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1
" 이동수단"으로 검색하여,
7 건의 기사가 검색 되었습니다.
-
▲ 일본 도키치현 우쓰노미야시(宇都宮市) 전경 [출처=시청 홈페이지]일본 도키치현 우쓰노미야시(宇都宮市)에 따르면 2024년 2월 기준 신설한 차세대 노면전철(LRT)의 1일 평균 이용자가 1만2000~1만3000명 수준으로 조사됐다.토요일, 일요일, 공휴일은 이용자가 약 1만 명까지 늘어난다. LRT를 건설할 당시에 예측한 이용자 숫자와 비슷한 한 규모이다.하지만 노선 주변의 주민 뿐 아니라 넓은 범위의 주민이 이용하지 않으면 활성화하기 어려울 것으로 전망된다. 통근이나 통학을 포함해 쇼핑, 외출 등의 이동수단으로 자리매김하는 것이 중요하다.우쓰노미야시는 기존 버스 노선을 재편해 LRT 정류장을 지나도록 유도하고 있다. 일반 시민이 환승하거나 이동하기 쉬운 대중교통 수단으로 만들기 위한 목적이다.참고로 우쓰노미야시는 2023년 8월 전국에서 처음으로 모든 선로를 신설해 LRT를 개통했다. 다수 지방정부는 버스 운전사의 고령화 등으로 대중교통을 유지하기 어려워 자율주행버스를 도입하고 있다.
-
▲ 일본 국토교통성(国土交通省) 빌딩 [출처=홈페이지]일본 자치체라이드쉐어연구회(自治体ライドシェア研究会)에 따르면 전국 21개 지방자치단체가 '라이드쉐어'를 도입할 의향이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도입 의사를 표명한 지자체는 홋카이도 니세코쵸, 교토부 마이즈루시, 구마모토현 다카모리초 등 21개 시와 마을이다.라이드쉐어를 도입하려는 마을은 버스, 택시 등 이동수단을 확보하기 어렵다는 특징을 보인다. 지방자치단체나 비영리법인(NPO)이 라이드쉐어를 감독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국토교통성(国土交通省)은 택시회사가 운전사를 모집하기 어려운 구인난을 고려해 2024년 4월부터 택시회사가 관리하는 조건으로 라이드쉐어를 도입하기로 결정했다.택시회사가 라이드쉐어에 필요한 앱을 운영한다. 일반 자가용 소유자 뿐 아니라 미국의 차량공유 서비스업체인 우버도 참여를 고려 중이다.참고로 라이드쉐어는 일반 운전자가 자가용 차를 사용해 유료로 사람을 운송하는 방식을 말한다. 그동안 택시업체의 반발로 허용하지 않았다.
-
2022-03-26인도 온라인 이동수단 네트워크 기업인 ANI 테크놀로지(ANI Technologies Pvt Ltd)에 따르면 금융기업인 Avail Finance를 인수할 계획이다. ANI 테크놀로지는 택시 서비스 플랫폼인 올라(Ola Cabs)를 운영하고 있다. 인수 규모에 대해 밝히지 않았지만 주주로부터 승인을 받아야 한다. 올라는 이미 Avail Finance의 투자자 중 한명이다. 인수를 통해 올라의 핀테크 사업 부문을 강화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향후 운전자 파트너를 포함한 블루 칼라 노동자를 대상으로 하는 신용 부문을 강화하고자 한다. Avail Finance는 네오뱅킹 기업으로 오직 온라인으로만 운영되고 있다. 금융 서비스 사업의 강화를 포함해 네오뱅킹 부문으로도 진출하려는 시도로 판단된다. ▲Avail Finance 로고
-
일본 고베시(神戸市)에 따르면 2022년 2월 2일부터 전력회사인 간사이전력(関西電力) 등과 새로운 이동수단 실증실험을 시작했다. 고베시의 번화가인 산노미야(三宮)를 보행자 우선 거리로 전환하고 도로를 재정비해 보행자 수를 늘리기 위한 목적이다. 실험에는 2가지 종류의 이동수단이 도입됐다. 간사이전력의 자회사인 게키단이이노(ゲキダンイイノ)에서 제조한 신형 이동수단은 3명이 탑승 가능하며 정해진 코스를 자율주행한다. 걷는 정도의 속도로 이동하며 보행자를 감지하면 감속 및 정지한다. Tmsuk Ltd(テムザック)에서 제조한 신형 이동수단은 4륜 구동으로 최고 시속은 6킬로미터이다. 시승자의 설문조사와 카메라 영상의 인공지능(AI) 해석을 통해 위험 요소와 주위 보행자에 대한 영향을 조사할 계획이다. ▲고베시(神戸市) 로고
-
일본 전자기기업체 파나소닉(パナソニック)에 따르면 2020년 스마트타운 내의 이동수단을 위한 초소형 전기자동차(EV)를 출시할 예정이다.자동운전시스템을 활용해 일정 지역 및 상업시설 등을 왕복하며 사람이나 짐을 운송할 수 있는 서비스로 활용할 계획이다.
-
닛산자동차큐슈(日産自動車九州)는 2016년 후쿠오카현 유쿠하시시(行橋市)와 전기자동차(EV)의 보급을 위한 제휴협정을 체결했다고 발표했다.고령화지역의 이동수단으로써 향후 수요가 증가할 것으로 전망되는 2인승 초소형 EV의 활용법을 찾을 계획이다. 시에서도 구입보조금과 맨션에의 EV용 충전기 보조금을 8월에 신설하는 등 보급을 촉진한다.
-
미국 자동차제조사인 포드(Ford)에 따르면 뉴질랜드인들이 개인용 이동수단에 신기술을 활용하려는 경향이 가장 부족하다. 아시아·태평양 지역을 대상으로 한 조사 결과이다.뉴질랜드 설문 응답자들 중 77%가 주로 자가용을 사용한다고 답했다. 이는 태국과 함께 전체 조사군 중에서 가장 높다.카셰어링 서비스를 주기적으로 사용한다고 답한 아시아·태평양 지역 전체 응답자는 20%인 반면 뉴질랜드는 9%를 기록했다.그리고 전체의 25%가 우버(Uber)와 같은 라이드 카셰어링 애플리케이션을 주일당 한 번 이상 사용하는가에 대한 질문에 긍정을 표했을 때 뉴질랜드는 그중 3%을 차지했다.매일 한 번의 이동에서 두 개 이상의 형태가 존재하는 멀티 모델 이동수단을 이용하는가에 17%, 지금까지 한 번도 사용하지 않았다에 68%로 뉴질랜드는 두 부분 모두 가장 낮은 비율을 차지했다.포드 뉴질랜드 소통 및 공무 담당자 톰 클랜시(Tom Clancy)는 주요 도시들의 밀집 문제나 교통체증을 해결하기 위해 포드사의 이동 기술 발달이 중요해질 것이라고 판단한다.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