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2
" 전략적 제휴"으로 검색하여,
13 건의 기사가 검색 되었습니다.
-
2025-02-11▲ GS리테일 로고[출처=GS리테일]GS리테일(대표이사 허연수)에 따르면 운영 중인 편의점 GS25가 패션 플랫폼 무신사와 전략적 제휴를 맺고 양사 플랫폼, 상품 역량을 활용한 공동 사업을 추진한다.급변하는 유통 환경 속 신성장 동력을 마련하고 양사의 핵심 고객층인 1030세대를 대상으로 차별화 쇼핑 경험을 제공하려는 목적 등이 이번 협업 성사의 주요 배경이 됐다.편의점 GS25와 무신사가 협력해 온-오프라인 기반 업계 1등 브랜드 간 O4O 동맹이 본격화 된다. GS25는 ‘무신사 스탠다드’ 상품을 들여와 특히 차별화가 어려웠던 편의점 비식품 영역의 MD 경쟁력을 비약적으로 발전시켰다. ‘무신사 스탠다드’는 전국 1만8000여 GS25 매장을 활용해 전국 단위의 오프라인 고객 접점을 단순에 확보하는 공동 사업이 우선 추진된다.3월2일 GS25는 ‘무신사 스탠다드 익스프레스’를 업계 단독으로 출시한다. ‘무신사 스탠다드 익스프레스’는 무신사가 운영하는 GS25 전용 라인업 상품이다.재킷·팬츠·티셔츠·벨트·속옷·양말 등 총 12종의 상품이 출시되며, 이 상품은 ‘무신사’ 전용 매대로 구성돼 오프라인 GS25 매장을 통해 상시 판매된다.양사는 주요 상권 내 위치한 GS25 매장 3000점을 통해 ‘무신사 스탠다드 익스프레스’ 상품을 1차 전개하기로 했다. 이후 품목 등을 확대해 운영점을 전국 GS25 매장으로 빠르게 확대해 간다는 계획이다.GS25는 무신사와 공동 마케팅, 제휴 서비스 연동 확대 등을 추진하며 양사 고객의 혜택을 강화하는데도 지속 힘쓰기로 했다. 무신사에 이어 우수한 기업, 브랜드와 협업도 다각도로 추진한다는 방침이다.GS25가 보유한 1만8000여 오프라인 거점을 활용해 다양한 기업의 오프라인 진출, 고객 접점 확대, 브랜드 인지도 상승 등을 지원한다.GS25는 상품·서비스 등 차별화 콘텐츠 경쟁력을 확보하는 방식의 비즈니스 모델을 집중적으로 육성해 간다는 계획이다.허치홍 GS리테일 MD본부장은 “온-오프라인 기반 업계 대표 브랜드 간의 이번 공동 사업 추진이 미래 성장 동력 확보와 차별화 소비 경험을 제공하는 등의 성공적 시너지를 발휘할 것으로 기대한다”며 “국내 최대 규모인 GS리테일의 오프라인 네트워크 경쟁력을 기반으로 다양한 기업들과의 협력 관계를 확대해 가는 등 경쟁력 제고를 위한 윈윈 시너지 창출에 주력할 방침이다”고 포부를 밝혔다.
-
2025-01-24▲ BNK부산은행, 케이뱅크와 전략적 마케팅 제휴 협약[출처=BNK부산은행]BNK부산은행(은행장 방성빈)에 따르면 2025년 1월22일(수) 오후 부산은행 본점에서 케이뱅크(은행장 최우형)와 혁신금융 창출을 위한 ‘전략적 마케팅 제휴’ 업무협약식을 가졌다.이번 협약은 다양한 디지털 제휴사업을 통해 서로 윈-윈(Win-Win)시너지를 극대화하고 비대면 고객에게 보다 나은 서비스 제공을 목표로 하고 있다.그 시작으로 양행의 역량을 담은 공동대출을 2025년 하반기에 출시할 계획이다. 공동대출이란 2개 이상의 금융기관이 협력해 하나의 대출상품을 공동으로 제공하는 형태로 각 기관의 장점을 살린 새로운 비지니스 모델이다.부산은행은 반세기 이상 쌓아온 금융업에 대한 이해도와 리스크관리 노하우 등, 케이뱅크는 우수한 디지털 모객력과 모바일 사용자 경험 등을 보유하고 있어 출시 예정인 공동대출 상품을 통해 더 많은 금융혜택을 선보일 것으로 기대된다.양행은 개인대출 뿐 아니라 소상공인과 자영업자 고객을 위한 기업대출도 함께 고민하며 상품출시를 위해 협력할 예정이다.부산은행 방성빈 은행장은 “인터넷전문은행과 지방은행의 전략적 협력을 바탕으로 신규 비즈니스 모델 발굴 및 공동 마케팅을 지속적 추진해 나갈 계획이다. 앞으로도 오로지 고객만을 생각하며 실질적인 혜택을 드릴 수 있는 은행이 되도록 노력하겠다”고 강조했다.
-
▲ 미국 마스터카드(Mastercard Inc.) 사무실 내부 전경 [출처=홈페이지]2024년 9월13일 북중남미 경제동향은 미국과 멕시코를 포함한다. 미국은 마스터카드(Mastercard Inc.)가 인공지능(AI) 기업을 인수해 카드 부정사용 등을 예방할 계획이다.독일계 슈퍼마켓 체인인 알디(Aldi)는 연휴 기간 중 쇼핑객에게 편의를 제공하기 위해 대규모 채용을 고려하고 있다. 시급을 올려주고 기존 직원의 승진도 고려 중이다.멕시코 온라인 쇼핑몰은 중국계 온라인 쇼핑몰과 협업할 계획이다. 중국의 제품을 멕시코에서 판매하며 자체 유통망을 적극 활용하기 위한 목적이다.◇ 미국 마스터카드(Mastercard Inc.), 레코디드 퓨처(Recorded Future Inc.)를 US$ 26억5000만 달러에 인수미국 카드회사인 마스터카드(Mastercard Inc.)는 인공지능(AI) 회사인 레코디드 퓨처(Recorded Future Inc.)를 US$ 26억5000만 달러에 인수했다. 매각한 업체는 개인 기술투자회사인 인사이트 파트너스며 2025년 1분기까지 인수작업을 완료한다.마스터카드는 사이버공격이 발생하기 전에 위협을 예상하고 혁신적이고 빠르게 대응하는 모델을 도입할 방침이다. 카드의 도난과 분실에 따른 부정사용을 방지하고 실시간으로 위협에 대한 의사결정도 가능할 것으로 전망된다.레코디드 퓨처는 미국 메사추세츠주의 섬머힐에 본사가 있으며 75개 국에 1900명의 직원을 보유하고 있다. 인사이트 파트너는 2019년 레코디드 퓨처는 7억8000만달러에 인수했다.독일 슈퍼마켓 체인점인 알디(Aldi)는 이번 연휴 기간 동안 1만3000명의 직원을 고용한다고 밝혔다. 시간당 급여는 최대 US$ 23달러를 지급한다. 하지만 점포나 창고 등 맡는 업무에 따라 18달러부터 23달러까지 다르다.1주일에 30시간 이상 근무하는 직원은 건강보험, 초과근무 수당, 유연 근무, 100% 부모 휴가 등을 보장받는다. 현재 점포 보조 관리자의 70%와 매니저의 43%도 승진시켰다.점포의 선반에 상품을 진열하거나 창고에서 물류를 관리하고 운송 차량은 운전하게 된다. 알디는 현재 36개 주에 있는 2000개 점포를 운영하고 있으며 4만9000명이 근무하고 있다.◇ 멕시코 T1, 온라인 사업 강화위해 중국계 쉬인(SHEIN)과 전략적 제휴 체결멕시코 온라인 쇼핑몰인 T1은 중국계 쉬인(SHEIN)과 전략적 제휴를 체결했다고 밝혔다. T1은 재벌인 카를로스 슬림이 소유하고 있는 카로스 그룹(Grupo Carso)의 계열사다.쉬인의 포털을 멕시코에서 강화하기 위한 목적이다. T1은 제품의 주문과 판매의 관리를 중앙에서 관리하는 플랫폼이다. 이제 쉬인의 판매자는 쉬인 사이트 뿐 아니라 다른 판매 사이트도 하나의 플랫폼에서 모든 운영을 고나리할 수 있다.온라인 사이트는 물류가 관리하기 어려운 임무인데, 이를 T1에서 처리가 가능하다. 쉬인의 제품 배송도 최적화해서 완성할 방침이다.
-
▲ 조각 구매 플랫폼 트레져러(대표 김경태) 서비스 소개 [출처=홈페이지]조각 구매 플랫폼 트레져러(대표 김경태)는 2024년 9월 경 롯데멤버스와 전략적 제휴를 맺고 엘포인트 앱을 통해 서비스를 제공할 예정이라고 발표했다.현재 계약이 체결된 상태며 앱 서비스를 론칭할 예정이다. 이번 제휴를 통해 엘포인트 앱 사용자들은 트레져러의 다양한 조각 투자 상품을 보다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게 됐다.엘포인트 앱을 통해 트레져러 서비스에 접근하는 사용자들은 기존 엘포인트 시스템을 통해 더욱 간편하게 투자할 수 있다. 엘포인트를 사용해 트레져러 상품의 직접 구매도 가능하다.이번 제휴는 트레져러의 성장 가능성과 롯데멤버스의 넓은 사용자층을 결합한 성공적인 협업으로 평가받고 있다. 엘포인트 앱 사용자들은 트레져러의 서비스를 통해 보다 다양한 경험을 쌓을 수 있다.트레져러는 사용자들이 고가의 명품, 예술품, 다양한 수집품, 그리고 금을 최소 1000원 단위인 소액으로 구매할 수 있도록 하는 플랫폼이다. 자체적인 크롤링 기술로 글로벌 시장가격 데이터를 제공한다.트레져러는 "롯데멤버스와의 협업을 통해 더 많은 사용자들이 트레져러의 분할소유 서비스를 경험할 수 있게 돼 매우 기쁘다. 앞으로도 다양한 파트너십을 통해 사용자들에게 더욱 풍부한 혜택과 서비스를 제공할 계획이다"고 밝혔다.
-
[중국] 상무부, 스페인 경제무역기업부 장관과 전기차 EU 보조금 반대 조사 및 기타 의견 교환 등 전형적인 보호주의라 강조… 양국의 경제, 무역, 자동차, 재생에너지 분야 발전 촉진 및 산업용 공작기계, 의료장비 등 더 많은 협력 기회 모색[중국] 공업정보화부, 공안부·주택도시농촌개발부·교통부 등 지능형 네트워크 개발을 위한 9개 컨소시엄 구성… 지능형 커넥티드 차량의 도로 접근을 위한 파일럿 프로젝트 추진 목적[중국] 중국인민은행, 4월 말 기준 광둥-홍콩-마카오-대만 지역 국경 간 자산 관리 연결 11만900명으로 2월 7만3400명 대비 51% 증가… 4월 신규 개인 투자자 1만3000명 및 국경간 자금 이체 223억3500만 위안[일본] 정부, 쿨 재팬(クールジャパン) 전략 5년만에 재가동해 2033년까지 현재 대비 4배인 20조 엔 목표… 애니메이션과 만화 등 콘텐츠의 해외 판매 강화[일본] 히타치제작소, 미국 IT 대기업 마이크로소프트와 생성형 인공지능(AI) 분야 전략적 제휴… AI 등 기술을 히타치 사물인터넷(IoT) 플랫폼 루마다(Lumada) 적용해 에너지, 모빌리티 사업 활용으로 3년간 수십억 달러 매출 목표[일본] 히타치제작소, 2024년 생성형 AI에 3000억 엔 투자할 예정… 마이크로소프(MS)와 생성형 AI 기술자 5만명 이상 양성할 계획[일본] (주)리튼테크놀로지스재팬, 생성형 AI 채팅 서비스 리턴(wrtn)에 미국 OpenAI 'GPT-4o' 탑재… 텍스트 입력, 음성, 화상, 영상 등 조합 가능하며 무료로 무제한 이용 가능[홍콩] 홍콩증권거래소, 6월4일 순유입액 HK$ 88억2300만 달러… 차이나모바일(China Mobile) HK$ 10억1110억 달러 순매수 및 Minmetals Resources HK$1억7920만 달러 순매도 등[오스트레일리아] 증권투자위원회(ASIC), 금융기관인 웨스트팩(Westpac) 상대로 소송 시작 및 주요 대출 기관의 시스템 결함 조사 중… 상원 청문회에서 3개의 대출기관에 대해 조사 중[오스트레일리아] P&O 크루즈 오스트레일리아(P&O Cruises Australia), 2025년 사업을 접기로 결정하며 100년의 역사 종료… 남태평양 지역의 적은 인구, 높은 운영비, 규제 비용 등 영향으로 카니발 크루즈 라인(Carnival Cruise Line)에 흡수합병[뉴질랜드] 카운티 에너지(County Energy), 니산 리프(Nissan Leaf) 재활용 배터리 머서(Mercer)에 240kWh 배치… Mercer 서비스센터 내 닛산 리프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9개가 들어간 세트 2개▲ 박재희 기자[출처=iNIS]
-
2021-05-26나이지리아 이동통신사인 MTN에 따르면 아프리카 대륙에서의 사업 확대를 꾀하고 있는 몬디아(Mondia)와 전략적 제휴를 체결했다. 상기 제휴를 통해 MTN은 국내 MTN 가입자들을 위한 새로운 게임 서비스인 겟모 게임즈(Getmo Games)를 출시한다. 몬디아는 모바일 소비자 연결, 디지털화 및 수익화를 전담하는 선도적인 모바일 커머스 기업이다. 몬디아는 60개국에 걸쳐 84개 이상의 이동통신사를 통해 15억명 이상의 소비자에게 접근하고 있다.겟모 게임즈는 가입 모델을 기반으로 가입자에게 안드로이드와 온라인 HTML5 게임을 무제한 제공하는 흥미로운 게임 서비스이다. MTN 고객은 이제 선호도에 따라 매일, 매주, 매월 등의 구독 조건으로 다양한 장르에서 수천 개의 프리미엄 캐주얼 게임을 즐길 수 있게 됐다.▲몬디아(Mondia) 홈페이지
-
미국 다국적 기술기업인 허니웰(Honeywell)에 따르면 리튬 이온배터리 시스템의 안전관리를 위해 넥서리스(Nexceris)와 전략적 제휴를 체결했다.넥서리스(Nexceris)는 리튬-이온(Li-Ion) 배터리 제조업체이다. 허니웰의 화재 포트폴리오를 기반으로 하는 파트너십은 넥서리스의 리튬-이온 테이머(Li-ion Tamer) 제품으로 탐지기술을 향상시킬 수 있다.이를 통해 고객에게 배터리 고장 가능성에 대한 조기 경보기능과 고장의 영향을 완화하거나 피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한다.특히 허니웰의 상업용 화재사장과 넥서리의 가스 검출기술은 고급 검출 분야의 리더십을 강력하게 보완하는 것으로 평가된다.즉 고객이 시설 가동 시간을 개선하고 문제가 발생하기 전에 문제의 원인을 신속하게 파악하고 제어할 수 있도록 돕는다. 이를통해 스마트 에지 장치 전략을 확장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허니웰은 에너지저장, 데이터센터, 해양 및 기타 산업에 제품을 판매하는 동시에 기존 고객에게 새롭고 혁신적인 고급 탐지솔루션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참고로 리튬-이온 테이머 제품은 전 세계적으로 85시간 이상의 리튬 이온 에너지저장시설을 보호하며 총 55만시간의 현장 작동시간을 보장한다.▲ USA-Honeywell-Battery▲ 허니웰(Honeywell)의 홍보자료(출처 : 홈페이지)
-
2019-05-21일본 글로벌 전자제품 제조업체인 소니(ソニー株式会社)에 따르면 글로벌 소프트웨어 기업인 마이크로소프트(Microsoft)와 전략적 제휴를 체결했다.인터넷 클라우드에서 스트리밍 엔터테인먼트를 위한 플랫폼을 개선하기 위한 목적이다. 소니의 플레이스테이션(Sony PlayStation)과 마이크로소프트의 엑스박스(Microsoft Xbox)는 수년간 비디오게임 콘솔 분야에서 경쟁해 왔다.마이크로소프트의 애저(Azure) 클라우드 컴퓨팅 플랫폼을 양사의 게임 및 디지털 콘텐츠 스트리밍 서비스를 지원하는 데 사용할 방침이다.양사의 클라우드 솔루션 공동개발이 대화형 컨텐츠의 발전에 크게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이번 제휴를 통해 고객들에게 새로운 게임과 엔터테인먼트 경험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한편 소니와 마이크로소프트는 반도체 및 인공지능(AI) 분야에서도 협력할 방침이다. 일본 기업의 센서 및 칩을 미국 컴퓨터 타이탄의 클라우드 시스템 및 인공지능과 결합시킬 수 있을 것으로 분석된다.이와 같은 상호협력 분야의 확대를 통해 제4차 산업혁명 시대에 다양한 서비를 중심으로 미래 시장을 주도해 나갈 수 있을 것으로 예측된다.▲ Japan-Sony-Microsoft▲ 소니(ソニー株式会社)의 CEO인 케니치로 요시다(吉田健一郎)와 마이크로소프트 CEO인 사티아 나델라(Satya Nadella) (출처 : 홈페이지)
-
영국 소프트웨어 기업인 밸류체인(Valuechain)에 따르면 동아시아 적층가공 시장에 솔루션을 제공하기 위해 한국클래드(Clad Korea)와 전략적 제휴를 체결했다.밸류체인의 적층가공 솔루션에는 주력 DNAam 생산제어 소프트웨어가 포함된다. DNAam 소프트웨어는 영국의 에어버스(Airbus)와 공동으로 개발됐으며 영국, 유럽, 미국에서 이미 상용화됐다.또한 DNAam 소프트웨어는 적층가공 부품의 신속하고 대량 생산을 가능하게 하는 독창적인 제품으로 평가된다. 특히 적층가공 빌드계획 관리, 완벽한 분말 추적기능 제공, 배치 분할, 블렌딩 제어 및 분말 회수관리 등의 기능을 포함한다.적층가공 생산공정의 틈새 요구 사항을 해결할 수 있는 것으로 평가된다. 한국클래드는 밸류체인의 DNAam 소프트웨어의 고객이면서, 유통업체 및 재판매 파트너가 될 것으로 전망된다.밸류체인의 적층가공 솔루션을 동아시아의 새로운 시장 및 영역에 도입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글로벌 기업들은 3D 프린터에 필요한 기술을 개발하기 위한 노력을 경주하고 있다.▲ UK-valuecahin-AM-cladKorea-partnership-homepage▲ 밸류체인과 한국클래드의 제휴 서명식(출처 : 홈페이지)
-
2018-11-19일본 자동화 전문기업인 오므론(OMRON)에 따르면 테크만로봇(Techman Robot Inc)과 협업 로봇을 개발하는 전력적 제휴를 체결하기로 합의했다.오므론의 티엠 시리즈 협업 로봇을 사용하면 병 따기, 포장 및 스크류 드라이빙과 같은 어플리케이션을 자동화할 수있는 로봇을 보다 쉽게 설치할 수 있다.이 로봇은 협업 로봇 팔을 사용해 한 위치에서 다른 위치로 자재를 운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쟁반에 부품을 넣고 놓는 작업을 수행할 수도 있는 것으로 평가된다. 오므론과 테크만이 개발한 로봇은 3가지 장점이 있다.첫째, 기존의 산업용 로봇에 비해 설치 및 프로그램 시간이 단축되는 장점을 갖고 있다. 이전의 로봇 프로그래밍 경험을 거의 필요로 하지 않도록 설계됐기 때문이다.둘째, 이 로봇은 대상을 쉽게 구별할 수 있다. 패턴 매칭, 바코드 판독 및 색상 식별과 같은 이미지 감지기능을 구비하고 있기 때문이다.셋째, 산업용 로봇 (ISO10218-1)의 안전 요구사항과 협업 산업용 로봇(ISO / TS15066)의 안전 요구사항을 준수해 인간의 안전을 최대한 보장한다.오므론은 2018년 10월 25일 이 로봇의 전세계 출시를 발표한 바 있으며, 40개국에서 소개하기 시작했다. 또한, 오므론의 LD 모바일 로봇과 완벽하게 통합되는 '모바일 호환'로봇 모델도 출시할 방침이다.향후 오므론과 테크만은 차세대 협업 로봇을 개발하는 데 협력해 인간과 로봇의 조화로운 비전을 현실화할 것으로 기대된다. 로봇산업은 인공지능(AI), 빅데이터(Big Data), 클라우드 서비스 등과 같이 4차산업혁명을 주도하고 있다.▲ Japan-Omron-collaborative arm robot-homepage▲ 오므론의 티엠 시리즈 협업 로봇(출처 : 홈페이지)
1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