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2
" 이니셔티브"으로 검색하여,
16 건의 기사가 검색 되었습니다.
-
1973년 테니스로 스포츠 마케팅 시장에 진출한 스포츠 브랜드인 휠라(FILA)는 1911년 이탈리아 비엘라(Biella)의 섬유제조업으로 시작했다.1991년 설립된 휠라코리아(FILA KOREA)는 2005년 휠라 글로벌로부터 독립했다. 2007년 휠라 글로벌 브랜드 상표권 인수 계약을 체결했으며 2010년 KOSPI에 상장됐다. 2020년 국내 영업 부문을 물적분할과 지주회사로 전환하며 휠라홀딩스(FILA Holdings)로 사명을 변경했다.2022년 발표한 휠라 그룹의 5개년 전략은 ‘WINNING TOGETHER’로 전세계 이해관계자와 ONE FILA가 되는 것을 목표로 정했다. 경영 전략은 △브랜드 가치 재정립 △고객 경험 중심의 비즈니스 모델 구축 △지속가능 성장으로 설정했다.휠라홀딩스의 ESG(환경·사회·지배구조) 경영 현황을 진단하기 위해 홈페이지, 국가정보전략연구소(국정연) 데이터베이스(DB), 국정감사·감사원·사법기관 자료, 각종 제보 등을 참조했다.글로벌 스탠다드를 지향하며 개발된 ‘팔기(八旗)생태계(8-Flag Ecosystem)’ 모델을 적용해 휠라홀딩스의 ESG 경영 현황을 진단해봤다. ▲ 휠라홀딩스의 ‘팔기(八旗)생태계(8-Flag Ecosystem)’ 모델 평가 결과 [출처=iNIS] ◇ 지속가능경영 전략 및 체계 수립... 2023년 부채총계 2조4262억 원으로 부채율 100.00%휠라홀딩스의 중장기 지속가능경영 전략은 ‘YOUR FILA IMPACT’로 3대 영역과 5가지 테마로 구축했다. ESG 경영헌장은 부재했으며 지속가능경영 전략 체계와 중장기 로드맵을 수립했다.지속가능경영 체계의 3대 영역은 △E-Actions for the Planet 제품의 생산부터 폐기까지 환경 영향 최소화 △S-Creating Social Impact 휠라 이해관계자를 위한 가치 제고 △G-Sound Governa
-
2025-02-12▲ 삼성바이오로직스 4공장 전경[출처=삼성바이오로직스]삼성바이오로직스(대표이사 존 림)에 따르면 글로벌 지속가능경영 평가기관인 탄소정보공개프로젝트(CDP·Carbon Disclosure Project)로부터 수자원 관리(Water Security) 분야 상위 등급인 ‘리더십’ 등급을 획득했다.CDP는 2000년 영국에서 설립된 후 전 세계 주요 상장기업을 대상으로 환경 이슈 대응 관련 정보 공개를 요청하는 프로젝트를 수행하고 있다. 2024년 2만4800여 개 기업이 참여했다.CDP 평가는 다우존스 지속가능경영 지수(DJSI) 등과 함께 주요 글로벌지속가능성 지표로 꼽힌다. 전략·목표·활동 등 다양한 영역에서 고른 점수를 받아야만 상위 등급 획득이 가능해 높은 대외신인도를 인정받고 있다.특히 글락소스미스클라인(GSK), 아스트라제네카(AZ), 노바티스 등 주요 글로벌 빅 파마들이 위탁개발생산(CDMO) 업체 선정을 위한 기후변화 대응 수준 파악 지표로 활용하는 것으로도 알려져 있다.CDP 평가는 리더십(A- 또는 A)부터 관리(B- 또는 B), 인식(C- 또는 C), 공개(D- 또는 D) 순으로 등급을 부여한다. 삼성바이오로직스는 CDP 평가 중 수자원 관리 분야에서 A- 등급을 받으며 글로벌 ESG 리더십을 인정받게 됐다.삼성바이오로직스는 이번 평가에서 자연자본전략 및 수질 오염 관리, 수자원 재이용률 등 구체적인 목표 설정, 수자원의 취수·방류·소비 데이터의 정확도와 신뢰성 확보 등의 활동을 통해 우수한 ESG 역량을 인정받았다.삼성바이오로직스는 이외에도 ‘지속가능한 CDMO 파트너’를 목표로 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해 생산능력 확충뿐만 아니라 ESG 경영에도 전사적 역량을 집중해 오고 있다. 이를 토대로 글로벌 주요 ESG 평가 지표인 DJSI 월드 지수에 4년 연속 편입된 바 있다.특히 글로벌 주요 이니셔티브인 지속가능한 시장 이니셔티브(SMI&mid
-
▲ LG CNS와 SAP, RSSP 이니셔티브 협약(왼쪽 SAP 아시아태평양지역 사장 폴 매리어트, 오른쪽 LG CNS 엔터프라이즈솔루션사업부장 내한신 전무)[출처=LG CNS]인공지능전환(AX) 전문기업 LG CNS(대표이사 현신균)에 따르면 국내 기업 중 최초로 SAP의 아시아태평양지역 전략 서비스 파트너(Regional Strategic Services Partner, 이하 RSSP) 이니셔티브에 합류했다.RSSP는 SAP가 운영하는 전략적 협력 프로그램으로 아시아태평양지역에서 최고 수준의 전사적자원관리(ERP) 역량을 갖춘 기업에게 부여된다.SAP 솔루션을 고객에게 맞춤형으로 제공할 수 있는 기술력과 사업 역량을 가진 기업에게 전략 파트너 자격을 제공한다.LG CNS는 일본의 후지쯔, 에이빔 컨설팅(Abeam Consulting), 베트남 FPT소프트웨어에 이어 아시아태평양지역의 4번째 SAP 핵심 파트너다.RSSP 이니셔티브 협약식은 2025년 1월22일 싱가포르 마리나 베이 샌즈 엑스포&컨벤션 센터에서 진행됐다. LG CNS 엔터프라이즈솔루션사업부장 내한신 전무, SAP 아시아태평양지역 사장 폴 매리어트(Paul Marriott), SAP 글로벌 파트너 세일즈 & 서비스 책임자 우트카르쉬 마헤슈와리(Utkarsh Maheshwari) 등이 참석했다.이번 RSSP 이니셔티브 협약을 계기로 LG CNS는 국내를 넘어 아시아태평양지역으로 클라우드 ERP 사업을 본격적으로 확대할 계획이다.LG CNS는 2023년 독일 발도르프(Walldorf) 소재 SAP 본사에서 전략적 파트너십을 체결한 이후 클라우드 ERP 서비스 혁신을 위한 협력을 지속적으로 강화해 왔다.LG CNS는 축적된 ERP 경험과 △AI △클라우드 △빅데이터 기술을 결합해 차세대 ERP[1]와 SAP S/4HANA[2] 전환 사업을 선도하고 있다.이를 통해 클라우드 ERP의 효율성과 안정성을 높이고 고객이 급변하는 비즈니스 환경 변화에서도 서비스를 중단없이 운영할 수 있도록 지
-
2025-02-05▲ WEPs홈페이지 새마을금고중앙회 소개 페이지[출처=새마을금고중앙회]새마을금고중앙회(회장 김인)에 따르면 상호금융 최초로 UN 여성역량강화원칙(WEPs, Women's Empowerment Principles)에 가입했다.WEPs는 유엔글로벌콤팩트(UNGC)와 유엔여성기구(UN Women)가 2010년 공동으로 발족한 이니셔티브로 성 평등과 여성인권 증진을 위한 7대 원칙을 제시하고 있다.현재 전 세계 약 10,565개 기업(국내 기업 84개)의 CEO가 이 원칙을 지지하고 있다. 여성역량강화 7대 원칙은 △양성평등을 위한 고위급 리더십 구축 △직장 내 여성차별 철폐, 인권 존중 및 동등한 기회 제공 △모든 근로자의 보건 및 안전, 복지 보장 △여성인력 개발, 교육 및 훈련 강화 △여성역량강화를 위한 기업개발 및 공급망, 마케팅 전략 구축 △지역사회 이니셔티브와 양성평등 확보 정책 공조 △양성평등 달성 과정 측정 및 공시 등 투명성 강화 등이다.새마을금고중앙회는 WEPs(여성역량강화원칙) 가입을 통해 양성평등 조직문화 구축을 위한 형평·포용·상생문화가 확산될 수 있도록 힘쓰고 있다.특히 ESG여성리더스 클럽활동, 여성특화상품 제공, 여성 경영진 확대 등을 통해 성평등과 여성의 권한 강화 증진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김인 새마을금고중앙회장은 “지역공동체의 발전과 국민 경제의 균형발전에 기여하겠다는 새마을금고의 비전처럼 여성의 역량강화와 양성평등을 위해 새마을금고중앙회는 최선을 다 할 것이다”고 전했다.
-
▲ 사우디아라비아 항공사인 리야드 항공(Riyadh Air)은 2024년 10월 프랑스 항공기 제작 전문업체인 에어버스(Airbus)와 A321 네오(A321neo)의 기체 60대 발주 계약을 체결했다. [출처=리야드 항공 홈페이지]2024년 10월31일 중동 경제동향은 아랍에미리트와 사우디아라비아의 통계와 서비스를 포함한다. 아랍에미리트 공항인 아부다비 국제공항(Abu Dhabi Airports)에 따르면 2024년 9월30일 기준 이용객 수는 2170만 명으로 집계됐다.사우디아라비아 항공사인 리야드 항공(Riyadh Air)에 따르면 2024년 10월 프랑스 항공기 제작 전문업체인 에어버스(Airbus)와 A321 네오(A321neo)의 기체 60대 발주 계약을 체결했다.◇ 아랍에미리트 샤르자 국제공항(Sharjah Airport), 2024년 3분기 이용객 수 439만2000명 집계아랍에미리트 공항인 아부다비 국제공항(Abu Dhabi Airports)에 따르면 2024년 9월30일 기준 이용객 수는 2170만 명으로 집계됐다.2023년 동기간 이용객 수인 1650만 명과 비교해 연초 누계(YTD)는 31.2% 증가했다. 2024년 3분기 동안 이용객 수가 증가한 것에 영향을 받은 것으로 조사됐다.2024년 3분기의 이용객 수는 770만 명으로 2023년 3분기 대비 27% 상승했다. 수도 아부다비가 여름 시즌 동안 관광과 레저 허브로서의 선호도가 오른 것으로 판단된다.아랍에미리트 샤르자 국제공항(Sharjah Airport)에 따르면 2024년 3분기 이용객 수는 439만2000명으로 집계됐다. 2023년 동기간 대비 10% 늘어난 것이다.2024년 3분기 동안의 기체 운항 횟수는 전년 동기간 대비 6.7% 상승했다. 35개 항공사에서 2만7758회 운항한 것으로 조사됐다.2024년 3분기 취급한 화물량은 4만6284톤(t)으로 2023년 동기간 대비 32% 증가했다. 해상-육상 화물량은 3236t으로 운영 성장률은 전년 동기간 대비 7.8%로 집계됐다
-
▲ 오만 살랄라 자유구역(Salalah Free Zone)의 모습. [출처=오만 관공서인 OPAZ 홈페이지]2024년 9월 2주차 오만 경제는 통계를 포함한다. 오만 살랄라 자유구역(Salalah Free Zone)에 따르면 2024년 6월말 기준 그동안 받은 투자 규모는 OMR 46억 리알(US$ 119억5000만달러)로 집계됐다.○ 오만 살랄라 자유구역(Salalah Free Zone)에 따르면 2024년 6월말 기준 그동안 받은 투자 규모는 OMR 46억 리알(US$ 119억5000만달러)로 집계됐다.2024년 상반기 투자 규모는 6800만리알(1억7600만달러)를 초과한 것으로 조사됐다. 현재 143개 기업이 프로젝트 64개를 활발히 진행하고 있다.프로젝트 부문은 △산업 이니셔티브 57% △로지스틱 프로젝트 15% △상업 벤처 28% 등이 각각 차지했다. 2024년 상반기에 시작한 프로젝트는 총 13개로 산업 부문은 포장, 에어컨 제조, 섬유 생산 등이었다.
-
▲ 미국 데렉(Delek)[출처=홈페이지]2024년 8월5일 북중남미 경제동향은 미국, 캐나다를 포함한다. 미국 소매기업이 멕시코에 매각되었다. 미국 사모펀드는 프랑스 기업의 북미사업을 인수하며 사업을 확장 중이다.캐나다 상공회의소는 미국과의 비지니스 협력을 강화학 위해 회의를 시작했다. 연방준비은행은 중소기업에 제공하는 대출금리를 공개했다.◇ 미국 데렉(Delek), US$ 3억8500만 달러로 멕시코 음료 대기업 펨사(Femsa)에 매각미국 소매 기업 데렉(Delek)은 US$ 3억8500만 달러로 멕시코 음료 대기업 펨사(Femsa)에 매각됐다고 밝혔다. 재고를 포함한 이 거래는 2024년 3분기 말 또는 4분기 초에 마무리될 예정이다.이번 인수를 통해 펨사는 장기 목표인 미국 편의점 및 모빌리티 시장에 진출한 것으로 평가된다. 펨사는 17개국 이상에서 운영되고 있다.멕시코, 콜롬비아, 칠레, 페루, 브라질을 포함한 5개국에 2만2800개 이상의 매장을 둔 아메리카에서 가장 큰 소규모 편의점 체인인 'OXXO' 브랜드로 유명하다.참고로 데렉의 소매 네트워크는 주로 텍사스와 뉴멕시코에 있는 미국 남서부 전역의 249개 편의점 매장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DK 브랜드로 운영된다. 펨사는 2022년에 스위스 에너지 회사 바로라(Valora)를 인수하여 유럽으로 진출했다.미국 사모펀드 아메리칸 인더스트리얼 파트너스(American Industrial Partners)는 US$ 6억2000만 달러로 프랑스 그룹 베올리아 북미 재생 서비스(Veolia North America Regeneration Service)를 매입했다고 밝혔다.베올리아 북미 재생 서비스의 정유소용 황산 및 불산 재생 부문이 포함된다. 베올리아는 핵심 사업을 위한 자원을 확보하기 위해 비우선순위 자산을 매각했다. 매각되는 사업부는 2023년에 3억5000만 달러의 수익을 창
-
2022-09-13우크라이나 현지 언론인 RBC-Ukraine에 따르면 2022년 9월 11일 오데사항(Great Odesa, Одеси)의 우크라이나산 곡물의 선적 및 운송이 취소됐다. 기상 악화로 인해 시야 확보가 어려워졌기 때문이다.10일 도착한 화물선 10척도 기상 악화로 인해 항만으로 들어오지 못했다. 현재 도나우강을 통해 5척이 추가로 오데사항에 도착할 예정이다.대부분의 화물선들은 우크라이나산 농산물을 운송하기 위해 입항하는 것이. 9월 9일에는 아프리카로 보낼 곡물을 선적했다.곡물 운송 루트가 확보되며 최소 50척 이상의 선박이 우크라이나 항만을 떠났다. 수출된 화물은 곡물 120만톤 이상으로 집계됐다.7월 22일 러시아, 우크라이나, 튀르키에, 유엔이 공동으로 흑해 곡물 이니셔티브를 체결함에 따라 곡물 수출이 재개됐지만 기상 악화, 기뢰로 인한 안전 등으로 인해 곡물 수출은 난항을 겪고 있다.▲우크라이나 항만의 선적(출처: 우크라이나 인프라시설 장관인 올렉산드르 쿠브라코우(Oleksandr Kubrakov) 트위터)
-
싱가포르 국제상공회의소(International Chamber of Commerce, ICC)에 따르면 최근 디지털 표준 이니셔티브(Digital Standards Initiative, DSI)의 신임 전무이사로 마멜라 마르(Pamela Mar)를 임명했다.2022년 9월 정식으로 임명할 예정이다. 현재 마멜라 마르는 홍콩 Fung Group의 지식 및 애플리케이션 담당 부사장직을 맡고 있다.홍콩과 중국 선전, 스위스 제네바 등에서 20년 이상 지속 가능성, 기술, 글로벌 정책 문제에 관한 글로벌 공급망과 산업에 근무한 경험을 자랑한다.그녀는 2019년 'Eco-Business Sustainability A-List'에 이름을 올리기도 했다. 기업의 지속 가능성과 공급망 이슈에 관해 폭넓게 발언했으며 다양한 의견을 발표해 왔다.임기를 시작하면 마르튼 싱가포르 허브에서 ICC의 DSI 글로벌 프로그램의 지속적인 성장을 이끌게 된다. 디지털 무역 프로세스 채택, 기술지원 및 규제 환경을 가속화하기 위해 전 세계 산업, 정부, 주요 표준화 재정 기관와 협력하게 된다.ICC는 디지털 표준 이니셔티브의 업무를 맡게 되는 마멜라 마르가 국제 경험과 실적, ICC의 제도적 임무에 대한 헌신을 통해 무역 디지털화 분야를 가속화할 수 있는 인물이라고 판단했다.ICC DSI가 디지털 무역 격차 해소에 도움을 줄 뿐 아니라 독특한 위치와 공공 재화, 민간 부문의 기회를 모두 창출할 수 있기 때문이다.▲ 마멜라 마르(Pamela Mar) 사진(출처 : International Chamber of Commerce (ICC) 홈페이지)
-
국제 독립 표준 조직 글로벌 리포팅 이니셔티브(Global Reporting Initiative, GRI)에 따르면 업계의 영향을 추적하고 궁극적으로 줄이기 위해 양식, 농업, 어업을 포함하는 새로운 표준 GRI 13을 발표했다.새로운 표준은 GRI 13 : 농업, 양식, 어업 부문 2022 (GRI 13: Agriculture, Aquaculture and Fishing Sectors 2022)에 관한 것이다.GRI 13은 농작물, 동물, 해산물의 업스트림 생산에 있는 모든 기업들을 위한 최초의 글로벌 및 종합적인 지속가능성 공시 표준이다. 공유되고 뚜렷한 영향의 공개에 대한 기대치를 설정했다.이러한 부분의 영향에 기초해 농업, 양식, 어업 조직에 중요한 자료가 될 수 있는 주제들을 다루고 있다. 또한 식량안보, 토지 및 자원권, 생활임금 및 소득, 자연생태계 전환, 동물 복지, 토양보건, 농약 사용 등에 관한 신규 공시에 관한 주제를 포함하고 있다.기업이 미치는 영향과 17개 모든 글로벌 목표가 상호 연결되도록 지원하는 SDG에 관한 부문별 효과의 증대에 관해 정의했다.유엔 식량농업기구(Food and Agriculture Organization, FAO), 국제노동기구(International Labour Organization, ILO), 국제 해사기구(International Maritime Organization, IMO) 등 국제적 체계를 바탕으로 책임 경영에 대한 정책적 시사점을 다루고 있다.GRI 13은 농작물 재배, 동물 육성, 어업 또는 양식업 관련 조직의 가장 중요한 영향을 조명하면서 책임있는 의사 결정을 알리는데 필요한 명확성과 일관성을 제공한다.GRI는 농업, 양식, 어업 표준은 이주 노동자 보호, 남획 대처, 배가가스 감축, 산림 벌채 중단 등의 지속 가능한 미래로 경로를 설계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GRI 13은 다중 이해관계자 19명으로 구성된 워킹그룹에 의해 개발됐다. 투자자, 시민 사회,
1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