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1
" 제당업"으로 검색하여,
4 건의 기사가 검색 되었습니다.
-
인도 제당업체인 VSIL(Vishwaraj Sugar Industries Ltd)에 따르면 새로운 에탄올공장을 건설하기 위해 Rs 25억루피를 투자할 계획이다. 해당 공장은 카르나타가주에 위치하며 2024 회계연도부터 생산을 시작한다.공장이 완공되면 1일 11만톤의 사탕수수를 처리할 수 있으며, 1일 10만리터의 용액 추출이 가능해진다. 식초의 제조용량은 1일 7만리터에 달한다.또한 VSIL은 벨라가비에 위치한 기존 공장으로부터 80km 떨어진 지역에 1일 25만리터의 에탄올 생상공장을 건설할 계획이다. 공장 확장은 2023년 11월까지 완료된다.전체적으로 1일 총 50만리터의 에탄올을 생산하는 것이 목표이다. 일반적으로 에탄올 생산에서 사탕수수 시럽 추출의 경우 1리터당 Rs 62.7루피이며 당밀 추출은 57루피이다.다만 의학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에탄올의 가격은 1리터당 67루피로 높아진다. VSIL은 2021년 12월부터 석유유통회사에 250만리터의 에탄올을 공급하기로 계약을 체결했다.참고로 VSIL은 2021년 12월말 기준 9개월 동안 순이익은 2억670만루피를 기록했다. 이는 전년 동기 4170만루피에 비해 대폭 증가한 수치이다.▲VSIL(Vishwaraj Sugar Industries Ltd) 공장 전경(출처 : 홈페이지)
-
2017-08-10케냐 농업식품기구(AFA)에 따르면 국내 제당업체에개 설탕 15만톤 수입을 허용했다. 향후 12개월간 원재료의 공급량이 부족해 이에 따른 해결책이 필요하기 때문이다.향후 12개월간 사탕수수 부족 현상이 지속될 것으로 전망된다. 제조업체들은 제품의 브랜드를 표시하는 것은 가능하지만 꼭 원산지를 명시해야 한다.가뭄의 영향으로 국내 사탕수수 재배지가 타격을 입어 사탕수수 190만톤이 부족한 것으로 집계됐다. 2017년 1월~5월 설탕 생산량은 34% 감소했다.▲케냐 농업식품청(AFA) 로고
-
피지 제당공사 Fiji Sugar Corporation, 제당업체 Penang의 이번시즌 가동준비 미비로 8월에 생산 가능... 사이클론 윈스턴의 영향으로 사탕수수 수확량이 감소했으며 $US 7000만 달러 손실 집계
-
2013-07-29대한제당그룹(이하 대한제당)은 대한그룹 설경동 회장이 1956년 설립한 대동제당이 모태로 3남 설원량 회장의 대한전선그룹에 속해 있었으나 1988년 계열 분리되었다. 2010년 부친 타계 후 3세인 설윤호 부회장이 이끌고 있다.대한제당은 국내외 14개의 계열사를 가지고 있으며, 그룹 전체 매출 중 90%이상이 대한제당㈜의 매출로 한 회사에 편중돼 있다. 홍콩 타이쿠 슈가와 일본 스미토모 등 과 합작을 통해 제당업의 중국 진출을 모색하고 있으나, 아직 두드러진 성과는 나지 않고 있다. 최근 설탕가격 담합 혐의가 적발돼 공정거래위원회로부터 과징금 100여 억 원이 부과 받았다. ◇ 대한제당의 주요 계열사와 평가대상 기업대한제당은 국내 10개, 해외 4개 총 14개의 계열사를 가지고 있으며, 주요계열사는 표1와 같이 식품, 금융, 골프장/서비스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표1. 대한제당의 주요 계열사와 평가대상]식품부문 계열사는 대한제당㈜, TS푸드앤시스템, TS유업, 대한 FSS, 알엔에프 등이 있다. 대한제당은 1956년 설탕제조업을 위해 설립한 대동제당이 모태로 1969년 현재의 사명으로 변경했다. 주요사업은 제당 및 식품, 사료, 축산물 유통, 바이오 사업 등이다. TS푸드앤시스템은 1993년 ㈜해마로 출발하여 2009년 상호가 변경됐다.양계업 및 계육판매, 패스트푸드 제조 및 판매, 축산기구 제조 및 판매, 계육 가공 및 판매, 음식점 및 기타 서비스업 등을 한다. 미국 AFCE와 ‘Popeyes(파파이스)’ 독점 판매 계약을 1993년 체결하여 2009년 기준 115개의 매장을 갖고 있다.TS유업은 액상시유 및 기타 낙농제품의 제조가 주요사업으로 1996년 설립됐다. 대한FSS는 단체급식 위탁경영이 주요사업으로 2010년 설립됐다. 알엔에프는 2009년 설립돼 축산물 생산∙판매 및 유통, 농산물 유통∙가공∙판매 등이 주요 사업이다. 기업의 매출규모∙이익 등을 고려해 대한제당㈜, TS푸드앤시스템을 평가대상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