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4
" 전투"으로 검색하여,
36 건의 기사가 검색 되었습니다.
-
2025-03-28▲ 넷마블 신작 'RF 온라인 넥스트', 신규 월드 ‘아케인’ 오픈[출처=넷마블]넷마블(대표 권영식, 김병규)에 따르면 2025년 3월28일(금) 오후 8시에 신작 ‘RF 온라인 넥스트(RF ONLINE NEXT, PC/모바일)’가 신규 월드 ‘아케인’을 오픈한다.넷마블은 ‘RF 온라인 넥스트’가 출시 6일 만에 국내 양대 마켓 매출 최상단을 석권하는 등 이용자들의 높은 호응에 힘입어 빠르게 신규 월드 오픈을 결정, 서버 안정성과 최적화를 강화하겠다는 방침이다.신규 월드 ‘아케인’은 3개 서버로 구성됐으며 이용자 현황 및 의견을 반영해 추후 서버 추가 오픈 또는 신규 월드를 지속해서 선보일 예정이다.이와 함께 넷마블은 정식 출시 이벤트로 4월1일까지 전체 이용자 대상 접속 보상 이벤트를 진행 중이다. 이용자들은 접속 일자에 따라 100만 크레딧, 아케인 노드 50개 및 안드로이드 폐기장 체류 연장권 등 다양한 보상을 획득할 수 있다.한편 ‘RF 온라인 넥스트(PC/모바일)’는 2004년부터 20여 년간 서비스한 ‘RF 온라인’ IP를 활용한 MMORPG 신작이다. 정식 출시 6일 만에 국내 양대 마켓 매출 1위를 기록하는 등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우주를 배경으로 펼쳐지는 3개 국가 간의 스토리를 기반으로 바이오 슈트·비행 액션·메카닉 장비 ‘신기’ 등을 통해 다채로운 전투 전략을 구사할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
▲ 한화시스템, ‘아발론 에어쇼 2025’에서 C4I(전술지휘통제통신) 솔루션 기술력을 선보인다[출처=한화시스템]한화시스템(대표이사 손재일)에 따르면 한화시스템과 한화에어로스페이스(대표이사 김동관, 손재일)가 2025년 3월25일(화)부터 30일(일)까지 오스트레일리아 질롱에 위치한 아발론 공항에서 열리는 ‘아발론 에어쇼(Avalon Australian International Airshow) 2025’에 참가한다.2023년 12월 우리 기술로 만든 미래형 궤도 보병전투장갑차 ‘레드백’의 오스트레일아 수출에 성공했던 한화가 이번에는 첨단 군 위성통신 솔루션을 제시하며 다시 한번 도전장을 내민다.아발론 에어쇼는 격년마다 열리는 오세아니아 지역 최대 규모 국제 에어쇼로 2023년 37개국 794개 업체가 참가했다.당시에 5만 명의 전 세계 항공·우주 전문가와 주요 국방 인사들이 참여한 바 있다. 2023년 아발론 에어쇼에 처음으로 참가했던 한화는 올해 240㎡ 규모의 부스를 선보인다.◇ 한화시스템, 차세대 군(軍) 통신 시장 도전… 어떠한 전장 상황에서도 ‘초연결’ 통신 구현한화시스템은 어떠한 전장 상황에서도 군이 고속으로 통신하고 신속하게 작전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차세대 초연결 전술통신시스템을 오스트레일아에서 선보인다. 본 시스템은 전술 5G 통신과 저궤도 위성통신을 기반으로 한 군(軍) 통신 솔루션이다.한화시스템의 초연결 전술통신솔루션은 육·해·공·우주를 연결해 전쟁 중 지상 통신망이 단절되어도 실시간 데이터 전송 및 고해상도 영상 스트리밍, 신속한 지휘결심 지원 등 원활한 통신을 가능케 한다.특히 현재 운용되고 있는 오스트레일라아군 통신시스템과도 연동 및 상호 호환이 가능하다. 유무인 복합체계(MUM-T) 실현을 위한 핵심 통신 솔루션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한화시스템은 차세대 초연결 전술통신솔루션 MOSS 플랫폼(Modular Open Suite of Standard Platform) 전시에도 힘을 줬다.MOSS 플랫폼은 미래 지상전투체계에 최적화된 지휘통제통신 통합 솔루션으로 한화시스템은 최근 더욱 소형화된 모델을 개발하는 데 성공했다.휴대성 및 상호운용성을 높인 만큼 전차·장갑차·지휘관 차량 등은 물론, 더욱 다양한 지상 플랫폼에 탑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한편 한화시스템은 아발론 에어쇼 전시장에서 질롱시 레드백 생산공장을 연결, 타이곤(유인 장갑차)-무인 지상 차량(UGV)-드론 간 ‘실시간 영상 전송’ 시연도 선보인다.한화에어로스페이스의 차륜형 장갑차 ‘타이곤’에 이동형 5G 기지국을 탑재해 드론으로 촬영한 영상을 수신하고, 해당 영상을 다시 광대역 무전기를 통해 전시장으로 실시간 전송하는 방식이다.◇ 한화에어로스페이스, ‘폴란드 호평’받은 천무 실물 호주에서도 선보여한화에어로스페이스는 폴란드군의 호평을 받고 있는 천무 다연장 로켓의 실물을 전시한다. 적의 장사정포 사정권 밖에서 아군의 피해 없이 핵심 표적을 정밀 타격할 수 있는 차세대 화력 장비다.발사대 내 2개 사격 포드 탑재가 가능하며, GPS/INS 복합항법장치를 탑재한 유도탄은 정밀한 타격이 가능하다. 경쟁사와 견줘볼 때 성능뿐 아니라 합리적인 가격 및 빠른 납기에 대한 기대로 다연장로켓 도입이 시급한 국가는 하이마스 등과 함께 천무를 동시에 저울질하고 있다.◇ 한화, ‘상층방어’ 장거리 지대공 유도무기체계 L-SAM 역량 호주 시장에서 공개한화에어로스페이스는 한국이 개발한 상층방어용 ‘장거리 지대공 유도무기체계(L-SAM)’ 시스템도 호주군에 선보였다.상층방어 시스템인 L-SAM은 기존의 하층방어 시스템(M-SAM, PAC-3 등)과 함께 운용될 수 있다. C2 시스템과의 연동을 통해 한층 강화된 방어 능력을 제공할 수 있다.L-SAM 시스템의 핵심인 유도탄은 한화에어로스페이스가, 다기능레이다(MFR)는 한화시스템이 개발했다.
-
2025-03-26▲ 크래프톤, 게임 개발사 EF 게임즈와 퍼블리싱 파트너십 체결[출처=크래프톤]㈜크래프톤(대표 김창한)에 따르면 스페인의 게임 개발사 EF게임즈와 글로벌 퍼블리싱 계약을 체결했다. 차량 액션 게임 ‘라이벌즈 호버 리그(Rivals Hover League)’를 공개했다.EF 게임즈는 2024년 1월 호아킨 루이페레즈와 곤잘로 루이페레즈 형제가 스페인 마드리드에 설립한 게임 개발사다.크래프톤은 2024년 10월 EF 게임즈에 대한 지분 투자 계획을 발표한 바 있다. 크래프톤은 이번 퍼블리싱 계약을 통해 라이벌즈 호버 리그의 퍼블리싱, 마케팅, 라이브 서비스 운영 등을 지원할 계획이다.라이벌즈 호버 리그는 고속 이동이 가능한 호버 차량을 조종하고 태양계 곳곳의 경기장을 누비며 역동적인 차량 전투 액션을 즐기는 게임이다.차량의 기본적인 조작 방식은 간단하지만 호버링 시스템 및 부스터 시스템을 기반으로 차량의 급격한 방향 전환과 빠른 회피 기동 등 숙련도에 따라 보다 깊이 있는 플레이를 경험할 수 있다.라이벌즈 호버 리그에는 속도전에서 우위를 점할 수 있는 기동성이 뛰어난 차량, 팀원을 보호하거나 전술적 지원이 가능한 차량 등 각기 다른 개성과 능력을 갖춘 다양한 호버 차량이 등장해 어떤 차량을 선택하는가에 따라 다채로운 전략을 구사할 수 있다.크래프톤은 3월20일 온라인 게임쇼 ‘퓨처 게임쇼(Future Games Show)’를 통해 라이벌즈 호버 리그의 공식 트레일러를 공개했다. 라이벌즈 호버 리그는 현재 스팀 상점 페이지를 통해 찜하기 등록을 할 수 있다.EF 게임즈는 앞으로 디스코드 등 공식 채널을 통해 이용자들과 긴밀하게 소통하고 이용자 의견을 수렴하며 라이벌즈 호버 리그의 개발을 진행할 계획이다.라이벌즈 호버 리그에 대한 보다 자세한 내용은 스팀 상점 페이지와 공식 X(구 트위터), 디스코드 등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
2025-03-10▲ 플라이웨이게임즈, 신작 ‘어센드투제로’ 체험판 공개[출처=크래프톤]㈜크래프톤(대표 김창한)에따르면 크리에이티브 스튜디오 플라이웨이게임즈(대표 김수영)가 신작 PC 게임 ‘어센드투제로(Ascend to ZERO)’의 체험판을 글로벌 게임 유통 플랫폼 스팀(Steam)에 공개했다.어센드투제로는 시간을 정지시키는 능력을 소재로 하는 로그라이크 액션 게임이다. 이용자는 외계 생명체의 침략으로 멸망해버린 현재에서 시간 여행을 할 수 있는 차원 포탈을 통해 과거로 돌아가 동료들을 구하고 세계를 구원해야 한다.게임은 과거로 돌아가 짧은 제한 시간 내에 전투를 통해 빠르게 아바타의 레벨을 성장시키고 임무를 수행하는 방식으로 진행된다.무기를 장착하면 공격은 자동으로 수행되나 공격의 방향은 희망하는 대로 지정할 수 있다. 제한 시간이 소진되면 현재 시점의 파괴된 지하 벙커로 강제로 돌아오게 되는데, 이때 레벨과 일부 장비 등도 초기화된다.전투 중에는 시간 정지 능력과 상대의 공격을 피할 수 있는 대시, 다양한 스킬 등을 적절히 활용해서 제한 시간 내에 임무를 완수해야 한다.전투 중에 체력이 바닥난다 하더라도 남은 제한 시간을 일부 소진하여 부활할 수 있다. 보스 등 특수 몬스터를 처치하면 패시브 능력을 획득할 수 있다.전투를 통해 획득한 재화로 상점에서 무기와 방어구, 아이템을 구매해 아바타를 강화할 수 있다. 과거의 동료를 구출해 현재의 지하 벙커로 데려오면 다양한 신규 기능을 해금할 수 있다.플라이웨이게임즈는 어센드투제로의 체험판 공개를 통해 이용자와 소통하고 의견을 수렴하며 양질의 게임을 완성하기 위해 개발을 진행해 나갈 계획이다.어센드투제로는 스팀에서 무료로 다운로드할 수 있으며 한국어, 영어, 일본어, 중국어 간체를 지원한다. 자세한 내용은 스팀 상점 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다.
-
최근 우크라이나에 생포된 북한군 병사가 한국으로 귀순 의사를 표명했다는 소식이 전해졌다. 북한군은 2022년 2월 우크라이나를 침공한 이후 고전을 면치못하는 러시아를 돕기 위해 파병됐다.북한군은 6·25 전쟁 이후 실전에 대한 경험이 전혀 없어 인해전술을 고집하다 막대한 피해를 입었다. 하지만 이번 파병으로 전차에 대한 무용론, 근접 전투의 문제점, 드론(Drone) 전쟁의 대처방안 등을 학습한 것으로 분석된다.러시아 파병 초기 군사용 드론에 익숙하지 않은 북한 병사들이 우왕좌왕(右往左往)하는 상황이 생중계되며 20세기 전투방식을 고집한다는 비판을 받았다. 전기수익이착륙(eVTOL) 드론을 군사용으로 활용하려는 시도를 알아보자.▲ EVTOL requirements on battery specific power and energy[출처=Challenges and key requirements of batteries for electric vertical takeoff and landing aircraft(Xiao-Guang Yang, Teng Liu, Shanhai Ge, Eric Rountree, and Chao-Yang Wang)]◇ 민간에서 개발된 UAM/AAM을 전면 개조해야 군사용 활용 가능eVTOL은 도심항공교통(UAM)이나 미래항공교통(AAM)의 용도로 개발되고 있다. 대부분 조종사를 포함한 2인승 혹은 4~5인승으로 개발되고 있다.주동력원은 리튬이온배터리(Li-ion battery)이지만 일부 기업은 수소 하이브리드 추진동력을 개발하고 있다. 수소는 친환경 연료이지만 높은 생산 원가, 폭발 위험성 등의 이유로 상용화는 더딘 편이다.2022년 12월 기준 전 세게에서 개발되고 있거나 설계된 UAM/AAM은 700여 종이 넘는다. 도심과 비도심간 운항에 가장 적합한 Vectored Trust형이 절반이 넘는다.Vectored Trust형은 추력 방향을 변화시켜서 진행방향과 자세를 바꾸는 방식이다. 개발이 진행 중이지만 상업생산을 위한 형식인증(TC)을 획득한 회사는 없다.중국의 이항( EHang)은 중국 감항당국으로부터 형식인증을 획득했지만 무인항공기(UAS)로 받았다. 유인항공기로 인증을 받아야 UAM/AAM 용도로 활용할 수 있다.현재 개발 중인 UAM/AAM을 군사용으로 전환하기 위해서는 개량이 필요하다. 군 병력을 운송하고 무기 이동, 공격용 무기 탑재 등이 병행돼야 하기 때문이다.드론 전문가들은 민간에서 개발된 UAM/AAM의 전면 설계 변경을 통해 새로운 군사용 UAM/AAM을 개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권고한다. ◇ 전투 현장에 배치하려면 배터리 용량 및 충전 인프라 구축 선행돼야현재 군대에서 병력이나 무기의 운송용으로 늘리 활용되는 것은 헬리콥터다.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군사용으로 도입된 헬리콥터는 베트남 전쟁을 거치며 군사작전의 핵심 전력으로 부상했다.헬리콥터는 수직이착륙과 호버링(hovering)이 가능할 뿐 아니라 대규모 고정익 수송기에 비해 운용비용이 저렴하다. 그럼에도 조종사의 필요성, 큰 소음, 기동성 등으로 대체 수단에 대한 수요가 제기되고 있다.현재 개발 중인 eVTOL UAM/AAM은 화물 탑재 중량, 비행 거리 등에서 헬리콥터에 비해 상대적으로 성능이 떨어진다.2023년 7월 미 RAND 연구소에 따르면 최신 기술로 개발된 eVTOL UAM/AAM은 탑습 인원 3~5명 혹은 약 1 톤(t)의 화물을 싣고 1시간에 약 150마일을 비행 할 수 있다.짧은 시간에 수직 이착륙이 가능하지만 헬리콥터에 비해 효율성을 낮다. 군사용 eVTOL UAM/AAM을 개발할 때 고려해야 할 요소가 적지 않은 이유다.특히 eVTOL UAM/AAM은 호버링 시 배터리 소모가 심해 작전 투입에 한계로 작용한다. 민수용 eVTOL UAM/AAM은 충전 시스템을 갖춘 버티포트(Vertiport)로 배터리 문제를 극복한다.하지만 군사용 eVTOL UAM/AAM은 버티포트가 없는 야전에서 활용해야 하므로 어려움이 예상된다. Xiao-Guang Yange 등은 전기자동차(EV)와eVTOL을 비교해 배터리 특정 전력 및 요구사항을 분석했다.▲ Battery requirements for eVTOLs versus for EVs[출처=Challenges and key requirements of batteries for electric vertical takeoff and landing aircraft(Xiao-Guang Yang, Teng Liu, Shanhai Ge, Eric Rountree, and Chao-Yang Wang)]항공기 추진용 배터리를 연구한 결과로 특정 에너지와 전력, 충전속도, 수명 싸이클, 항공기 비행안전을 위한 요구 사항 충족 등을 주요 과제로 제시했다.배터리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기체의 중량 감소를 위한 경량화, 소형화가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군사용 eVTOL UAM/AAM은 작전 환경이 일반 상업용에 비해 충전 인프라가 갖춰지지 않은 상황 아래 비행을 해야 한다.유럽연합(EU)은 탄소제로를 달성하기 위해 전기자동차(EV) 보급을 확대하고 있지만 배터리의 용량 한계, 폭발 위험성, 과다한 충전시간 등 해결해야 할 과제가 산적한 실정이다.군사용 eVTOL UAM/AAM을 실전에 배치하려면 기체의 안정성 뿐 아니라 배터리의 각종 난제를 극복해야 한다. 현재 기술력을 고려한다면 군사용 eVTOL UAM/AAM을 전투 현장에 배치하려면 최소 10년 이상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 계속 -
-
2025-03-07▲ 배틀그라운드 모바일, 도시와 자연이 공존하는 신규 맵 ‘론도’ 출시[출처=크래프톤]㈜크래프톤(대표 김창한)에 따르면 2025년 3월7일(금) 배틀그라운드 모바일의 업데이트를 진행하고 신규 맵 ‘론도’를 출시했다.론도는 2023년 PUBG: 배틀그라운드에서 공개된 이후 전 세계 이용자들에게 큰 사랑을 받아온 맵으로 마침내 배틀그라운드 모바일에서도 만나볼 수 있게 됐다.이 맵은 현대적인 도시와 전통적인 자연이 조화를 이루는 8x8킬로미터(km) 규모의 대형 맵으로 이용자들은 다양한 지형과 신규 요소를 활용해 전략적인 플레이를 펼칠 수 있다.고층 빌딩 사이에서 시가전을 경험할 수 있는 ‘자데나 시티’는 에스컬레이터를 통해 건물 사이를 신속하게 이동할 수 있다.‘NEOX 팩토리’에서는 차량 테스트 주행 트랙과 공장지대에서 색다른 전투가 가능하며 4인용 차량 ‘블랑’을 만나볼 수 있다.울창한 나무와 연못으로 구성된 ‘유 린’, 전통적인 주택가에 폭포와 돌산이 위치한 ‘틴 룽 가든’은 마치 무협 소설의 한 장면을 연상케 한다.론도에서만 사용할 수 있는 신규 요소들도 만나볼 수 있다. 일정 확률로 활성화되는 ‘멀티 비행기’는 이용자가 비행기 2대 중 하나를 무작위로 탑승해 낙하 지역을 다양하게 선택할 수 있는 요소다.대나무 숲은 투척물과 차량 등으로 파괴할 수 있으며, 근접 무기 ‘곡괭이’를 사용하면 지형을 파괴해 다양한 전략적 움직임을 수행할 수 있다.신규 총기와 아이템도 마련됐다. ‘JS9’은 9밀리미터(mm) 탄약을 사용하는 현대식 불펍 기관단총(SMG)으로 준수한 피해량과 낮은 조작 난이도를 자랑한다.보조 무기인 ‘스턴 건’은 사용 시 일시적으로 적의 움직임과 시야를 제한한다. 또한 보급함에서는 론도의 자연과 잘 어울리는 새로운 느낌의 ‘길리 수트(숲)’를 획득할 수 있다.크래프톤은 론도 출시를 기념해 인기 유튜버 ‘빠더너스’ 문상훈과 협업을 통해 이용자들에게 친근하게 다가간다. 문상훈이 출연하는 신규 트레일러 2종과 패치 노트 영상을 공개했으며, 향후 다양한 마케팅 콘텐츠를 추가로 공개할 예정이다.이용자는 론도 출시를 기념해 3월8일부터 진행되는 게임 내 이벤트와 공식 카페 이벤트에 참여해 다양한 게임 아이템을 받을 수 있다.배틀그라운드 모바일의 공식 파트너 스트리머들이 14일부터 한달 간 진행하는 크리에이터 대전 라이브 방송 ‘론도 100’을 즐길 수 있다.이번 업데이트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배틀그라운드 모바일 공식 카페(https://cafe.naver.com/battlegroundsmobile)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론도 100은 공식 이벤트 페이지(https://pubgm-rondo100.com)에서 시청할 수 있다.
-
2025-02-19▲ 펄어비스 검은사막 모바일, 서비스 7주년 기념 페스티벌[출처=펄어비스]펄어비스(이사회 의장 김대알, 대표이사 허진영)에 따르면 2월18일부터 ‘검은사막 모바일’ 서비스 7주년 기념 페스티벌을시작한다.검은사막 모바일의 모든 마을에 축하 장식을 비롯한 7주년 페스티벌 테마를 적용했다. 검은사막 모바일 모험의 출발지인 ‘벨리아’ 마을에는 7주년 페스티벌 케이크를 추가했다. 케이크와 상호작용하면 24시간 동안 전투 경험치가 100% 증가하는 효과를 받는다.페스티벌 기간 성장의 즐거움을 느낄 수 있도록 ‘내가 선택하는 이벤트!’를 4주간 진행한다. 모험가는 매주 4가지의 이벤트 중 원하는 방식 하나를 선택해 참여할 수 있다.△접속 유지만 하면 투발라의 유산 상자, 돌파 복구권, 행운의 검은 용을 지급하는 ‘성장 캐릭터 초고속 완료팩’ △특정 임무 수행시 혼돈의 축&아크라드 선택상자, 질서의 두루마리 등을 받는 ‘성장 캐릭터 졸업생 지원팩’ △특정 임무 수행시 블랙펄과 Plus 종합 세트 7일권을 받는 ‘블랙펄&Plus팩’ △특정 임무 수행시 정제수, 유자차, 시계 태엽 선택 상자 2개 묶음, 협동 토벌대 입장권을 받는 ‘쾌속 사냥 지원팩’ 중 선택해 보상을 받을 수 있다.선택한 임무를 수행하면 ‘스탬프’도 추가로 얻을 수 있다. 수집한 스탬프 수량에 따라 찬란한 태고 문양 각인서, 태고 엘리언 룬 선택상자, 찬란한 혼돈의 수정 선택 상자, 블랙펄 1000개 등을 받는다.펄어비스는 신규 및 복귀 모험가의 빠른 정착을 지원하기 위해 성장 일지를 업데이트했다. 모험가 성장 일지는 성장 패스, 성장 플러스, 성장 플러스 2를 완료한 이후에도 추가 임무 수행을 통해 다양한 혜택을 받을 수 있는 콘텐츠다.기존 모험가를 위한 검은 사당 신규 난이도 ‘칠재시니’도 추가했다. 확장된 난이도에서 보다 전략적인 공략의 재미를 경험할 수 있다.검은사막 모바일 최신 업데이트 및 이벤트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공식 포럼(https://forum.blackdesertm.com)에서 확인할 수 있다.
-
▲ 한화에어로스페이스 로고[출처=한화에어로스페이스]한화에어로스페이스(대표이사 김동관, 손재일)에 따르면 2024년 연결 기준 매출액은 11조2462억 원, 영업이익은 1조7247억 원으로 국내 방산업체 중 최초로 연 매출 10조 원 및 영업이익 1조 원을 초과했다.이 같은 실적은 방산 부문의 호실적이 견인했다. 2024년 방산 부문은 매출 7조56억 원, 영업이익 1조5659억 원으로 전년 대비 각각 70%, 173% 증가했다.올해도 국내 양산 물량의 호조세 지속 및 수출 물량 증가 전망에 따라 지상방산 부문은 2024년에 이어 지속적인 매출 성장이 예상된다.한화에어로스페이스 별도 기준으로 수출은 약 4조4000억 원, 내수는 약 4조 원을 기록해 매출액 대비 수출 비중 약 53%를 달성해 창사 이래 처음으로 수출이 내수를 넘어섰다.2024년 한화에어로스페이스의 수주잔고(지상방산 부문)는 32조4000억 원으로 2023년 말 대비 4.5조 원 증가했다. 루마니아 K9 공급계약, 사우디아라비아 천궁II 발사대 및 구성품 양산 계약, 폴란드 2차 실행계약 등을 체결했다.국내 사업은 K21 보병전투차량 4차 양산, 230mm급 다연장 천무 3차 양산 계약을 맺어 수주 잔고가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
▲ 독일 연방카르텔청(Federal Cartel Office) 빌딩 [출처=홈페이지]2025년 1월20일 유럽 경제동향은 영국, 프랑스, 독일을 포함한다. 영국 정부가 전기자동차(EV)에 제공하는 보조금을 줄이면서 충전업체의 실적이 악화되고 있다.영국 유명 소매업체인 WHSmith는 공항, 철도역, 병원 등 수익성이 높은 장소에 지점을 늘리는 대신에 일반 도로변 점포는 줄이고 있다.프랑스는 원자력발전소, 재생에너지 등에 의한 전력 생산량이 전체의 95%를 넘어서고 있다. 전력생산량은 코로나19 이전의 수준을 회복했다.독일 연방카르텔청(Federal Cartel Office)은 방산업체가 이탈리아와 업체와 협력하는 것이 경쟁을 저해하지 않아 문제가 없다고 판단했다.◇ 영국 포드 포인트(Pod Point), 2024년 기준 매출액은 £5300만 파운드영국 전기자동차(EV) 충선 서비스업체인 포드 포인트(Pod Point)는 2024년 기준 매출액은 £5300만 파운드로 목표치인 6000만 파운드에 미치지 못했다고 밝혔다.정부가 EV에 대한 세제 혜택을 줄이면서 판매량이 축소됐기 때문이다. EV는 가솔린 차량에 비해 초기 비용이 많이 들기 때문에 정부의 보조금이 중요한 실정이다.정부는 무공해 차량(ZEV)의 비율을 2025년 28%로 2024년 22%에 비해 상향조정했다. 충전서비스업체의 입장에서는 EV의 운행 대수가 늘어나야 매출이 상승하게 된다.영국 유명 소매업체인 WHSmith에 따르면 2025년 2월 17개 점포를 폐쇄할 방침이다. 공항, 철도역, 병원 등 수익성이 높은 장소에 110개의 점포를 오픈할 계획이라고 밝힌 이후 나온 결정이다.2025년 1월18일 영국에서 2개 점포의 문을 닫았다. 1월부터 5월까지 대런던, 맨체스터, 캠브릿지셔, 에섹스 등의 점포가 운영을 중단한다.하지만 2025년 북미 지역에서 50개의 점포를 추가 오픈한다. 오프라인 매장의 임대료를 상승하지만 매출이 떨어져 수익성이 악화된 것이 주요인으로 분석된다.◇ 프랑스 송전공사(RTE), 2024년 무탄소 배출 전기의 생산량이 전년 대비 8.45% 증가프랑스 송전공사(RTE)는 2024년 무탄소 배출 전기의 생산량이 전년 대비 8.45% 증가했다고 밝혔다. 코로나19 팬데믹 이전 수준을 회복했다.특히 원자력발전소의 급격한 회복과 신재생에너지 생산량도 늘어났기 때문이다. 저탄소 배출원으로 생산한 전기는 전체의 95%를 넘어섰다.2024년 연간 536.5테라와트시(TWh)를 생산해 지난 5년내 최고치를 기록했다. 2014~2019년 동안 평균 537.5TWh를 생산했다.◇ 독일 연방카르텔청(Federal Cartel Office), 방산업체인 라인메탈이 이탈리아 레오나르도와 협력 허용독일 연방카르텔청(Federal Cartel Office)은 방산업체인 라인메탈이 이탈리아 레오나르도와 협력하는 것을 허용한다고 밝혔다.양사의 생산 활동이 상호 보완적이라 부정경쟁방지법을 위반하지 않는다고 판단했다. 양사는 각자 50%의 지분을 보유한 조인트 벤처인 레오나르도 라인메탈 군사차량(LRMV)을 설립했다.LRMV는 교량 건설용 특수차량 뿐 아니라 보병 전투차량, 탱크를 제조할 계획이다. 제조 과정의 60% 이상은 이탈리아에서 수행된다.
-
2025-01-15▲ 펄어비스, ‘2025년 최고의 출시 예정 게임’[출처=펄어비스]펄어비스(대표 허진영)에 따르면 오픈월드 액션 어드벤처(Open World Action-Adventure) 게임 ‘붉은사막(Crimson Desert)’이 2025년 플레이스테이션 스토어 ‘최고의 출시 예정 게임(The Best New and Upcoming PS5 Games of 2025)’으로 소개됐다.붉은사막은 ‘플레이스테이션 스토어’를 통해 ’고스트 오브 요테이’, ‘데스 스트랜딩 2’, ‘몬스터 헌터 와일즈’ 등 글로벌 기대작들과 함께 이름을 올리며 기대감을 증명했다. 붉은사막은 게임스컴과 지스타 시연을 통해 자유도 높은 액션, 역동적인 전투 시스템, 완성도 높은 게임성, 고품질의 그래픽 등 호평을 받으며 깊은 인상을 남겼다.‘2024 더 게임 어워드‘에서 선보인 게임 트레일러는 차세대 게임 엔진 ‘블랙스페이스 엔진(BlackSpace Engine)’으로 구현한 방대한 오픈월드에서 펼쳐지는 모험과 전투, 그리고 새로운 콘텐츠를 소개해 글로벌 전역에 호평을 받았다. 펄어비스는 2024년 게임스컴, 트위치콘 샌디에이고, 파리 게임 위크, 밀라노 게임 위크, 더 게임 어워드에 참여하며 글로벌 게이머, 미디어, 스트리머 등에게 시연을 진행한데 이어 올해도 글로벌 마케팅을 공격적으로 진행할 예정이다. 붉은사막은 스팀(Steam), 플레이스테이션(PS) 5, 엑스박스 시리즈 X|S(Xbox Series X|S), 애플 맥(Mac)에서 만나볼 수 있다. 현재 스팀과 플레이스테이션, 엑스박스에서 위시리스트를 추가할 수 있다.
1
2
3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