럽과 일본의 장수기업이 오래 생존하고 뛰어난 성과를 낼 수 있었던 것이 강력한 기업문화 때문이라는 점을 부인하는 경영전문가는 없다.이런 연유로 위대한 기업이 되는 방법을 찾고 학습하기 위해 기업문화를 연구하는 것이다. 환경의 변화에 적응하지 못한 생물은 도태되듯이 기업도 살아 있는 유기체로 환경의 변화에 빠르게 적응해야 망하지 않는다.국가정보전략연구소는 글로벌 기업의 기업문화를 연구해 SWEAT Model를 개발했다. 비전(Vision), 사업(Business), 성과(Performance), 조직(Organization), 시스템(System) 등 5개 DNA를 통해 기업문화가 좋은지 혹은 나쁜지 평가한다.특히 기업문화가 '100년 기업'이 되기 위한 요건에 충분한지 보는 것이 중요하다. 문화와의 적합도와 전략상의 중요도에 따라 기업문화를 3가지 카테고리 즉 △받아들이기 어려운 위험 △관리 가능한 위험 △무시할 수 있는 위험으로 분류한다.버블차트의 크기는 위험의 크기를 나타낸다. 위의 예시에서 보면 비전이 가장 취약하고 사업, 조직, 시스템, 성과 순으로 혁신이 필요하다는 것을 파악할 수 있다.◇ 유럽과 일본의 장수기업이 환경변화에 잘 적응한 사례... 변혁기 한국 기업에게 필요한 혁신적 리더십 부족코트와 헤스켓은 1992년 『기업문화와 성과』라는 책에서 기업문화와 수익율, 성장율 등은 깊은 연관성이 있다고 주장했다.강력한 기업문화란 기업의 전략에 합치하는 것이다. 즉 환경변화에 잘 적응할 수 있는 기업문화가 강한 기업문화라고 할 수 있다.기업 실적도 단기적인 관점이 아니라 장기적인 관점에서 접근할 필요가 있다. 왜냐하면 나쁜 기업문화를 가진 기업도 단기적으로 좋은 실적을 낼 수 있기 때문이다.기업을 스스로 판단하고 환경에 적응해가는 유기체로 보더라도 운영의 주체는 구성원, 즉 사람이다. 사람은 성과를 내면 보상해준다는 당근만으로 장기간 동기부여를 시킬 수 없다.미국식 경영기법이 인정받은 것은 2차 대전 이후부터 1980년대까지 약 30여 년에 불과하다. 하지만 이 시기에 미국 기업이 보여준 성과는 자본주의 200년 역사보다 더 찬란하다.1980년대 말에 주춤하기는 했지만 1990년대부터 신경제나 글로벌 경제라는 용어가 활성화되면서 미국식 기업문화가 재조명을 받고 있다.성과주의가 각광을 받고 이를 기반으로 하는 미국식 경영기법이 글로벌 스탠다드로 인정되고 있지만 미국식 경영기법이 기업성장에 필요한 '만병통치약'이라고 보기는 어렵다.미국의 역사가 불과 250여 년에 불과하다는 변명을 내세울 수 있겠지만 정작 미국 기업 중 100년을 화려하게 성장해온 기업도 드물다.수백 년을 이어가는 북유럽의 기업이나 1000년을 넘기는 일본의 기업에 비한다면 아직 미국 기업의 수명은 비교할 수조차 없이 짧은 편이다.미국형 기업문화가 완전하다고 보기는 어렵고 일부 좋은 실적을 낸 일부 미국의 선도기업이 환경변화에 따라 혁신할 수 있는 기업문화를 갖고 있다고 보는 것이 적절하다.마찬가지로 일본과 유럽의 기업도 동일한 관점에서 접근해야 한다. 좋은 성과를 내기 위해서는 강한 기업문화를 만들고 유지해야 하고 기업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기업문화를 관리해야 한다.기업의 성과를 분석해보면 전문경영인보다 창업자가 경영하는 기업의 성과가 좋게 나타난다. 리더십은 보수적인 것보다 혁신적인 기업의 성과가 더 높다.전통적인 한국 기업은 상의하달형(上意下達)의 권위주의적 리더십이 중시되고 보수적이어서 커뮤니케이션이 활발하지 않은 편이다.기업의 창업기나 성장기에는 빠른 피드백이 요구되므로 보수적이고 수직적이며 커뮤니케이션이 활발하지 않은 권위주의적 리더십이 실적을 내기도 한다.하지만 기업의 변혁기나 쇠퇴기에는 혁신적인 리더십이 필요하고 현상유지형 리더십은 배척돼야 한다. 기업의 발전단계에 따라 다른 리더십과 기업문화가 요구된다.- 계속 -
-
2021-07-05미국 육군(U.S. Army)에 따르면 차세대 전투형 무인기로 ‘그레이 이글(MQ-1C Gray Eagle)’이 주목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그레이 이글은 무인정찰기 프레데터(Predetor)를 기반으로 개발된 육군의 공격형 무인기다. 공군의 전투형 무인기는 리퍼(MQ-9 Reaper) 시리즈로 이와 구분된다.한때 미육군의 주요 무인기는 이스라엘에서 생산한 'IAI RQ-5 헌터'였다. 1995년 제작된 만큼 노후화된 장비에 속했고 결함이 발견되면서 대체 무인기가 필요했다. 그래서 개발된 드론이 그레이 이글이다.2009년부터 도입된 그레이 이글은 대형 방산업체 제너럴 아토믹스(General Atomics)에 의해 개발됐다. 이후 내구성과 기동성을 향상시키면서 꾸준히 육군에 공급해왔다.과거 육군은 이스라엘처럼 해외나 미공군으로부터 공중 무기 시스템을 의존해왔다. 그러나 그레이 이글이 지속적으로 개선되고 공급되면서 외부 의존도를 줄일 수 있었다.그레이 이글의 제원을 살펴보면, 적재량은 360kg에 총 이륙중량은 1632kg이며, 중유 연료방식의 엔진이 장착돼 있다. 최대 비행시간은 25시간이며 최고 속도는 190MPH이다.무장 형태는 AGM-114 Hellfire 미사일 4개 또는 AIM-92 Stinger 미사일 8개를 장착할 수 있다. 공군에 비해 부족한 제원과 무장력이지만 육군 내 작전을 수행하는 데는 무리가 없다.그레이 이글에 대한 새로운 대체 계획은 아직 공고화된 것이 없다. 다만, 그레이 이글을 기반으로 인공지능(AI) 및 자율비행 기술을 적용한 업그레이드 버전을 기획하려는 움직임은 군 내에서 포착되고 있다.현재 미육군 제160특수작전항공연대에서 그레이 이글을 운영하고 있으며 향후 152대를 추가 조달할 계획이다. 참고로 그레이 이글은 국내용으로만 제조 및 공급되고 있다.▲그레이 이글(MQ-1C Gray Eagle)(출처 : 제너럴 아토믹스)
-
2021-06-21미국 육군의 내년 예산안 보고서에 따르면 소형 드론을 무력화시킬 수 있는 고출력 극초단파(High-Power Microwave, 이하 HPM) 기술을 개발 및 통합할 계획이다.육군은 2021/22년 US$ 5000만달러 예산을 책정해 소형 드론을 격추할 수 있는 카운터 시스템을 개발하는 것이 목적이다. 전체 예산안 중 3분의 1 이상인 1873만달러를 HPM 기술에 집중하겠다는 것이다.HPM은 소형 드론 또는 군집 드론을 무력화할 수 있는 전자전 장비로 수십억 와트(watts)의 강한 파장을 일으킬 수 있다. 강한 전파에 표적까지 가능하다면 해당 기계를 파괴할 수도 있다.카운터 드론 시스템으로 HPM을 개발하면 추후 육군 전체 무기체계에 통합 운용할 방침이다. 크루즈미사일, 로켓, 박격포 등 해당 부대에 적 드론의 공격을 방어할 수 있는 시스템으로 적용할 계획이다.현재 육군은 공군과 협력해 드론 격추 시스템을 개발하고 있다. 극초단파와 레이저 기술로 드론을 탐지하고 격파할 수 있는 프로토타입을 개발 중이다. 이르면 2023년경 현장 실험을 진행한다는 계획이다.이미 공군은 소형 드론의 각종 위협에 대응하기 위해 4억9000만달러를 투자할 계획이라고 밝힌 바 있다. 이제 모든 군사체계에 드론 방어 시스템은 필수로 자리잡을 것으로 전망된다.▲2019년 3월 시행한 군집 드론 훈련 장면(출처 : 미국 육군)
-
2021-05-27인도 육군에 따르면 이스라엘 항공기제조업체인 IAI(Israel Aerospace Industries)로부터 감시 및 정찰용 드론 ‘Heron TP’ 4기를 임대할 계획이다.육군이 정찰용 드론을 임대하는 이유는 중국과의 국경 분쟁에 대비하기 위함이다. 임대할 4기의 드론을 중국 국경 통제선에 배치해 감시 업무를 증강하겠다는 의도다.Heron TP는 날개 길이만 28미터에 달할 만큼 대형 무인기다. 다양한 기후 조건에서도 임무를 수행할 수 있는 중고도 비행 시스템이 내장돼 있다.최대 적재 중량은 2700kg으로 기존 정찰용 드론의 2배에 달한다. 비행시간은 30시간, 감시범위는 1000km로 인도 육군이 보유하고 있는 드론 중에서는 최고의 스펙을 자랑한다.Heron TP 드론은 빠르면 몇 주 내로 2기가 우선 배치되고, 나머지 2기는 3개월 이후 추가될 예정이다. 임대기간은 기본 3년, 추가 옵션은 2년이며, 임대비용은 공개되지 않았다.참고로 Heron TP 드론은 비무장 버전으로 오로지 감시와 정찰 임무만을 수행할 수 있다. 향후 국경 분쟁의 양상에 따라 드론의 형태도 다양해질 것으로 전망된다.▲이스라엘 IAI의 Heron TP 드론(출처 : 홈페이지)
-
2021-05-04미국 공군(US Air Force)에 따르면 2021년 3월 26일 발키리(Valkyrie) 드론 내부에서 발사됐던 소형 드론의 성공적인 시험 운행이 재조명되고 있다.당시 미공군은 애리조나 훈련장 상공에서 발키리 드론의 페이로드 내부에 탑승시킨 소형 드론 ALTIUS-600을 발사하는 데 성공한 바 있다.비행하던 발키리 드론의 내부 페이로드가 열리고 전자전과 감시·정찰 임무를 수행할 수 있는 ALTIUS-600이 안정적으로 이륙 모드에 진입했다.‘드론 안에 드론’이라는 이름으로 알려진 이 훈련은 전투기 간 네트워크의 구축과 다중 작전계획을 수립하기 위해 고안됐다.발키리는 기존 F-35와 F-22 전투기의 통신 노드로써 사용됐고 현재도 실험 중이다. ALTIUS-600은 앞서 언급된 임무 외에도 12kg까지 화물을 적재 및 운반할 수 있어 수행할 수 있는 임무 영역이 넓다.이 같은 드론 작전체계는 미육군에서도 드론 훈련 시 적용하고 있다. 특히 드론 내부에서 또 다른 드론을 발사한 ALTIUS 플랫폼에 관심이 모이고 있다.참고로 ALTIUS-600과 ALTIUS 발사 플랫폼은 조지아에 소재한 드론소프트웨어개발사 에어리어아이(Area-I)가 개발했다.▲발키리 드론 내부에서 발사된 ALTIUS-600(출처 : US Air Force 홈페이지)
-
2020-10-21영국 육군(The British Army)에 따르면 글로벌 무기제조업체인 록히드마틴의 새로운 드론인 인다고(Indago)를 테스트하고 있다.프로젝트는 연간 영국 육군 혁신 실험 프로그램(The annual British Army innovative experimentation program)인 육군전쟁실험(AWE:Army Warfighting Experiment)의 일부로서 진행됐다.인다고(Indago)는 록히드마틴이 개발한 새로운 수직 이착륙(VTOL) 소형 드론이다. 인다고 드론 시스템의 무게는 10파운드 미만이고 작은 배낭에 맞으며 약 2분 안에 배치될 수 있다.드론의 페이로드는 1000피트 스탠드 오프 거리에서 번호판을 읽을 수 있는 고해상도, 주간, 전기 광학 이미지를 제공할 수 있다.야간에는 사람, 무기 및 기타 정보를 식별할 수있는 상세한 열 적외선을 제공한다. 또한 스위스 육군은 전술 정찰 및 감시를 위해 록히드마틴의 인다고 3 드론을 선택한 바 있다.▲ UK-Army-drone▲ 영국 육군(The British Army)의 AWE 홍보자료(출처 : 홈페이지)
-
2020-10-20미국 육군(US Army)에 따르면, 드론 통신 암호화를 향상시키는 프로젝트를 시작할 계획이다. 프로젝트는 중국과 러시아와 같은 적들의 증가하는 전자전 능력에 대응하기 위한 목적이다.해당 이니셔티브는 육군의 RCSUS(Reconfigurable Communications for Small Unmanned Systems) 프로젝트의 일부이다.육군은 통신회사인 비아샛(Viasat)과 드론업체인 에어로바이런먼트(AeroVironment)와 협업으로 매우 안전한 통신 네트워크를 배포할 수 있도록 개발할 예정이다.현재 미군에서 사용되는 에어로바이런먼트의 DDL(Digital Data Link) 라디오는 비디오 및 데이터 전송을 위한 타입1(Type-1) 암호화 통신 시스템으로 변환된다.이와 같이 양사는 안전한 디지털 암호화 통신 네트워크를 생성하기 위해 중요한 상호 운용성 표준을 개발할 방침이다.또한 경쟁 환경에서도 드론이 스펙트럼에 쉽게 액세스할 수 있도록 표준화된 통신 아키텍처를 만들 예정이다. 이와 같은 드론 통신 암호화를 향상시키므로써 전술적 드론의 안전한 통신 기능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USA-Aerovironment-Drone▲ 에어로바이런먼트(AeroVironment)의 홍보자료(출처 : 홈페이지)
-
2019-11-22오스트레일리아 스카이본 테크놀리지(Skyborne technologies)에 따르면 2020년 수류탄 발사 드론을 미국 육군의 훈련에 도입하기로 했다. 스카이본은 하이브리드 UAV 등을 생산하는 기업이다. Cerberus GL이라 명명된 수류탄 발사 드론은 2020년 미국 Fort Benning에서 Maneuver Battle Lab에 의해 운용되는 연습용 무기와 장비 중 일부로 도입된다. Cerberus GL은 1개의 폭탄을 운반하거나 12구경 산탄총을 장착할 수 있다. 또한 수류탄 발사체와 40mm 수류탄 3발을 장착해 작전에 투입된다.▲ 수류탄 발사 드론 Cerberus GL(출처 : 홈페이지내 유튜브 영상)
-
미국 뉴저지주 로완대(Rowan University)에 따르면 미국 육군 연구소(ARL)로부터 콜드 스프레이 적층가공(CSAM) 개발을 위해 $US 1450만달러를 유치했다.프로젝트에는 로완대, 드렉슬대(Drexel University), 노스이스턴대( Northeastern University), 매사추세츠대(University of Massachusetts) 및 페인트, 코팅 및 특수 재료의 글로벌 공급업체가 참여했다.콜드 스프레이 적층가공에는 초고속 초음속 가스 제트로 금속입자의 가속, 표면 또는 기판과의 충돌시 분말 재료를 접착하는 과정이 포함된다.음속보다 빠른 콜드 스프레이의 입자 속도는 폴리머의 빠른 경화 및 접착을 가능하게 한다. 이를 통해 고성능 복합 부품을 빠르고 효율적으로 생산하거나 부품을 수리할 수 있게 된다.프로젝트를 통해 개발된 재료는 군사 장비를 더욱 강하고 가볍게 만들고 차량의 내구성을 높이는 데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특히 이 기술을 이용하면 강도와 내구성을 크게 향상시켜 현재의 고가의 제조방법을 훨씬 더 경제적인 방법으로 대체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USA-RowanUniversity-3Dprint▲ 로완대(Rowan University)의 홍보자료(출처 : 홈페이지)
1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