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2
" 지분 보유"으로 검색하여,
12 건의 기사가 검색 되었습니다.
-
▲ 한화그룹 로고 [출처=한화그룹]한화그룹(회장 김승연)에 따르면 2025년 6월6일(금) 미국 정부로부터 오스트레일리아 오스탈(Austal) 지분을 최대 100퍼센트(%)까지 보유할 수 있는 승인을 받았다.한화는 2025년 3월 장외거래를 통해 오스탈 지분 9.9%를 인수했다. 동시에 19.9%까지 지분을 확대하기 위해 오스트레일리아와 미국 정부 승인을 신청한 바 있다.오스탈은 오스트레일리아에 본사를 둔 글로벌 해양 방산회사로 미국 앨라배마주 모바일과 샌디에이고 등에서 조선업을 경영하고 있다.한화는 미국 외국인투자심의위원회(CFIUS, Committee on Foreign Investment in the United States: 외국인의 투자 및 인수합병이 미국의 국가안보에 미치는 영향을 심사하는 핵심 기관)에 오스탈 지분 19.9% 인수에 대한 승인을 신청했다.CFIUS는 ‘해결되지 않은 국가안보 우려가 없다’며 최대 100%까지 지분 확대를 허용했다. 이번 승인은 한화의 기술력과 실행 역량은 물론 글로벌 파트너십에 대한 미국 정부의 신뢰를 반영한 결과로 평가된다.한화는 조선 사업 역량을 오스탈의 글로벌 사업에 접목시켜 양사의 경쟁력을 함께 끌어올릴 계획이다. 미국과 오스트레일리아의 방산 시장에서 공동 사업 확대도 적극 추진할 예정이다.현재 한화는 오스트레일리아 외국투자심사위원회(FIRB, Foreign Investment Review Board)에 오스탈 지분 19.9% 인수에 대한 승인을 신청하고 그 결과를 기다리고 있다.한화글로벌디펜스 마이클 쿨터(Michael Coulter) 대표는 “이번 승인은 한화가 미국 정부로부터 신뢰와 지지를 받고 있음을 상징하는 중요한 이정표다”며 “미국과 동맹국과의 협업 과정에서 쌓아온 기술력, 납기 준수 능력, 예산 관리 역량 등을 종합적으로 인정받은 결과다”고 말했다.이어 쿨터 대표는 “한국 조선 기술과 운영 시스템이 미국 방산 산업과 결합하
-
▲ 삼성, 플랙트그룹 로고 [출처=삼성전자]삼성전자(회장 이재용)에 따르면 2025년 5월14일(수) 영국계 사모펀드 트라이튼(Triton)이 보유한 플랙트 지분 100%를 15억 유로에 인수하는 계약을 체결했다.삼성전자가 인수한 플랙트그룹(FläktGroup, 이하 플랙트)은 독일 기업으로 유럽 최대 공조기기 업체다. 고성장 중인 글로벌 공조 시장에 본격 진출을 위한 발판을 마련했다.◇ 플랙트, AI 시대 데이터센터 공조 시장 중심 고성장플랙트는 100년 이상 축적된 기술력을 가진 공조기기 업체로 가혹한 기후 조건에서도 최소한의 에너지로 깨끗하고 쾌적한 공기 질을 구축하고자 하는 프리미엄 공조 기업이다.플랙트는 고객별 니즈에 맞춘 제품과 솔루션을 공급할 수 있는 라인업과 설계 역량을 보유하고 있다.그동안 △안정적 냉방이 필수인 대형 데이터센터 △민감한 고서·유물을 관리하는 박물관, 도서관 △유동 인구가 많은 공항, 터미널 △항균·항온·항습이 중요한 대형 병원 등 다양한 시설에 고품질·고효율 공조 설비를 공급해 왔다.특히 글로벌 대형 데이터센터 공조 시장에서 뛰어난 제품 성능과 안정성, 신뢰도 있는 서비스 지원 등으로 높은 고객 만족도를 확보하며 빠른 성장세를 지속해 오고 있다.플랙트의 데이터센터 솔루션은 에너지 절감을 통해 저탄소/친환경 목표 달성이 중요한 초대형 데이터센터 고객들에게 큰 호응을 받고 있다.냉각액을 순환시켜 서버를 냉각하는 액체 냉각 방식인 '냉각수 분배장치(Coolant Distribution Unit, CDU)'에서도 업계 최고 수준의 냉각 용량, 냉각 효율의 제품군을 확보하고 있다.플랙트는 2024년 ‘데이터센터 업계 오스카상’이라고 불리는 DCS Awards 2024에서 혁신상(DATA Center Cooling Innovation of the Year Award)을 수상하며, 차별화된 기술력을 인정받았다.플랙트는 데이터센터 외에
-
엘리베이터와 자동차, 타이어, 교량, 피아노 등 경강선재 제품은 일상생활 속 다양한 산업 분야에 활용되는 소재다. 1945년 홍종렬 회장이 부산에서 창업한 고려제강은 특수 경강선재 제품을 80개 국가에 수출한다. 매출 중 수출 비중은 80% 이상이며 미국으로 가는 제품이 30%대에 달한다.미국 정부는 인프라 투자 일자리법(IIJA)에 따라 2024년 인프라시설 프로젝트에 US$ 610억 달러를 할당했다. 북미 지역의 와이어로프 시장은 안전 품질에 집중해 규정이 엄중하다. 기술적 향상과 인프라시설 개발로 와이어로프 시장도 점진적으로 성장할 것으로 기대된다.고려제강의 ESG(환경·사회·지배구조) 경영 현황을 진단하기 위해 홈페이지, 국가정보전략연구소(국정연) 데이터베이스(DB), 국정감사·감사원·사법기관 자료, 각종 제보 등을 참조했다.글로벌 스탠다드를 지향하며 개발된 ‘팔기(八旗)생태계(8-Flag Ecosystem)’ 모델을 적용해 고려제강의 ESG 경영 현황을 진단해 봤다.▲ 고려제강의 ‘팔기(八旗)생태계(8-Flag Ecosystem)’ 모델 평가 결과 [출처=iNIS]◇ 오너일가 지분 보유율 높은 계열사 배당성향 최대 88%... 2023년 영업이익 563억 원고려제강은 4대 지속가능경영 목표를 △윤리경영 및 노동기준 정립 △안전한 작업환경 조성 △문화 및 지역사회 공헌 △환경보호로 정했다.5대 핵심가치인 △합리적인 비즈니스 전략 △경쟁력 있는 제품 △세계화 및 현지화 전략 △연구 개발 △협력적 노무 관계를 기초로 모든 계열사에 적용하고 있다.홈페이지를 확인한 결과 ESG 헌장과 경영원칙 등을 찾을 수 없었다. 지속가능 경영의 일환으로 환경정책, 윤리정책, 인권정책을 수립했다. 공정무역과 협력사와 상호존중 및 동등한 관계유지를 목적으로 지속가능 구매 정책과 분쟁광물 정책을 공개했다.2023년 2월 고려제강 3세가 재벌가 마약 사건에 연루되며 오너 리스크가 발생했다. 마약류관리법 위반(
-
2021-11-30영국 에너지 기업인 비보 에너지(Vivo Energy)에 따르면 비톨(Vitol)로부터 현금 US$ 23억달러를 받고 매각하기로 합의했다. 비톨은 스위스 제네바에 본사를 두고 있는 네덜란드 에너지 및 상품 무역기업이다. 비톨은 비보 에너지의 지분 36%를 보유하고 있었다. 2021년 11월 말 종가 대비 25%의 프리미엄인 1주당 1.85달러를 현금으로 지급할 예정이다.2011년 설립된 비보 에너지는 쉘(Shell)로부터 2400개의 주유소 서비스 네트워크를 통해 아프리카 전역의 23개 시장에서 연료 및 윤활유 제품을 판매할 수 있는 라이선스를 받았다.2020년 비보 에너지의 세전이익은 1억7500만달러로 집계됐다. 코로나-19 사태 속에서도 아프리카 대륙에서 비보 에너지가 자사의 사업 모델 강점을 입증한 것으로 비톨은 평가한다.향후 아프리카 대륙에서 비보 에너지가 선도적인 위치를 유지하며 계속해서 사업 기회를 확대할 것으로 분석된다. ▲비톨(Vitol) 홈페이지
-
싱가포르 해양서비스업체 발리안즈(Vallianz)에 따르면 2016년 4분기 순이익은 US$ 310만달러로 집계됐다. 지난해 동기에 비해 35.4% 감소됐다.실적 감소의 주요인은 크게 2가지로 ▲대주주인 동종계 Swiber의 부채확대 및 법정관리 ▲라틴아메리카 선박관리 프로젝트 매출액 감소 등이 있다.특히 당사의 지분 25%를 보유한 Swiber의 부실경영은 회계연도 내내 실적 하락의 주범으로 꼽혔다. 다만 중동지역 해양지원선박에 대한 용선계약을 체결해 미래가치는 보유한 상태다.참고로 2016년 연간 순이익은 1560만 달러로 전년도에 비해 22.7% 감소됐으며 동기간 매출액도 10.1% 줄어들었다.발리안즈(Vallianz)는 실적회복을 위해 중동시장에 초점을 맞출 것으로 전망된다.
-
홍콩 스마트폰 제조기업 쿠파이그룹(酷派集團, Cool Pad)에 따르면 2016년 1~6월 영업수입은 $HK 52억7700만달러로 전년 동기 대비 39.9% 하락했다.동기간 중국 스마트폰 시장은 중국 업체들의 저가경쟁이 치열하게 전개됐으며 쿠파이그룹의 이익은 큰폭으로 하락했다. 그 결과 순이익이 전년 동기 28억3700만달러 흑자에서 20억5300만달러 적자로 전환됐다.2016년 6월 중국 러스왕(樂視網)이 데이터드림랜드가 보유한 쿠파이그룹의 지분을 인수해 최대 주주로 등극했다. 2015년 1월 본격적으로 스마트폰 시장에 진출한 이후 연간 판매량 증대를 위해 쿠파이그룹의 지분을 확대했다.러스왕(樂視網)은 중국에서 인터넷 동영상 및 스마트가전사업을 전개하고 있으며 쿠파이그룹 인수를 통해 스마트폰 시장점유율을 확대해 나간다는 전략이다. 따라서 쿠파이 그룹의 하반기 매출 및 순이익이 늘어날 것으로 전망된다.▲ Hongkong_Coolpad_Homepage▲쿠파이그룹(酷派集團, Cool Pad) 홈페이지
-
싱가포르 해양건설업체 셈코프마린(Sembcorp Marine)에 따르면 2016년 8월 해양굴착업체 PPL Shipyard의 지분 15%를 인수하기로 결정했다.제시된 인수금액은 S$ 1.55억달러이며 해당업체의 인수를 통해 해양장비 및 선박의 설계, 건조, 건설, 수리까지 당사의 핵심사업을 더욱 체계화할 계획이다.현재 셈코프마린은 인수대상업체의 지분 85%를 보유하고 있으며 이번 인수전이 완료되면 100% 소유하게 된다.
-
2016-06-14오스트레일리아 글로벌 광산대기업인 리오틴토(Rio Tinto)의 자료에 따르면 몽고 남부지역의 대규모 광산지분을 갖고 있는 Turquoise Hill Resources의 지분을 인수할 것으로 전망된다.Turquoise Hill Resources는 Oyu Tolgoi프로젝트의 지분 66%를 보유하고 있으며 리오틴토는 60억달러를 투자할 것으로 예상된다.
-
필리핀 2위 소매유통업체인 Robinsons Retail은 1800개의 점포를 보유하고 있는 약국체인점 Generics Pharmacy의 지분 51%를 취득했다고 밝혔다. 더 많은 점포를 개설해 국민들에게 저렴한 가격에 의약품을 공급하기 위한 목적이다.
-
[일본] 국제석유개발제석(INPEX), 2016년 4월 인도네시아 정부로부터 액화천연가스(LNG) 생산기지를 해상에서 육상으로 변경하라는 통지 수령...동부연안에 위치한 ‘마세라광구’프로젝트로 65% 지분보유해 운영할 예정이었으나 투자자금확대될 경우 사업중지할 것으로 예상
1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