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1
" 전기 이륜차"으로 검색하여,
10 건의 기사가 검색 되었습니다.
-
2025-03-31▲ LG에너지솔루션 ‘쿠루(KooRoo)’의 교환형 배터리 팩[출처=LG에너지솔루션]LG에너지솔루션(대표이사 김동명)에 따르면 2025년 3월31일 ‘BSS(배터리 교환 스테이션)’, ‘전기 이륜차 교환형 배터리 팩’ 부문에서 한국기계전기전자시험연구원(KTC)이 발행하는 KS(국가표준) 공인성적서를 국내 최초로 획득했다.국내 기업 중 처음으로 배터리 교환 스테이션(BSS·Battery Swapping Station) 보조금 지원 대상이 됐다. 환경부 등 정부가 추진 중인 전기 이륜차 보급사업 관련 표준 요건을 갖춘 ‘1호 기업’이 된 것이다.전기 이륜차 보급 및 확산, 배터리 구독형 서비스 시장 활성화를 위해 추진되고 있는 정부 지원 정책의 ‘필수 조건’을 갖춤으로써 보조금 혜택 등에 따른 효과 등을 기대할 수 있게 됐다.실제 환경부는 2월17일 ‘2025년 전기이륜차 보급사업 보조금 업무처리지침’ 및 ‘2025년 전기이륜차 배터리 교환형 충전시설 설치 보조사업 운영지침’을 확정 발표하며 “국가 표준에 해당하지 않는 배터리 교환형 충전시설에는 설치비용을 미지원”한다고 밝힌 바 있다.이번에 LG에너지솔루션이 획득한 KS 공인 인증 항목은 △ 전기·기계적 제원, 통신프로토콜, 성능·안정성·내구성 등 교환형 배터리 팩 △ 배터리 교환형 충전시설 등과 관련한 총 4건이다.LG에너지솔루션 측은 "그동안 배터리 교환형 전기 이륜차 시장에서 제작사별 상이한 제품 및 기준에 따른 비효율은 시장 성장을 가로막는 고질적 문제로 꼽혀왔던 것이 사실다"며 "국내 기업 중 처음으로 국가표준 요건을 획득함으로써 정부가 추진하는 표준화 시장 내에서 경쟁력을 한층 높일 수 있게 됐다"고 밝혔다.국내 전기 이륜차 시장은 성장 가능성이 높은 시장으로 꼽힌다. 특히 코로나 팬데믹 시기 배달 문화가 확산하면서 내연기관 이륜차의 소음과 매연 등의 문제가 확산됐고 대기오염 감소, 소음 저감에 효과적인 전기 이륜차가 대안으로 부상했다.한국전기이륜형자동차협회(KEMS)의 ‘2024년 이륜자동차 사용신고 현황’에 따르면, 현재 국내 내연기관 및 전기 이륜차 등록 대수는 약 220만 대, 2024년 한 해 등록 대수는 약 11만 대에 달한다.또한 환경부의 ‘전기이륜차 및 배터리교환형 충전시설 보급 현황’에 따르면 배터리 교환형 전기 이륜차는 2023년 1654대에서 2024년 3429대로 2배 이상 증가했으며 충전시설은 전국에만 총 1872기에 달한다.환경부는 2025년 전기 이륜차 2만대 보급을 목표로 구매보조금 총 160억원을 지급하고 충전시설 500기 설치 지원을 위해 50억 원을 지원할 예정이라고 밝힌 바 있다.LG에너지솔루션은 이번 인증서 획득을 계기로 정부와 함께 국내 전기이륜차 교환형 배터리 시장의 활성화를 위해 노력한다는 계획이다.한국자동차연구원, 강원대학교와 국가표준기술력향상사업 연구개발과제 참여를 통해서 국제 ISO(국제표준화기구) 등 글로벌 시장에 KS 표준이 반영될 수 있도록 노력할 방침이다.LG에너지솔루션의 배터리 교환 서비스 쿠루(KooRoo)는 현재 전국에 약 440여 기의 스테이션을 구축하고 있다. 향후 수도권 뿐만 아니라 부산, 대구, 대전, 광주 등 주요 광역시를 중심으로 전국적인 확장을 추진할 예정이다.배터리 관리 토탈 솔루션인 비.어라운드(B.around)를 통해 배터리가 전 생애주기 동안 안전하게 관리될 수 있도록 할 계획이다.
-
2024-11-04▲ 사우디아라비아 와피 에너지(Wafi Energy Holding Limited)는 쉘 파키스탄(SPL)의 지분 총 87.78% 인수했다[출처=쉘 파키스탄 홈페이지] 2024년 11월4일 서남아시아 경제는 인도와 파키스탄을 포함한다. 인도 올라 일렉트릭(Ola Electric)은 축제기간에 근거해 2024년 10월 판매대수가 5만 대를 넘었다고 밝혔다.쉘 파키스탄의 최대주주인 와피 에너지는 2024년 10월31일 이사회로부터 쉘 파키스탄을 와피 파키스탄으로 리브랜딩하는 것을 승인받았다.◇ 인도 올라 일렉트릭(Ola Electric), 2024년 10월 등록 대수 4만1650대로 전월 대비 68% 증가인도 전기이륜차(EV) 제조업체 올라 일렉트릭(Ola Electric)에 따르면 2024년 10월 등록 대수는 4만1650대를 기록해 전월 2만4726대에서 68% 증가했다.축제기간 동안 수요가 상승하며 판매대수는 5만 대를 넘었다고 밝혔다. 올라 일렉트릭은 2024년 10월 국내 전기이륜차 시장 점유율 31%를 달성했다.경쟁사인 바자즈 오토(Bajaj Auto)의 시장 점유율은 25.7%이며 차례로 TVS 모터(TVS Motor)가 22.3%, 아터 에너지(Ather Energy)는 11.9%를 차지했다.회계연도 2025년 1분기 올라 일렉트릭의 순손실액은 Rs 34억7000만 루피를 기록해 전년 동기 Rs 26억7000만 루피 대비 30% 증가했다.◇ 사우디아라비아 와피 에너지(Wafi Energy Holding Limited), 쉘 파키스탄(SPL)의 지분 총 87.78% 인수사우디아라비아 아샤드 그룹(Asyad Group)의 계열사 와피 에너지(Wafi Energy Holding Limited)는 쉘 파키스탄(Shell Pakistan Limited, SPL)의 총발행 주식 자본의 10.36%를 추가로 인수했다.이로써 와피 에너지는 쉘 파키스탄의 지분 87.78%을 보유하며 독점적 라이센스를 가진 최대주주가 됐다. 2023년 6월 쉘(Shell Petroleum Company Limited)은 쉘 파키스탄의 지분을 매각하겠다고 발표했다.2024년 10월31일 와피 에너지는 이사회로부터 쉘 파키스탄을 와피 파키스탄(Wafi Pakistan Limited)으로 리브랜딩하는 것을 승인받았다.
-
▲ HDFC 은행(HDFC Bank) 로고[출처=HDFC 은행 홈페이지]2024년 10월21일 서남아시아 경제는 인도와 파키스탄을 포함한다. 인도 HDFC 은행은 자회사 HDB 파이낸셜 서비스가 기업공개를 하는 데 있어 주식을 발행하고 250억 루피를 조달하는 것에 승인했다.파키스탄 E 터보 모터스는 연간 이륜차 생산량 1만 대를 기록하는 생산시설에 Rs 5억 루피를 투자한 바 있다.◇ 인도 HDB 파이낸셜 서비스(HDB Financial Service), 기업공개(IPO)통해 1억2500만 루피 확보할 계획인도 HDB 파이낸셜 서비스 유닛이 기업공개(IPO)를 앞두며 1억2500만 루피(US$ 15억 달러)를 확보할 계획이다.HDFC 은행(HDFC Bank)은 HDB 파이낸셜의 지분 94.6%을 보유하고 있으며 1000억 루피 상당의 주식을 매각한다.또한 IPO를 통해 주식을 발행하고 250억 루피를 조달하는 것을 승인했다. 공개적으로 주식을 발행하는 것은 6년만이다.HDB 파이낸셜 서비스는 2007년에 설립돼 현재까지 국내에서 1680개의 지점을 보유하고 있다.◇ 파키스탄 E 터보 모터스(E Turbo Motors), 국내에서 가장 빠른 전기이륜차(EV) 출시파키스탄 전기이륜차(EV) 제조업체 E 터보 모터스(E Turbo Motors)는 워리어(Warrior)와 EVO 바이크(EVO bike)를 출시했다.최고 속도는 시속 120킬로미터(km)로 국내에서 가장 빠른 것으로 분석된다. 1회 충전으로 최대 300km를 이동할 수 있다.단거리 이동을 위한 썬더볼트(Thunderbolt)와 썬더버드(Thunderbird)는 최대 시속 95km를 기록하며 한 번의 충전으로 110-120km를 주행할 수 있다.E 터보 모터스는 Rs 5억 루피를 투자해 카라치에 위치한 신드주 산업지구(SITE)에 생산시설을 설립한 바 있다. 연간 이륜차 1만 대를 생산할 수 있다.
-
2024-08-28▲ 파키스탄 핀테크 스타트업 나야페이(NayaPay) 포브스 아시아 100대 유망기업 선정[출처=나야페이 인스타그램]2024년 8월28일 서남아시아 경제는 인도와 파키스탄을 포함한다.인도 이륜차 제조업체 바자즈 오토(Bajaj Auto)에 따르면 세계 최초 액화천연가스(CNG) 오토바이 프리덤 125(Freedom 125)에 이어 새로운 CNG 모델을 출시한다.2024년 포브스 아시아 100대 유망기업에 파키스탄 스타트업 나야페이(NayaPay)와 딜카트(DealCart)가 선정됐다.양사는 시드 펀딩에서 총 1600만 달러를 확보해 아시아·태평양 지역 소기업 및 스타트업 연례 랭킹 100위 안에 들었다.◇ 인도 바자즈 오토(Bajaj Auto), 전기 스쿠터 체탁 2901(Chetak 2901) 출시인도 이륜차 제조업체 바자즈 오토(Bajaj Auto)는 프리덤 125(Freedom 125)에 이어 새로운 액화천연가스(CNG) 오토바이를 출시할 계획이다.프리덤 125는 휘발유와 가스 2가지를 연료로 하는 세계 최초 CNG 오토바이다. 2024년 8월 동안 해당 모델 8000~9000대를 전달할 것으로 전망한다.2024년 8월28일 바자즈 오토는 전기 스쿠터 체탁 2901(Chetak 2901)을 출시했으며 가격은 Rs 9만5998루피로 기존 모델보다 저렴하다. 2025년 초에는 새로운 체탁 플랫폼을 구축할 계획이다.2024년 9월 안에는 에탄올로 움직이는 오토바이와 삼륜차를 선보인 후 회계연도 2025년 안에 판매될 수 있도록 한다.◇ 파키스탄 나야페이(NayaPay)·딜카트(DealCart), 2024년 포브스 아시아 100대 유망기업 선정돼2024년 포브스 아시아 100대 유망기업 목록에 파키스탄 스타트업 두 곳이 선정됐다. 첫번째는 핀테크 기업 나야페이(NayaPay)로 소비자와 사업체 간 거래의 디지털화를 중점으로 한다.자사 애플리케이션에서 전자지갑, 가상 직불카드 및 온라인 결제 서비스를 제공하며 사업체 대상으로 POS 기기를 지원하기도 한다.두번째는 전자상거래를 운영하는 소매업체 딜카트(DealCart)다. 국내에서 확대된 중산층을 주요고객으로 삼아 과채류, 과자, 세제 등 필요한 물건을 온라인에서 주문할 수 있도록 한다. 소규모 잡화점이 딜카트에 물건을 제공함으로써 고객 기반을 형성하는 데 도움을 준다.나야페이는 제인 벤처캐피탈(Zayn Venture Capital), MSA 노보(MSA Novo), 그리고 그래프 벤처스(Graph Ventures)가 주도한 2022년 시드 펀딩에서 자금 1300만 달러를 조달했다.딜카트는 중동 기반 벤처캐피탈 쇼룩 파트너스(Shorooq Partners)와 영국 기반 스터전 캐피탈(Sturgeon Capital)이 공동으로 진행한 시드 펀딩 라운드에서 300만 달러를 모았다. 양사는 아시아·태평양 지역 소기업 및 스타트업 연례 랭킹 100위 안에 포함됐다. 정부는 정보통신기술(ICT) 분야의 스타트업을 적극 육성 중이다.
-
▲ 시리우스 디지테크(Sirius Digitech) 인공지능(AI) 및 클라우드 플랫폼 Coredge.io 인수[출처=Coredge.io 공식 홈페이지]2024년 7월 3주차 인도 경제는 인도자동차공업협회(SIAM)에 따르면 2024년 6월 국내 이륜차 판매량은 161만4154대로 전년 대비 21.2% 증가했다.인도 상용차업체 아쇽 레이랜드(Ashok Leyland)가 서부 마하라슈트라주 도로교통공사(MSRTC)로부터 9억 8200만 루피 가치의 완전제작버스 주문을 받았다.인도 이륜차제조업체 TVS 모터는 영국 노튼 모터사이클(Norton Motorcycle)에 2억 파운드를 투자하고자 한다. 유럽 시장에서 데뷔하기 위한 움직임이 활발하다. ○ 투자리서치 기업 모닝스타 인디아(Morningstar India)에 따르면 2024년 7월 상반기 동안 해외 포트폴리오 투자자(FPI)들에 의한 순유입액이 153억5200만 루피(US$ 20억5000만 달러)다. 6월 동안 유입된 265억6500만 루피의 연장선으로 볼 수 있다.이는 정부의 지속적인 개혁과 미국 연방 준비제도의 낮은 금리, 그리고 탄탄한 국내 수요에 따른 시장 회복에 근거한다.○ 인도자동차공업협회(SIAM)에 따르면 2024년 6월 국내 이륜차 판매량은 161만4154대로 전년 대비 21.2% 증가했다. 이중 오토바이 103만906대·스쿠터 54만2851대 판매돼 전년 대비 각각 13.4%·40% 증가했다.수출량은 28만8967대로 전년 대비 5.8% 증가했다. SIAM은 승용차, 상용차, 삼륜차, 이륜차 모두 2024-25년 1분기 동안 성장했으며 특히 이륜차와 삼륜차는 두 자릿수 성장을 기록했다고 언급했다.○ 국내 귀금속 장신구 기업 PC 주얼러(PC Jeweller)는 우선주식발행허가증을 통해 자금 27억500만 루피를 조달하고자 한다. 이중 75%는 은행 대출금을 상환하는 데 사용하고자 한다.○ 인도 상용차업체 아쇽 레이랜드(Ashok Leyland)는 서부 마하라슈트라주 도로교통공사(MSRTC)로부터 바이킹 승객 버스 2104대를 주문받았다. 이는 9억8200만 루피 상당의 완전 제작버스 주문이다.아쇽 레이랜드는 알와르와 엔노레에 위치한 모든 공장에서 제조해 2024년 8월부터 배달할 예정이다.○ 인도 미디어업체 지 엔터테인먼트(Zee Entertainment)는 7월15일 증권 발행으로 하여금 자금 20억 루피를 모으기 위해 주주 승인을 받았다고 발표했다.Zee는 일본 소니 그룹과 인도 사업 합병 계약이 철회된 이후 주가가 꾸준히 하락한 바 있다. 당시 US$100억 달러 가치의 대형 미디어 기업을 설립하기 위한 2년 계획이 무산됐다.○ 인도 복합기업 아다니 그룹(Adani Group)과 아랍에미리트연합(UAE) 국부펀드 인터네셔날홀딩컴퍼니(IHC)의 합작사 시리우스 디지테크(Sirius Digitech)는 인공지능(AI) 및 클라우드 플랫폼 Coredge.io를 인수했다.시리우스 디지테크는 기업이 민감한 데이터를 영역 내에 두면서도 독립적인 클라우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기술을 개발하고 있다.○ 아다니 그룹의 상장사 아다니 엔터프라이즈(Adani Enterprises)와 IHC의 디지털 자회사 시리우스 인터네셔널(Sirius International)는 합작 투자를 통해 Coredge.io의 모기업 파서랩스 인디아(Parserlabs India) 지분의 75%를 인수할 예정이다.○ 인도 이륜차 제조업체 바자즈오토(Bajaj Auto)의 회계연도 2025년 1분기 순이익은 19억4200만 루피이다. 전년 동기 대비 18% 증가했다.바자즈오토의 4월부터 6월까지 판매량은 110만2056대로 전년 대비 7% 증가했다. 이륜차 95만917대·상용차 15만1139대를 판매해 전년 대비 각각 7%·9% 증가했다.○ 인도 자동차 연구 협회(ARAI)는 7월16일 자국이 국제적인 차원에서 배터리 연구 및 전기자동차(EV)를 활성화하려면 향후 5년간 11억5100만 루피를 투자해야 한다고 분석했다. 협회가 발간한 보고서는 인도 과학기술자문위원회(PSA)가 의뢰했다.○ 인도 중심 투자업체 다라나 캐피탈(Dharana Capital)은 7월17일 IT기업 어반클랩 테크놀리지(UrbanClap Technologies)와 거래를 통해 4억 루피 상당의 주식을 인수했다. 이는 어반사에서 이루어진 거래 중 가장 크다.▲ 2020년 11월11일 설립된 노튼 모터사이클(Norton Motorcycle) 글로벌 본사의 모습[출처=TVS 모터 공식 홈페이지]○ 인도 이륜차제조업체 TVS 모터는 해외 시장에 진출하기 위해 영국 노튼 모터사이클(Norton Motorcycle)에 2억 파운드를 투자하기로 결정했다. 노튼은 투자금을 신제품 및 시설 개발과 연구에 집중할 방침이다.TVS 모터는 내연기관과 전기 구동장치를 지닌 고급 이륜차를 프랑스와 이탈리아에서 먼저 출시할 예정이다. 스위스 제조 및 소매업체 에밀 프레이(Emil Frey)를 통해 오토바이를 유통한다.
-
▲ 서남아시아 주요국의 국기[출처=CIA]2024년 7월18일 서남아시아 경제는 인도, 파키스탄, 방글라데시를 다뤘다. AP 몰러-머스크(AP Moller-Maersk)가 새로운 해상운송서비스 SH3를 도입함으로써 방글라데시 의류 제조업체들을 지원한다.인도 이륜차제조업체 TVS 모터는 영국 노튼 모터사이클(Norton Motorcycle)에 2억 파운드를 투자하고자 한다. 유럽 시장에서 데뷔하기 위한 움직임이 활발하다. 국제통화기금(IMF)는 회계연도 2025년 파키스탄 경제가 3.5% 성장할 것으로 전망했다.◇ 인도 자동차연구협회(ARAI) 국내 전기자동차 활성화 위해 5년간 11억5100만 루피 투자해야인도 자동차 연구 협회(ARAI)는 7월16일 자국이 국제적인 차원에서 배터리 연구 및 전기자동차(EV)를 활성화하려면 향후 5년간 11억5100만 루피를 투자해야 한다고 분석했다. 협회가 발간한 보고서는 인도 과학기술자문위원회(PSA)가 의뢰했다.인도 중심 투자업체 다라나 캐피탈(Dharana Capital)은 7월17일 IT기업 어반클랩 테크놀리지(UrbanClap Technologies)와 거래를 통해 4억 루피 상당의 주식을 인수했다. 이는 어반사에서 이루어진 거래 중 가장 크다.인도 이륜차제조업체 TVS 모터는 해외 시장에 진출하기 위해 영국 노튼 모터사이클(Norton Motorcycle)에 2억 파운드를 투자하기로 결정했다. 노튼은 투자금을 신제품 및 시설 개발과 연구에 집중할 방침이다.TVS 모터는 내연기관과 전기 구동장치를 지닌 고급 이륜차를 프랑스와 이탈리아에서 먼저 출시할 예정이다. 스위스 제조 및 소매업체 에밀 프레이(Emil Frey)를 통해 오토바이를 유통한다.◇ 국제통화기금(IMF) 회계연도 2025년 파키스탄 경제 정부 목표치보다 소폭 낮은 3.5% 성장할 것으로 예상해국제통화기금(IMF)에 따르면 회계연도 2025년 파키스탄 경제는 3.5% 성장할 것으로 전망했다. 이는 최근 파키스탄 정부가 발표한 목표치 3.6%보다 약간 낮다.파키스탄 경제 조사에서 회계연도 2023-2024에 국내총생산(GDP)은 2.4% 증가해 정부가 목표한 3.5% 달성을 이루지 못한 바가 있다.그동안 국내 경제는 만성적 경영 부실, 코로나19 대유행, 우크라이나 전쟁으로 큰 피해를 입었다. 2022년 발생한 홍수로 국토의 3분의 1이 훼손되기도 했다.◇ AP 몰러-머스크(AP Moller-Maersk) 새로운 해상운송서비스 SH3 통해 방글라데시-중국 무역 네트워크 강화해운그룹 AP 몰러-머스크(AP Moller-Maersk)는 방글라데시와 중국과의 소매업 부문 무역을 위해 새로운 해상 운송 서비스 SH3를 7월7일 개시했다.해당 노선은 중국 상하이항에서 샤먼, 대만 가오슝, 난사, 말레이시아 탄중 펠레파스를 거쳐 방글라데시 치타공에 도착한다. 이는 기존에 운영되던 SH1, SH2, IA7 서비스를 보완한다.머스크는 새로운 네트워크를 강화함으로써 중국의 섬유 원자재 수출업체들과 방글라데시의 의류 제조업체들을 지원하고자 한다.방글라데시는 4000개 이상의 공장에서 상품을 만들어 100개 이상의 국제 의류 브랜드에 공급하고 있다. 주로 뜨개질과 직조 의류를 150개국 이상으로 수출한다.
-
지난 6월 2주차 인도 경제는 중앙은행에서 회계연도 2025년의 성장률 전망치를 7%에서 7.2%로 상향 조정했다. 강한 남서 계절풍으로 인한 카리프(kharif)의 생산량이 증대됨으로써 농업 생산력의 회복이 예상됐기 때문이다.상공산업부(Ministry of Commerce and Industry)는 4월 금 총수입량이 급증하는 등의 비정상적인 움직임에 대한 모니터링을 위해서 금 장식 및 부품에 대한 수입을 제한했다.○ 인공지능(AI) 주도 핀테크 스타트업 CASHe, 중남부 하이데라바드에 전문가 조직(COE) 설립... 기술자 150명 고용해 첨단기술 인력을 위한 일자리 창출 도모○ 항공기구 국제항공운송협회(IATA), 북부 지역 델리에서 2025년 제81차 IATA 연례총회(AGM) 개최... 전세계의 항공종사자 및 전문가 교류 확대 기회 제공○ 식품안전표준청(FSSAI), 재구성 과일주스의 라벨 및 광고에서 '100% 과일주스' 표현 삭제 처리 지침 발표... 식품사업자들의 부정확한 마케팅 줄이기 위한 목적○ 중국 상하이자동차, 국내에 새로운 글로스터 스톰 SUV 제품군 2종 출시... 기존 시리즈의 첨단운전자지원시스템(ADAS) 보유해 소비자 선택폭 넓어져○ 다국적회사 아다니(Adani), ICICI 은행과 제휴해 신용카드 출시... 글로벌 카드회사인 비자(Visa)와 협력해 공항과 연결된 혜택 포함○ HSBC 홀딩스, 5월 국내 서비스 구매관리자지수(PMI) 60.2로 4월 대비 하락... 강한 수요 조건과 성공적인 광고 효과로 여전히 탄탄한 서비스 업황 유지○ 토렌트 제약, 일본 다케다약품공업과 보노프로잔(Vonoprazan) 상용화 위해 비독점 라이센스 계약 체결... 위식도 역류 질환 완화하는 데 도움될 것으로 전망○ 벵갈루루의 켐페고우다 국제공항, 세계 환경의 날 기념해 리펙스 그룹(Refex)의 전기자동차(EV) 공항 택시 175대 도입... 공항 차량 50%이상이 전기화돼 탄소중립 앞당겨○ 통계프로그램실행부(MoSPI), 곡물의 1월 평균 1인당소비지출(MPCE) 비율 2011~2012년 10.69%에서 2022~23년 4.89%로 감소... 우유 및 유제품 소비지출 비중은 소폭 증가해○ 이륜차 제조업체 히어로 모터(Hero Motor), 전기 스쿠터 제조업체인 아더 에너지(Ather Energy)에 12억 4000만 루피 투자... 지분율 늘림으로써 전기자동차(EV) 시장에 집중할 방침○ 다국적 기업 코카콜라(Coca-Cola), 남부 텔랑가나주에 70억 루피 규모의 그린필드 시설 건설 계획... 2022년 4월 시드디펫(Siddipet)에 2번째 공장 발표해○ 국영 전기통신기업 레일텔(RailTel), NICSI(국가정보센터지원부)로부터 8억1000만 루피 가치의 정보통신(ICT) 기반시설 수주... 올해 8월31일까지 완료될 예정○ 이륜차 제조업체 TVS 모터(TVS Motor), 2023년 7월10일부터 9월9일까지 생산됐던 전기스쿠터 iQube을 대상으로 자발적 리콜 실행... 장기간 이용 시 차량의 승차감과 조작이 정상적인지 확인하기 위한 목적○ 국영석유천연가스공사(ONGC), 뭄바이 하이 유전의 생산량 감소로 해외 파트너 확보 추진... 보유 중인 석유 6억1000만 배럴과 천연가스 40bcm 활용 목적○ 하이데바라드에 본사 둔 젠 테크콜로지(Zen Technologies), 육군의 방공학교에 독립적인 안티-드론 시스템 납품 완료... 적군의 항공기, 헬리콥터, 미사일의 위협으로부터 대응하는 훈련 용도이며 공군에도 납품 완료○ 인도셀루라전자협회(ICEA), 국내 전자제품의 생산량은 2021-22 회계연도 150억 달러에서 2026년까지 1200억 달러로 상승 전망... 향후 5년 동안 국내 시장의 규모는 650억 달러에서 18000억 달러로 증가하며 2026년 전자제품은 국내 수출품목 2위 도달 예상○ JSW 에너지(JSW Energy), 라자스탄에서 1기가와트(GWh) 배터리 에너지 저장 프로젝트 건설 시작해 2025년 6월 완료할 계획... 계열사인 JSW 스틸(JSW Steel)이 그른 스틸을 제조하는데 도움을 주기 위한 목적으로 25메가와트 그린 수소 프로젝트 추진○ 중앙은행(RBI), 회계연도 2025년 성장률 전망치 7%에서 7.2%로 상향 조정... 강한 남서 계절풍으로 카리프(kharif) 생산량 증대로 농업생산력 회복 예상돼○ 전기 이륜차(EV) 제조업체 올라 일렉트릭(Ola Electric), 총 725억 루피 규모의 기업공개(IPO) 위해 증권거래위원회(SEBI)의 승인받아... 확보한 투자금으로 부채 상환, 연구개발에 활용○ 자동차협회(SIAM), 5월 국내 승용차 판매량 10만6952대로 2023년 동월 대비 9.3% 증가... 지속적인 정부 경제개발 관련 정책과 계절풍 영향으로 승용차 포함해 상용차, 이륜차, 삼륜차 부문에서 모두 성장○ 상공산업부(Ministry of Commerce and Industry), 금 장식 및 부품 수입 제한... 4월 금 총수입량 US$ 31억1000만 달러로 전년 동월 대비 208.99% 급증하는 등 비정상적인 움직임 모니터링하기 위한 목적○ 글로벌 탄소 프로젝트(Global Carbon Project), 2020년 온실가스의 일종인 아산화질소(N2O) 배출량 10.9%로 2위 차지... 1980년부터 2020년까지 배출량 40% 증가했으며 1위는 중국으로 16.7% 기록
-
[싱가포르] 영국 다국적 은행 스탠다드차티드(Strandard Chartered), 국내 최초 가변자본기업(VCC) 설립... 글로벌 펀드 관리기업으로서 고액 순자산 고객들에게 맞춤형 서비스 제공할 예정[싱가포르] 육상교통청(LTA), 하반기부터 2028년까지 전기대형수송차(e-HGV)의 배터리 교체와 모바일 충전 시스템 관련 시험 진행할 계획... 기존 플러그인 방식의 긴 충전시간 극복위해 모바일 전기자동차 충전회사 파워업테크(Power-Up Tech)와 전기자동차 충전 애플리케이션 비차지(Beecharge)에게서 충전장비 제공받아[말레이시아] 일본 종합상사 마루베니(丸紅), 사라왁주에서 지속가능한 항공연료(SAF) 프로젝트의 설립 검토... 목재 폐기물과 같은 바이오매스 공급원료 사용한 녹색 수소 생산 중심지로서 타당성 확인[필리핀] 자동차생산자협회(CAMPI), 5월 자동차 판매대수 4만271대로 전월 대비 7.3% 증가... 올해 말 필리핀 국제모터쇼(PIMS) 개최로 2024년 전체 판매량 기존 예상치 46만8000대에서 50만 대까지 상회할 가능성 높아[필리핀] 통신업체 PLDT, 7월 데이터 센터의 49% 매각 목적으로 일본전신전화(NTT)와 협상 진행 중... 부채 상환을 위한 수익금 확보하며 과반수 소유지배권 계속 유지하는 방향[필리핀] 농업부(DA), 마닐라 마리키나시에 첫 번째 식품 허브 유치 예정... 농민과 협동조합이 농산물 직접 배송해 도심 거주 소비자의 합리적인 소비위한 공급망 구축 목표[인도] 중앙은행(RBI), 회계연도 2025년 성장률 전망치 7%에서 7.2%로 상향 조정... 강한 남서 계절풍으로 카리프(kharif) 생산량 증대로 농업생산력 회복 예상돼[인도] 전기 이륜차(EV) 제조업체 올라 일렉트릭(Ola Electric), 총 725억 루피 규모의 기업공개(IPO) 위해 증권거래위원회(SEBI)의 승인받아... 확보한 투자금으로 부채 상환, 연구개발에 활용[인도] 자동차협회(SIAM), 5월 국내 승용차 판매량 10만6952대로 2023년 동월 대비 9.3% 증가... 지속적인 정부 경제개발 관련 정책과 계절풍 영향으로 승용차 포함해 상용차, 이륜차, 삼륜차 부문에서 모두 성장[파키스탄] 자동차제조협회(PAMA), 5월 승용차 판매량 8487대로 전년 동월 대비 116% 급증... 트럭과 버스 판매량 1950대로 36.6% 감소·트랙터 판매량 41360대로 48% 증가[파키스탄] 재정부, 2023-24 회계연도(FY 2024) 경제성장율 2.38%로 목표치인 3.5%에 미달.. 농업은 6.25% 성장해 목표치인 3.5%를 상회하며 가장 탁월한 성과 달성했으며 산업은 1.21%, 서비스는 1.21% 각각 기록
-
미국 오토바이업체 할리데이비슨(Harley-Davidson)에 따르면 2022년까지 전기 오토바이 판매를 시작할 계획이다. 새로운 제품에는 전기 오토바이와 전기자전거를 모두 포함한다.2014년 전기 오토바이에 대한 관심을 표명했으며 LiveWire의 프로토타입을 공개했다. 2019년 여름부터 판매를 시작할 것으로 예상된다.2018년 초에는 전기 오토바이 제조업체인 알타모터스(Alta Motors)에 투자한다고 밝혔다. 복잡한 도심에서 젊은이들이 선호할 수 있는 모델을 개발할 방침이다.이와는 별도로 이머징시장을 공략할 준비를 진행하고 있다. 향후 2년 내 인도에서 소형 오토바이 모델을 론칭하고, 2020년에는 중형 오토바이를 유렵시장에도 판매할 계획이다.▲할리데이비슨(Harley-Davidson) 로고
-
대림은 다른 대기업이 문어발 확장을 해 종합백화점이 된 것과 달리 주로 건설 한길을 걸었지만 최근에는 관광, 환경사업 등 사업다각화를 진행하고 있다. 건설업을 제외하고는 국내사업에만 몰두하고 있어 글로벌 환경변화에 매우 취약한 사업구조를 갖고 있다.국내에서 건설업은 사양산업이고, 해외에서 국내건설업체들이 활발하게 활동하고 막대한 물량을 수주하고 있지만 경쟁력은 확보하지 못했다. 대림의 기업문화를 진단하기 위해 국가정보전략연구소가 개발한 SWEAT Model의 두 번째 DNA인 사업(Business)을 제품(product)와 시장(market) 측면에서 평가해 보자.◇ 건설업 외길을 걸었지만 시장불황, 차별화된 기술 없어 고민대림은 창립 이후 건설업 외길을 걸었다는 자부심을 갖고 있다. 무리한 사업확장도 최대한 자제하면서 내실경영을 추구했다. 시공능력평가에서도 1962년 이후 50년 이상 10대 건설사의 자리를 유지했다.대림산업은 주로 관급공사를 하면서 덩치를 키웠지만 다른 기업과 달리 정치영향을 적게 받았다. 대림의 문제점은 크게 두 가지다. 하나는 건설업 자체가 불황이라는 것, 다른 하나는 기술력에서 차별화를 확보하지 못했다는 것이다. 대림의 주력인 국내 건설업은 1990년대 중반부터 사양길에 접어들었지만 IMF외환위기 이후 부동산시장에 거품이 끼면서 10년 이상 생명을 연장할 수 있었다. 건설회사를 가진 대기업은 부동산 거품의 수혜를 받아 그룹의 빚을 정리할 수 있었지만, 엄청난 사회적 비용을 전가시켰다. 정부의 인프라공사를 하면서 가격을 부풀려 정부재원을 고갈시켰다.민간을 위한 아파트분양시장도 고가분양으로 부동산시장을 교란하면서 부당이득을 취했다. 대림만의 문제는 아니지만 국내 건설업체들 모두가 공동으로 책임을 져야 한다. 부동산시장의 거품도 2008년 미국발 서브프라임모기지(Subprime Mortgage) 사태를 계기로 붕괴되기 시작했다. 한국도 2008년 이후 부동산 시장은 개인의 부채와 수요감소로 침체되기 시작했지만, MB정부는 정권유지차원에서 거품을 더 키웠다.건설업체들도 부동산시장이 활성화된다는 주장을 펼치면서 정권과 합작으로 거품을 유지하기 위해 노력했다. 시장경제가 수요와 공급이라는 보이지 않는 손(invisible hands)에 의해 조정된다는 단순한 명제를 무시하고, 시장을 교란한 대가는 가혹했다. 건설회사들은 분양이 되지 않는 아파트를 무작정 건설하고, 대규모 부지개발사업을 밀어 부쳤다. 소위 말하는 PF(Project Financing)사업들이 줄줄이 좌초하면서 건설업체들은 자금난에 봉착했고, 강제적 구조조정에 직면했다. 아직도 아파트가격이 오를 것이라며 분양을 부추기지만 개인들이 구매할 여력을 잃은 지 오래다.부동산시장이 다시 살아나려면 인위적인 경기부양보다는 시장에 맡겨야 한다. 초과 공급된 건설업체들도 줄어들어야 하고, 잘못된 의사결정으로 부채가 많은 기업들은 없어져야 한다. 대림도 부동산 침체기에 살아남으려면 냉철한 시각으로 시장변화를 읽고 현명하게 대처해야 한다.건설업체의 다른 문제점은 차별화된 기술력을 보유한 기업이 없다는 것이다. 대림산업은 1980년 대림기술연구소를 설립해 기술력을 확보하기 위해 노력했다. 대림기술연구소는 설계외 시공 관련 기술개발에 매진해 현재까지 특허 225건, 실용신안 49건, 신기술 14건 등을 등록했다.2010년 한국공학한림원이 대림의 벽식 아파트설계, 친환경도시 복원기술 등 6건에 대해 자랑스러운 대한민국 100대 기술에 선정했다. 국내 최초로 ‘e편한세상’이라는 아파트브랜드를 개발해 시장을 주도했다. 하지만 대림기술연구소가 개발한 기술이 대림의 사업에 큰 도움은 되지 못한다. 국내건설업체들 대부분이 비슷한 수준의 기술만 확보하고 있기 때문에 영업활동이 실적을 좌우한다.대림의 e편한세상도 단순한 브랜드에 불과하고, 대림이 개발한 아파트의 구조도 다른 브랜드 아파트와 차이가 없다. 자체 개발한 기술력을 바탕으로 원가를 절감해 가격경쟁력이 있는 것도 아니다.보유하고 있는 특허, 실용신안, 신기술이 무엇인지 모르겠지만 사업에는 큰 도움이 되지 않는다. 현대건설, GS건설, 현대산업개발 등 다른 건설업체도 사정은 마찬가지다. 수십 년을 업력을 가졌지만 자신들만 보유하고 있는 기술은 없다.◇ 관광/레저 등으로 사업다각화 추진하지만 미래전망은 글쎄대림은 건설사업이 장기간의 침체기에 접어들면서 위기를 타파하기 위해 친환경, 관광/레저 등으로 사업을 확장하고 있다. 대림산업은 1979년 호남에틸렌을 인수해 석유화학사업을 시작했다. 현재 석유화학사업은 건설업과 같이 대림산업의 핵심사업 중 하나다.화학제품을 판매하는 컴텍과 한화그룹과 공동운영하고 있는 여천NCC 등도 석유화학사업과 연관되어 있다. 콘크리트관 및 조립구조재 업체인 대림 C&S도 있지만 매출규모가 적어 주력사업으로 보기에는 한계가 있다.신성장동력으로 해상풍력발전, 물 환경, 전기이륜차 개발 등 친환경사업을 선택했다. 해상풍력발전은 친환경에너지사업이기는 하지만 국내업체들이 단기간에 기술을 개발할 수 있는 영역이 아니다. 따라서 일본이나 독일기업들로부터 기술과 장비를 도입해 건설하는 사업을 하는 수준에 그칠 가능성이 높다.원전비리사태로 전력수급에 애로를 겪고 있는 한국전력이 추가로 풍력, 태양력, 지력 등 신재생에너지에 대한 투자를 늘릴 가능성이 낮아 미래전망도 비관적이다. 물 환경도 건설업체들이 군침을 흘리는 시장이지만, 국내건설업체들이 경쟁력 있는 기술을 개발하기 어려운 영역이다. 전기이륜차는 국내 이륜차시장을 장악하고 있는 대림자동차가 추진하는 차세대 사업이지만 아직 성과가 나지 않고 있다. 대림자동차는 연간 40만대의 생산능력을 갖춘 국내 최대업체로서 국내 시장의 70%을 점유하고 있다.국내 이륜차시장은 중국, 베트남, 태국 등지에서 생산된 수입품으로 인해 국내업체들이 고전을 면치 못하고 있다. 일본과 이탈리아 업체들이 세계이륜차시장을 주도하고 있으며 국내업체들은 기술과 가격측면에서 경쟁력이 뒤지고 있다. 관광/레저사업은 1986년 인수한 오라관광을 기반으로 하고 있다. 오라관광은 제주도에서 제주그랜드호텔과 골프장인 오라CC를 운영하고 있다. 또한 2012년 12월 제주항공우주호텔을 인수했다.현재 여의도와 중구에 비즈니스호텔을 짓고 있다. 여의도 대림산업 사옥자리에 비즈니스호텔을 짓고 있으며 2014년 3월 오픈 예정이다.서울 중구에도 430실 규모의 호텔을 건설하고 있으며, 강남 테헤란로에도 비즈니스호텔건설을 추진 중이다. 2017년까지 서울에 약 128개의 호텔이 건설될 것으로 예상되어 2016년이 되면 포화상태가 될 것으로 예상된다. 외국인 관광객 1,000만 시대를 열면서 비즈니스호텔에 대한 수요가 늘면서 공급도 급증하고 있다. 롯데호텔, 신라호텔, 조선호텔 등 빅 3업체뿐만 아니라 건설업체까지 비즈니스호텔시장에 뛰어들면서 공급과잉에 대한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2012년 8월 이명박 대통령의 독도발언 이후 일본인 관광객이 급감하면서 명동, 남대문 등 주요상권이 존폐 기로에 서 있다. 일본 관광객이 주요 고객인 롯데호텔도 사업에 애로를 겪고 있다.문화관광부나 관광공사가 중국, 동남아시아 경제가 호황을 누리면서 관광객이 늘어날 것으로 예상하고 있지만 오히려 관광객은 줄어들고 있다. 2012년 하반기부터 관광객 증가율로 감소하면서 이미 호텔산업에 대해 비관적으로 보는 전문가가 늘어나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건설이 주력인 대림이 호텔시장에서 선전할 수 있을지 의문이다.◇ 해외시장 개척에 사운을 걸었지만 확고한 기반마련에는 실패대림이 1960년대 중반부터 해외시장을 개척하기 위해 노력했고, 국내건설시장의 침체가 장기화되면서 해외시장에 승부를 걸고 있다. 대림이 주력하고 있는 분야는 토목, 건축, 플랜트, 발전 등 건설의 모든 영역을 포함하고 있다.최근에는 국내에서 축적한 기술력을 바탕으로 섬과 섬, 섬과 육지를 연결하는 특수 장대교량사업에도 도전하고 있다. 현수교 가설 기술력을 보유한 국가는 미국, 일본, 영국, 덴마크, 중국 등 5개국뿐이다. 기존 사업이 EPC에 치우쳐있었는데, IPP사업까지 영역을 확장할 계획을 세우고 있다. EPC는 ‘Engineering(설계), Procurement(조달), Construction(건설/시공)’의 약자로, 플랜트 설계에서 자재조달, 구매, 건설시공 전 과정을 수주하는 것을 말한다.IPP사업은 ‘Independent Power Plant’의 약자로 민자발전사업이다. 중동과 동남아시아 국가들이 국가재정부족을 이유로 민자발전사업을 많이 추진하고 있다. 글로벌 건설업체들이 투자개발사업에서 글로벌 디벨로퍼로 도약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으며, IPP사업도 이 일환이다. 국내외 민자발전과 석유화학플랜트시장이 활성화되면서 대림도 이 시장을 공략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최근 말레이시아에서 1조원이 넘는 발전프로젝트를 수주하면서 중동에 치우친 사업구조를 다변화하고 있다.동남아시아의 정유, 발전플랜트 시장이 활성화되고 있는 것도 기회요인이다. 고부가가치 사업을 늘리고, 해외거점도 확대해 해외시장의 선전을 계기로 불황을 탈출하겠다는 구상이다. 하지만 대림이 확고한 기반을 구축하고 있는 시장은 보이지 않는다.- 계속 -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