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2
" 인공위성"으로 검색하여,
11 건의 기사가 검색 되었습니다.
-
▲ 싱가포르 ST 엔지니어링 iDirect(ST Engineering iDirect)의 다중궤도 및 스위칭 기술[출처=ST 엔지니어링 iDirect 홈페이지]2024년 12월11일 동남아시아 경제는 싱가포르와 인도네시아를 포함한다. 싱가포르 ST 엔지니어링 iDirect는 위성 간 추적 및 스위칭을 가능케 하는 기술을 출시했다.인도네시아 물류업체 SPSL의 2024년 3분기 EBITDA는 6991억1000만 루피아를 달성했다.◇ 싱가포르 ST 엔지니어링 iDirect(ST Engineering iDirect), 추적 알고리즘 활용한 다중궤도 및 스위칭 기술 출시싱가포르 ST 엔지니어링 iDirect(ST Engineering iDirect)은 추적 알고리즘을 통한 다중궤도(Multi-Orbit) 및 스위칭 기술을 발표했다.업계에서 유일무이한 이 알고리즘은 주파수와 타이밍 보상을 전달함으로써 지구정지궤도(GEO), 비정지궤도(NGSO) 인공위성 간의 추적 및 스위칭을 가능케 한다.또한 자사의 다이나믹 빔 매핑(Dynamic Bem Mapping) 기술은 위성이 다른 궤도 경로를 통과할 때에도 신속히 네트워크를 연결하므로 사용자에게 지속적인 서비스를 제공한다.ST 엔지니어링 iDirect의 Velocity®플랫폼과 차세대 클라우드 기반 지상 위성 시스템 인투션(Intuition)에서 이용할 수 있다.◇ 인도네시아 SPSL, 2024년 3분기 매출액 1조3800억 루피아로 전년 동기 대비 2.7% 증가인도네시아 물류업체 SPSL(PT Pelindo Solusi Logistik)의 2024년 3분기 매출액은 1조3800억 루피아를 기록해 전년 동기 대비 2.7% 증가했다.EBITDA(이자와 법인세, 감가상각비 차감전 이익)는 6991억1000만 루피아로 2023년 EBITDA 6824억5000만 루피아와 비교해 2.4% 확대됐다.SPSL는 인도네시아 항만공사(PT Pelabuhan Indonesia)의 자회사로 자보드데따벡(Jabodetabek), 북스마트라주, 동자바 등의 지역으로 사업을 확장하고 있다.
-
2024-08-05▲ 나이지리아 통신인공위성부(NIGCOMSAT)에서 진행하는 프로젝트 774(Project 774)의 진행 현황 이미지. 지역별 디지털 격차를 보여준다. [출처=NIGCOMSAT 엑스(X) 계정]2024년 7월 아프리카 ICT산업 주요동향은 나이지리아와 남아공, 이집트의 통신업과 신재생에너지 산업 등을 포함한다.나이지리아 통계청(NBS)에 따르면 1분기 인터넷 이용자는 1억6400만 명으로 전년 동기간 1억5700만 명과 대비해 4.33% 증가했다.이집트 전력및신재생에너지부(MOEE)에 따르면 2024년 10월부터 시작할 재생에너지 프로젝트 2개를 통해 국내 전력 생산량을 750메가와트(MW)로 높일 계획이다.○ 나이지리아 통신인공위성부(NIGCOMSAT)에 따르면 인프라시설 및 통신기업인 인프라텔 아프리카(Infratel Africa)와 전략적 파트너십 체결했다.농촌 지역의 통신 연결성을 높이기 위해 NIGCOMSAT 인공위성 플랫폼 수용 지역 100곳으로 확장할 계획이다.○ 나이지리아 통계청(NBS)은 2024년 1분기 인터넷 이용자 1억6400만 명으로 전년 동기 1억5700만 명 대비 4.33% 증가했다고 밝혔다. 1분기 음성통화 서비스 이용자는 2억1900만 명으로 전년 동기 2억2600만 명 대비 3.03% 감소했다.○ 나이지리아 정보기술진흥원(NITDA)은 국내 6개 구역에 인공지능(AI), 블록체인, 사물인터넷(IoT) 등 6개 주요 기술 부문의 연구 센터 설립 계획.이다. 기술 연구를 활성화하는 환경을 조성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나이지리아 리소스 개발 플랫폼인 CIIFA(Creative Industries Initiative for Africa)은 미국 글로벌 IT기업인 구글(Google)과 나이지리아 국내 창작자 6000명을 대상으로 포괄적인 훈련 제공 프로그램 시작했다.2023년 시작된 국내 여성 및 청년 2만명 대상의 디지털 기술 훈련 프로그램의 일환으로 진행된다. 창작 분야는 음악, 이벤트 계획 및 운영, 영화 예술 등을 포함한다.○ 인도 시장조사업체인 인더스트리 ARC(Industry ARC)은 2025년 남아공 국내 소규모 드론 시장 25억 랜드로 2020년부터 2025년까지 연간 성장율 22.35%로 전망했다. 2023년 기준 국내에서 드론 활용도가 가장 높은 산업은 광업 부문으로 조사됐다.○ 이집트 전력및신재생에너지부(MOEE)에 따르면 2024년 10월부터 시작할 재생에너지 프로젝트 2개를 통해 국내 전력 생산량을 750메가와트(MW)로 높일 계획이다.재생에너지 프로젝트 2개의 총 투자금은 US$ 7억 달러다. 이집트 정부는 2개 프로젝트의 재생에너지를 구매하기로 협의를 체결했다.첫번째 프로젝트는 250MW 규모의 풍력 발전사업소로 8월부터 시작할 예정이다. 이집트 엔지니어링 건설 기업인 오라스콤 건설(Orascom Construction)과 일본 토요타(Toyota), 프랑스 엔지(Engie)가 협업했다.두번째 프로젝트는 500MW 규모의 태양열 발전 사업소로 10월부터 시작한다. 아랍에미리트 투자 지주회사인 알 노와이스(Al Nowais)에서 프로젝트를 진행한다.
-
일본 고등학교인 클라크기념국제고등학교(クラーク記念国際高等学校)에 따르면 2021년 7월 1일 고교생 주도 인공위성 개발 및 발사 프로젝트를 시작했다. 학내에 새롭게 우주탐험부를 창설했다. 부원은 외부협력자의 지도를 받으며 큐브형 인공위성인 큐브위성(CubeSat)을 개발해 2022년 중에 발사하는 것을 목표로 정했다. 우주탐험부는 총 3팀으로 나뉘어 실제로 개발하는 인공위성개발팀, 국제홍보팀, 인공위성의 용도를 기획하는 우주임무수행팀으로 구성된다. 해당 학교외에 전국 학교에서 100명 이상의 희망자가 모집됐다. ▲클라크기념국제고등학교(クラーク記念国際高等学校) 홈페이지
-
2021-06-15영국 소형 인공위성 발사 서비스 제공기업인 버진 오빗(Virgin Orbit)에 따르면 미국 기업인 넥스트젠(NextGen Acquisition II)과 합병할 계획이다. 양사가 합병할 경우 US$ 30억달러 규모에 달할 것으로 전망된다.버진 오빗은 상기 합병을 통해 미국 주식시장에 상장할 방침이다. 넥스트젠과 제휴가 성사될 경우 버진 오빗의 기업 가치는 25억달러가 될 것으로 예상된다. 넥스트젠은 미국 글로벌 투자사인 골드만삭스(Goldman Sachs)의 전직 은행가였던 조지(George Mattson)가 설립한 특수목적취득회사(SPAC)이다. 상기 합병이 성사될 경우 버진 오빗은 모기업인 버진그룹과 더불어 급증하는 우주 기술 분야에서 수십억 달러 규모의 사업 기회를 갖게 될 것으로 전망된다. ▲버진 오빗(Virgin Orbit) 홈페이지
-
2021-05-21미국 항공우주물류업체 AEVUM에 따르면 인공위성 운반용으로 설계한 초대형 드론 Ravn X를 화물 운송용으로 전환할 계획이다.Ravn X는 세계에서 가장 큰 대형 무인기다. 2019년 첫 모델 발표회 때 180분마다 위성을 우주로 운반한다는 획기적인 계획과 함께 거의 US$ 10억달러의 투자금을 모았다.이후 배송용 드론 시장은 급격히 성장했다. Ravn X의 운반 능력이 인공위성에 한정돼서는 안 된다는 생각은 당사뿐 아니라 주변에서까지 요구하고 나섰다.Ravn X는 초대형 무인기답게 총 이륙 중량만 2만5000kg이다. 일반 소포 배달과 비교할 수도 없는 중형 화물을 충분히 운반할 수 있는 제원이다.초대형 무인기가 화물 운송에 투입될 때 발생하는 경제적 가치는 상당하다. 인건비의 경우 90%까지 절약되며 연료비까지 더하면 비용 절감 효과는 더 커진다.이처럼 우주로 향할 발사형 드론이 지상의 물류 서비스를 대체할 수단으로 전환되고 있다. 드론의 범용성을 잘 보여주는 사례라고 판단된다.▲초대형 무인기 Ravn X(출처 : AEVUM 홈페이지)
-
2021-04-30폴란드 드론연구 스타트업 클라우드러스(Cloudless)에 따르면 향후 인공위성을 대체할 태양광 드론의 연구개발을 진행하고 있다.최근 당사 연구팀은 성층권부터 장시간 비행할 수 있는 태양광 드론의 성능 시험을 진행했다. 그 결과 2시간 30분 동안 비행이 가능했다.이번 시험용 드론은 양 날개 5m의 중대형 드론으로 태양광 패널을 설치해 별도의 전력 공급없이 비행했다. 단, 성층권 진입까지는 특수기구(ballon)에 실린 채 올라갔다.성층권은 지상으로부터 약 10~50km 구간인데 이번 시험에서 약 24km까지 올라갔다. 이후 지정된 착륙 지점에 정확하게 도달하면서 운행 전반이 성공적이었다는 평가를 받았다.크라우드러스가 개발 중인 태양광 드론 플랫폼은 성능 정도에 따라 성층권에 머물 수 있는 기간이 주 단위에서 연간으로 늘어난다. 여기에는 태양광패널의 안정적인 전력공급이 관건이다.연구팀은 성층권에서는 일반적인 기상 현상이 거의 없기 때문에 태양전지를 100% 가깝게 활용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이번 연구가 성공할 경우에 기존 인공위성 개발과는 비교도 안 될 만큼 비용절감이 가능할 것으로 전망된다. 또한 지구환경 관측 업무도 더욱 정확하게 이뤄질 것으로 판단된다.클라우드러스의 연구진은 “대류권 다음인 성층권에 드론이 장기간 머물 수 있다면 항공기와 인공위성의 공백 지점을 메울 수 있을 것이다”고 밝혔다.▲클라우드러스 태양광드론의 성층권 진입 장면(출처 : 클라우드러스 유튜브 홈페이지)
-
2021-03-23일본 민간 궤도 잔해 제거 기업인 아스트로스케일(アストロスケール)에 따르면 2021년 3월 22일 우주 쓰레기 회수 인공위성을 발사했다. 22일 오후 3시경 카자흐스탄의 우주 기지에서 러시아 로켓으로 발사됐다. 22일 밤 지구 궤도에 들어갈 예정이다. 인공위성을 통해 우주 쓰레기 회수를 본격적으로 시범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며 세계 최초이다. 강력한 자석으로 쓰레기를 포집한 후 대기권에 돌입시켜 태울 방침이다. ▲아스트로스케일(アストロスケール) 로고
-
2021-01-18일본 전기장비업체인 캐논전자(キヤノン電子)에 따르면 소형 인공위성 판매를 시작했다. 지상 혹은 우주를 촬영하는 것이 가능하다.1대당 10억엔 이하의 가격대로 소형 인공위성 상품에서 저렴한 가격 수준이다. 기상 관련 회사 혹은 데이터 분석 기업의 수요를 충족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다수의 소형 인공위성을 활용해 모은 데이터를 재난 방지 등에 적용하는 마케팅 활용 방안이 높아지는 추세이다. 기본 정보에서 다양한 데이터와 연계되는 방식에 유용할 것으로 전망된다.▲캐논전자(キヤノン電子) 빌딩(출처 : 홈페이지)
-
뉴질랜드우주국(NZSA)에 따르면 국내에서 발사된 인공위성의 궤도 위치에 대한 실시간 정보를 볼 수 있는 시범사업을 시작할 계획이다.미국의 우주 파편 매핑 서비스업체인 LeoLabs와 협력해 국내에서 발사된 물체를 추적해 허가 조건을 준수하는지 확인하는 도구를 개발할 예정이다.'우주 규제 및 지속가능성 플랫폼'이라고 불리는 새로운 도구는 인공위성을 추적한다. 또한 우주공간에서의 혼잡 및 정체, 충돌 등을 피할 수 있도록 지원할 방침이다.LeoLabs는 뉴질랜드우주국의 규제 임무를 위해 제작할 시각화 및 분석도구가 모든 우주기관에 적용 가능한 지 여부를 평가할 계획이다.▲LeoLabs 홈페이지
-
인도 우주개발기구(ISRO)에 따르면 향후 인공위성 발사는 2017년 12월 혹은 2018년 1월 첫째주로 예상된다. 해당 미션은 위성발사로켓인 PSLV(Polar Satellite Launch Vehicle)을 발사하는 것이다.2017년 8월 31일 IRNSS-1H 위성의 발사 실패 이후 처음으로 발사하는 것이다. 주요 페이로드(payload)는 지구관측위성인 Cartosat-2 시리즈이며 공동승객은 29명으로 계획됐다.나노 위성 25개, 마이크로 위성 3개, Cartosat 위성 1개와의 조합으로 운영되며 국제위성 1개도 추가될 수 있다. 인도는 미국, 러시아, 일본 등과 함께 위성강국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우주개발기구(ISRO) 로고
1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