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1
" 전동차"으로 검색하여,
7 건의 기사가 검색 되었습니다.
-
▲ 현대로템 CI[출처=현대로템]현대로템(대표이사 사장 이용배)에 따르면 2025년 2월25일(현지시간) 모로코 철도청으로부터 약 2조2027억 원 규모의 2층 전동차 공급 사업을 수주했다.차량의 유지보수는 모로코 철도청과 별도 협상을 거쳐 현대로템 및 한국철도공사(이하 코레일)가 공동으로 수행할 예정이다.이번 사업으로 모로코 시장에 처음으로 진출한 현대로템은 철도 단일 프로젝트 기준 최대 수주 기록을 경신하는 성과를 함께 거뒀다.기존 대규모 수주는 현재 납품 중인 호주 NIF 2층 전동차 약 1조4000억 원, 2024년 수주한 오스트레일리아 퀸즐랜드 전동차 공급 사업 약 1조3000억 원 및 2028년 미국 LA 하계올림픽 시 승객 수송에 투입될 LA 메트로 전동차 약 9000억 원이다.모로코 시장 진출 성공에는 현대로템을 비롯한 민관 합동 ‘코리아 원팀’(Korea One Team)의 활약이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2024년 박상우 국토교통부(이하 국토부) 장관과 백원국 국토부 제2차관이 현지를 방문해 모로코 교통물류부 장관 및 철도청장을 면담했다. 국가철도공단과 코레일 관계자들도 모로코를 방문해 K-철도의 경쟁력을 알리는 데 힘썼다.특히 코레일은 유지보수 핵심 기술 확보를 원하는 모로코 철도청의 수요에 부응해 관련 기술 이전, 교육훈련 등 전방위적 협력을 제안함으로써 긍정적인 평가를 받았다.코레일은 고속차량, 전동차, 화차 등 다양한 철도차량을 운영하며 축적한 독자적인 유지보수 역량과 전문성을 보유하고 있다. 애초 이번 입찰은 유럽 경쟁국의 양허성 금융 제안으로 코리아 원팀의 사업 확보를 장담할 수 없는 상황이었다.이에 우리 정부는 대외경제협력기금(EDCF) 지원으로 수주 경쟁력을 강화해 치열한 국가 대항 수주전 속에서도 K-철도의 민관 협력 수출 성과를 이뤄냈다.외교부에서도 2024년 6월 한-아프리카 정상회의 개최 시 모로코 하원의장, 외교장관 등 고위급 인사 방한을 통해 팀 코리아로서 우리 기업 수주에 주요한
-
일본 닛산자동차(日産自動車)에 따르면 2030년까지 전기자동차(EV) 등 전동차 관련 기술에 1조엔 이상을 투자할 계획이다. 이중 3분의 1 이상을 차세대 배터리 '전고체 배터리' 개발에 투자한다.고출력으로 소형화하기 쉽고 발화가 어려운 특성을 갖고 있기 때문으로 2030년까지 실용화를 목표로 하고 있다. 또한 희소 금속을 사용하지 않는 배터리 개발에도 치중할 계획이다.2030년 초 신형 EV 자동차와 독자적인 하이브리드 기술 e-POWER를 사용한 자동차로 전환한다. EV 전용차 '아리아'의 주문을 접수하고 있다.향후 10년간 글로벌 자동차 시장은 EV 등 친환경 자동차의 각축장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도요타 자동차 역시 차세대 전지 증산 및 개발에 1조5000억엔을 투입하기로 결정했다.독일의 글로벌 자동차 제조업체인 폭스바겐은 2030년까지 약 70종의 전기차를 판매할 계획이다. 글로벌 자동차 제조업체들의 전기자동차 시장 각축전이 치열해질 것으로 전망된다.▲ 닛산자동차 아리아 이미지(출처 : 홈페이지)
-
세계 최초의 지하철은 1863년 영국 런던에서 운행되기 시작했다. 처음에는 증기기관차가 지하터널을 주행하면서 매운 연기로 인해 공기의 질이 최악이었지만 1890년 전기기관차가 도입되면서 개선됐다.산업혁명 이후 도심으로 인구가 밀집되고 토지가격이 급등하면서 도심의 도로개발이 어려워졌고, 대중교통수단으로 지하철을 도입하는 도시가 점점 늘어났다.지하철은 도입된 지 150여년이 넘어서면서 대도시에서 가장 저렴하고 유용한 대중교통수단으로 자리매김했다. 도로확장은 정체됐는데 반해 승용차가 급속하게 보급되면서 도로가 버스와 같은 육상교통수단만으로 도심의 이동 수요를 충족시키기 어려워졌기 때문이다.한국도 1974년 서울 지하철 1호선 운행을 시작한 이후 지하철에 대한 투자를 늘리고 있지만 여전히 지하철을 확장해달라는 시민들의 요구는 줄어들지 않고 있다. 인구성장의 정체, 노령인구의 증가, 주력 산업의 침체, 도심의 공동화 현상, 공공부채의 급증 등으로 투자재원은 제한돼 있다.수요와 공급의 균형점을 찾기 어려운 지하철의 안전을 평가하기 위해 국가정보전략연구소가 개발한 ‘K-Safety 진단모델’을 적용해 보면 다음과 같다.▲ K-Safety 진단 모델로 지하철 종합평가 결과 [출처=iNIS]◇ 노선 길이나 전동차의 숫자에 비하면 대형사고는 적어한국의 지하철 역사는 1974년 개통한 서울메트로 1호선에서 출발했다. 서울역~청량리 9.54km에 9개역을 만든 것에 불과했지만 이후 영등포~왕십리를 연결한 2호선, 미아동~퇴계로를 연결한 3호선, 강남 포이동~대림동을 연결한 4호선, 연희동~천호동을 연결한 5호선 등으로 확장됐다. 2019년 1월 현재 서울지하철은 9호선까지 운행 중이다.지방의 지하철 내역을 살펴 보면 1985년 개통한 부산은 4호선까지, 1997년 개통한 대구는 3호선까지, 1999년 개통한 인천은 2호선, 2004년 개통한 광주는 1호선, 2007년 개통한 대전은 1호선 등으로 많지 않은 편이다. 현재 서울, 부산, 대구, 인천,
-
일본 미쓰비시케미칼(三菱ケミカル)에 따르면 요카이치사업소(四日市事業所) 리튬이온 2차전지 전해액 연간 생산능력을 1만6000톤으로 증강하기로 결정했다. 현재 생산능력 1만1000톤에서 약 50% 늘어난다.국내 승용차 총 판매량의 약 25%가 전기자동차로 대체됐으며 향후 급속히 전환될 것으로 전망되기 때문이다. 국내뿐만 아니라 해외에서도 EV차량,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차량(PHV), 하이브리드 차량 등이 급속히 확대되고 있다.국내 및 미국, 유럽을 중심으로 전기 자동차용 전지에 미쓰비시케미칼의 리튬이온 전지용 전해액 사용이 증가하고 있다.저온 환경에서의 높은 출력과 첨가제 기술에 의한 전극에서의 부반응 억제로 높은 내구성 및 안전성을 갖추고 있기 때문이다.참고로 미쓰비시케미칼(三菱ケミカル)은 지난 2017년 4월 미쓰비시화학(三菱化学), 미쓰비시수지(三菱樹脂), 미쓰비시레이온(三菱レイヨン) 등을 통합해 출범한 기업이다.▲미쓰비시케미칼(三菱ケミカル, Mitsubishi Chemical) 홈페이지
-
필리핀 교통부(DOTr)에 따르면 마닐라 경전철 1호선(LRT 1) 전동차 납품업체로 일본 미츠비시(Mitsubishi Corp.)가 결정된 것으로 드러났다. 미츠비시는 120량을 공급하는데 30열차 분량이다.교통부는 일본국제협력기구(JICA)의 자금을 지원받아 경전철에 운행할 철도차량을 구입했다. 이 납품시기는 2020년에 시작돼 2022년에 완료될 예정이다.일본국제협력기구(JICA) 마날리 대중교통프로젝트를 위해 432.52억엔을 지원했다. 미츠비시가 공급하는 차량가격은 300억엔이고 스페인의 Construcciones y Auxiliar de Ferrocarriles가 제조를 담담하기로 합의했다.▲교통부(DOTr) 로고
-
일본 자동차제조업체인 혼다(ホンダ)는 2016년 8월 자동차용 디젤엔진 개발을 축소하고 PHV·FCV의 확대에 주력한다고 발표했다. 디젤에 할당하고 있는 개발 자원을 전동기술로 전환한다.디젤엔진 기술의 난이도 및 비용과 더불어 엄격해지고 있는 환경규제의 동향을 고려했을 때 전동기술을 우선하는 것이 경쟁에 유리하다고 판단했기 때문이다.혼다가 올해 2월 ▲PHV ▲하이브리드차(HV) ▲연료전지차(FCV)등 전동차량의 판매비율을 2030년까지 전체의 2/3로 교체하는 방침을 내세운 것도 이러한 이유다. 가솔린엔진의 개발은 앞으로도 매진하지만 제품군은 줄일 계획이다.2011년 유럽시장을 공략하기 위해 알루미늄을 사용한 경차디젤엔진을 발표하는 등 개발 자원을 투자해왔다. 2014년 혼다의 디젤엔진 생산량은 14만대로 세계차량 판매대수의 3%였다.하지만 이번 발표를 통해 영국과 인도의 생산은 중장기적으로 줄어들 전망이다. 디젤엔진은 HV등의 전동화와 함께 환경기술로서 유력시돼 왔다.높은 연비효율과 낮은 이산화탄소(CO2) 배출량 등의 장점이 있지만 질소산화물(NOX)등의 유해물질이 발생하기 쉬워 배기가스처리에 높은 비용이 든다.▲ 1▲하이브리드카 프리드(출처 : 혼다)
-
일본 자동차제조업체인 혼다(ホンダ)는 2016년 8월 4륜차용 디젤엔진 개발을 축소하고 PHV·FCV 확대에 주력할 방침이라고 발표했다. 디젤에 할당하고 있는 개발자원을 전동기술로 전환한다.디젤엔진 기술의 난이도, 비용, 환경규제의 동향을 고려해 전동기술을 우선하기로 결정한 것이다. 혼다는 2016년 2월 PHV, 하이브리드차(HV), 연료전지차(FCV) 등의 전동차량의 판매비율을 2030년까지 전체의 2/3로 채우는 방침을 내세운 바 있다.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