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1
" 인조섬유"으로 검색하여,
3 건의 기사가 검색 되었습니다.
-
2006년 인적분할로 설립된 진도는 모피 중심의 의류 제조 및 도소매 기업이다. 1973년 진도(주)가 설립됐으며 1988년 모피의류 내수시장을 런칭했다. 2010년 3월 상호를 주식회사 진도에프앤에서 주식회사 진도로 변경했다.주요 브랜드로는 모피 의류 브랜드인 △진도(JINDO) △엘페(ELFEE) △끌레베(KLEVER)와 기성 의류 브랜드인 △우바(UVA) △에릭자비츠 등을 운영하고 있다. 2024년 매출 비중에서 모피의류는 87.4%로 대부분을 차지했으며 기성의류는 9.8%를 기록했다.진도의 ESG(환경·사회·지배구조) 경영 현황을 진단하기 위해 홈페이지, 국가정보전략연구소(국정연) 데이터베이스(DB), 국정감사·감사원·사법기관 자료, 각종 제보 등을 참조했다.글로벌 스탠다드를 지향하며 개발된 ‘팔기(八旗)생태계(8-Flag Ecosystem)’ 모델을 적용해 진도의 ESG 경영 현황을 진단해 봤다. ▲ 진도의 ‘팔기(八旗)생태계(8-Flag Ecosystem)’ 모델 평가 결과 [출처=iNIS] ◇ ESG 경영 목표 및 계획 부재... 2023년 부채총계 167억 원으로 부채율 14.95%경영 비전은 ‘The First In Ten’으로 최고 품질과 신뢰를 바탕으로 모피 분야 마켓리더 진도와 대한민국 최고의 종합 패션사가 되는 것을 목표로 정했다.경영이념은 △세계적인 패션유통전문사로 성장 △신규볼륨 브랜드 런칭 △해외시장 공략으로 밝혔다. 기존 모피 분야에서 국내 리딩기업으로 성장하기 위해 신규 브랜드 출시 및 해외진출 본격화를 통해 종합패션 전문기업으로 성장하고자 한다. 국내외로 성장 기반을 구축해 브랜드와 조직을 세계화할 계획이다.ESG 경영에 대한 표명은 없었으며 ESG 경영 헌장 및 계획도 부재했다. ESG 경영 위원회도 설치하지 않았으며 지속가능경영 보고서도 구비하지 않았다.윤리경영을 경영의 최우선 가치로 생각하고 실천해 이해관계자로부
-
인도 합섬레이온섬유수출진흥위원회(SRTEPC)에 따르면 섬유와 의복산업에 대한 상품서비스세(GST) 12%를 수용한다.현재 면화와 같은 천연섬유에 대해서는 소비세를 부과하지 않는다. 하지만 폴리에스터와 같은 인조섬유는 12.5%의 세금이 부과된다. 하지만 향후에는 인조와 천연섬유 모두 4~6%의 상품서비스세가 부과된다.따라서 정부의 방침대로 추진될 경우 천염섬유업체들은 세금이 올라가 불이익을 받게 되는 것이다. 원료 면화에는 세금이 부과되지 않기 때문에 조면공업체들이 모든 세금을 감당해야 한다.▲합섬레이온섬유수출진흥위원회(SRTEPC) 로고
-
[중국] 산여우화공(三友化工), 접착력을 가진 인조섬유개발 프로젝트에 13억위안 투자... 비공개 주식 발행으로 18억위안 자금 모집할 계획이며 향후 기능성 및 차별화된 섬유 생산능력 구비할 것으로 전망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