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1
" 종합식품"으로 검색하여,
5 건의 기사가 검색 되었습니다.
-
▲ 동원그룹 CI [출처=동원그룹]동원그룹(회장 김남정)에 따르면 사업 지주사 동원산업(대표이사 이명우 부회장, 문 세오 파크)이 2024년 연결 재무제표 기준 영업이익이 5039억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8.4% 증가한 것으로 잠정 집계됐.같은 기간 매출액은 8조9464억 원으로 전년 대비 0.02% 감소해 전년 수준을 유지했다. 이는 식품·급식·조미를 아우르는 종합식품 계열사 동원F&B의 안정적인 성장이 주요인으로 분석된다.또핮 포장·소재 계열사 동원시스템즈의 수출 확대 전략으로 영업이익이 크게 증가했다. 다만 어가 하락과 부동산 경기 침체의 영향을 받은 수산·건설 부문의 부진으로 매출액은 소폭 감소했다.2024년 실적은 식품 계열사인 동원F&B가 이끌었다. 자회사인 동원홈푸드가 단체 급식 및 조미 사업에서 높은 성장세를 보이며 실적 향상에 크게 기여했다.동원F&B는 참치액·명절 선물세트·가정간편식(HMR) 등 전략 품목이 안정적으로 확대됐다. 연결 기준 동원F&B의 2024년 매출액과 영업이익은 4조4836억 원과 1835억 원으로 각각 2.8%, 10.0% 증가했다.포장·소재 계열사인 동원시스템즈도 연포장, 캔 등 주요 포장재 사업이 실적 개선을 이끌었다. 특히 펫푸드·레토르트 파우치, 식품 캔 등 고부가가치 제품 중심의 수출에 힘입어 영업이익이 두 자릿수 이상 성장했다.연결 기준 2024년 매출액은 4.5% 증가한 1조3343억원, 영업이익은 13.7% 증가한 919억원을 기록했다.동원산업의 별도 기준 2024년 매출액은 전년 대비 1.0% 감소한 1조794억원, 영업이익은 1.4% 증가한 1286억원을 기록했다.어획 호조로 생산량이 증가했으나 어가 하락으로 전체 매출액이 소폭 감소한 까닭이다. 다만 유통 영업 부문이 온라인 경로에서 지속 성장하며 영업이익이 개선됐다.한편 연결 기준 동원산
-
▲ ‘2024 제주올레걷기축제’에 참가한 하림 부스 현장[출처=하림]종합식품기업 하림(회장 김홍국, 대표이사 정호석)에 따르면 2024년 11월7일~9일 사흘간 개최되는 '2024 제주올레걷기축제'에 참석했다. 지역 주민과 함께 올레꾼에게 별미 닭고기 요리를 선보이고 판매수익을 전액 지역사회에 기부했다.하림은 코로나19 팬데믹(대유행) 이전에도 제주올레걷기축제에 참여했다. 4년만에 대면으로 전환한 2023년에도 현장에서 ‘닭한마리 칼국수’와 ‘국물닭떡볶이’를 판매하고 수익금을 기부한 바 있다.벌써 14회째를 맞이한 ‘제주올레걷기축제’는 2024년에도 1일 한 코스씩 제주올레 길을 걸으며 제주의 자연을 더 가까이 누리고 다양한 문화 예술 공연과 지역 먹거리도 즐기려는 참가자들로 북적였다.특히 ‘2024 제주올레걷기축제’에서 지역 주민과 함께 직화 닭고기 제품을 활용한 메뉴도 선보였다. 제주 서쪽 지역에서 진행된 이번 제주올레걷기축제에서 하림은 축제 둘째 날인 8일부터 올레꾼을 맞이했다.2024년에는 화끈한 불맛이 특징인 닭고기 특수부위 제품 ‘직화 무뼈닭발’과 ‘직화 닭목살 매콤한맛’을 활용한 안주 메뉴를 내놓아 눈길을 끌었다.먼저 11월8일 올레 15-B코스(역방향)의 종점인 한림항에서 제주올레아카데미 총동문회와 함께 제주 지역에서 생산된 채소를 넣고 매콤하게 볶은 ‘무뼈 닭발볶음’과 ‘닭목살볶음’을 선보였다.축제 마지막 날인 11월9일에는 16코스(정방향) 종점 항파두리 항몽유적지에서 광령2리 부녀회와 함께 제주산 마늘을 넣어 더 알싸하고 맛있는 ‘마농 닭발’, ‘마농 닭목살’을 판매했다. ‘마농’은 마늘을 가리키는 제주 방언이다.현장에서 진행한 이벤트도 올레꾼의 발길을 붙잡았다. 하림몰 상품권과 실용적인 굿
-
2022-01-09미국 파인 캐쥬얼 다이닝 브랜드인 쉐이크 쉑(Shake Shack)에 따르면 2023년에 말레이시아 지점을 오픈할 계획이다. 2023년부터 2031년까지 총 10개 지점을 오픈할 예정이다. 브랜드 진출에 한국의 종합식품기업인 SPC 그룹(SPC Group)과 협업한다. 양사는 지난 5년간 한국과 싱가포르 양국에 총 28개 지점을 열었다. 말레이시아는 아시아 6번째 진출국이다. 2031년까지 한국, 싱가포르, 말레이시아 등에서 총 지점 45개 이상 운영하는 것을 목표로 정했다. ▲쉐이크 쉑(Shake Shack) 홈페이지
-
2013-07-22대상그룹(이하 대상)은 창업주 임대홍 회장이 1956년 설립한 동아화성공업이 모태로 국내의 대표적인 식품제조기업이다. 대상은 미원이라는 조미료로 국내 조미료 시장에서 확고한 지위를 굳혔으며 삼성그룹조차도 미원의 아성을 넘지 못했다.창업주의 아들 임창욱 명예회장이 그룹을 총 지휘하고, 부인 박현주 씨(금호아시아나 박삼구 회장의 동생)가 대상홀딩스 부회장을 맡고 있다. 장녀인 임세령은 삼성그룹 이재용 부회장과 이혼한 후 대상그룹 상무로, 차녀 임상민씨는 전략기획본부로 복귀하면서 3세 경영이 본격화되고 있다.종합식품그룹으로 출발했으나 현재 농산물 유통, 축산물 가공, 건설, 정보기술, 금융, 종합광고업 등으로 사업영역을 다각화하고 있다. ◇ 대상의 주요 계열사와 평가대상 기업대상은 국내 29개, 해외 18개 총 47개의 계열사를 가지고 있으며, 주요계열사는 표1와 같이 지주회사, 식품/유통, 건설/투자, IT/광고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표1. 대상의 주요 계열사와 평가대상]지주회사부문 계열사는 대상홀딩스이다. 대상홀딩스는 대상㈜의 투자부문을 인적 분할하여 2005년 설립한 순수지주회사다. 직원의 규모나 매출이 아주 미미하고, 실질적인 지주회사의 역할만 하고 있어 평가대상으로는 부적절해서 제외했다.식품/유통부문 계열사는 대상㈜, 대상에프앤에프, 복음자리, 대상베스트코, 초록마을, 마그로닉스 등이다. 대상㈜는 1956년 설립된 동아화성공업이 모태로 1962년 미원으로 변경, 1997년 미원과 세원을 합병해 현재의 상호로 변경했다. 주요사업은 미원류, 장류, 조미료류, 농수산류, 서구식품류, 육가공류, 냉동식품류, 건강식품류 등 식품제조업과 전분류, 당류, 바이오류 등 소재사업이다.대상에프앤에프는 2006년 두산의 식품사업을 인수하여 설립했으며, 김치 등 식품가공 및 도소매업을 한다. 주요 브랜드는 종가집이다. 복음자리는 1981년에 만들어졌지만 1996년에 법인으로 전환되어 2009년 계열사로 편입되었다. 주요사업은 과일잼 및 과실차
-
1958년 설립된 일동산업은 제일유지화학, 삼강유지화학, 삼정산업을 거쳐 1967년 삼강산업으로 상호가 바뀌었다. 롯데는 1977년 삼강산업을 인수해 1978년 롯데삼강으로 개칭했다.삼강산업은 아이스크림뿐만 아니라 1960년 국내 최초로 마아가린을 생산해 판매했다. 비록 롯데가 기존업체를 인수한 이후에 별다른 혁신을 하지 않았지만 역사적으로 보면 롯데삼강이 국내 아이스크림시장을 선도해왔다고 볼 수 있다. 2008년 롯데가 '2018 아시아 톱10'의 비전을 발표했을 때, 롯데삼강은 2018년까지 매출 2조 5,000억 원의 ‘국내 톱10 식품 회사’를 만들겠다는 장기 계획을 밝혔다. 종합식품회사로서 안정적인 성장기반을 구축하고 수익성을 확보하기 위해 2003년부터 커피, 면, 신선야채사업을 시작했고 이어 롯데의 식품관련 계열사를 인수∙합병하면서 덩치를 키우고 있다.롯데삼강의 사업(business)의 시장(market)과 제품(product) 관점에서 기업문화를 진단해 보자.◇ 아이스크림에서 종합식품유통회사로&nbs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