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1
" 진압"으로 검색하여,
7 건의 기사가 검색 되었습니다.
-
2024-07-29▲ 고스트로보틱스 본사 전경[출처=LIG넥스원]변화와 혁신으로 미래를 디자인하는 글로벌 기술 기업 LIG넥스원(대표이사 신익현)은 2024년 7월29일 미국 ‘고스트로보틱스(Ghost Robotics Corp., CEO Gavin Kenneally)’의 총지분 중 60%를 인수했다고 공시했다.고스트로보틱스의 총지분 가치는 5540억 원(US$ 4억 달러 상당) 가운데 약 3320억 원(약 2억4000만 달러 상당)에 해당하는 지분을 확보했다.한국투자프라이빗에쿼티(한국투자PE)와 함께 지분을 확보했다. 미국 현지 시간으로 2024년 7월26일(금) 외국인투자심의위원회(CFIUS) 투자 승인을 비롯한 모든 투자 절차를 마무리했다.고스트로보틱스는 미국의 대표적인 사족보행로봇 전문기업이다. LIG넥스원은 기업인수목적기업 LNGR LLC를 설립해 고스트로보틱스 인수를 추진했다.LIG넥스원은 미국 워싱턴 DC에 Collaboration Center를 연내 설립할 예정다. 본격적으로 국내외 로봇 시장 진출을 준비하기 위한 목적이다.고스트로보틱스 인수는 대한민국 군이 추진 중인 유무인복합전투체계는 물론 탐색/구조, 화재감시/진압, 장애인 안내 등 다양한 분야에서 새로운 혁신을 주도하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고스트로보틱스는 2015년 미국 필라델피아에 설립된 전 세계적으로 독보적인 기술역량을 인정받고 있는 사족보행로봇 전문기업이다.고스트로보틱스의 대표적인 제품 ‘비전60’은 경쟁사 대비 긴 배터리 지속 시간을 자랑한다. 자갈밭, 언덕 등 평탄하지 않은 지형에서도 민첩하고 자연스럽게 움직일 수 있을 뿐 아니라 물에서도 빠른 이동이 가능하다.임무 유형별로 최적화된 장비를 탑재할 수 있고 손상된 부품에 대한 신속한 복구와 수리가 가능하도록 부위별 분리가 가능한 ‘모듈형 설계’를 적용했다.고스트로보틱스는 독보적인 자체 기술력을 바탕으로 미국, 영국, 일본 등 세계 각지에 수출 성과와 글로벌 네트워크를 보유하고 있어 향후 성장 잠재력도 매우 높은 것으로 평가받고 있다.LIG넥스원 신익현 대표는 “LIG넥스원과 고스트로보틱스는 각자의 사업분야에서 최고 수준의 연구인력과 인프라를 보유한 ‘R&D 중심기업’이라는 공통점을 갖고 있다. 이번 인수로 양사가 보유한 최첨단 기술을 융합해 국방-민수 분야를 아우르는 시너지를 창출하는 한편 글로벌 시장에서 새롭고 독보적인 성장기회를 만들어 나가겠다”고 전했다.
-
2021-07-07터키 산림청(General Directorate of Forestry)에 따르면 2021년 6월부터 산불 화재 감시용 드론이 산림지역 곳곳을 정찰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산림청에서 투입하고 있는 드론은 터키 우주항공업체 TAI(Turkish Aerospace Industries)에서 제작한 AKSUNGUR UAV이다. 군에서 사용되는 정찰 및 공격용 드론이지만 산림청은 안전감시 용도로 활용하고 있다.AKSUNGUR UAV는 적재 용량만 750kg에 달하기 때문에 추후 정찰 외에 화재 진압 및 운송용으로 임무 전환이 용이하다. 최대 비행시간은 49시간으로 주야간 24시간 드론을 운영할 수 있다.현재 산림청은 중단없이 계속 드론을 운영하며 화재 감시 임무를 수행하고 있다. 추후 화재 감지 및 진압용으로써 새로운 드론을 개발하거나 기존 모델을 개조하기 위한 데이터도 수집하려는 목적이다.산림청은 열감지 센서 및 인공지능(AI) 등을 접목해 화재 현장 평가부터 경보까지 다양한 기술을 적용할 방침이다. 이제는 군용 드론까지 투입시키며 민간과의 드론 산업을 연계시키고 있다.참고로 터키의 전체 토지면적 중 약 29%는 산림으로 덮여 있다. 지난 10년간 연평균 2209건의 크고 작은 산불이 발생했으며, 7330헥타르 상당의 산림이 훼손됐다.▲2019년 이스탄불 국제방위산업박람회에 전시된 AKSUNGUR UAV(출처 : wikipedia)
-
2021-07-05미국 몬태나주립대(University of Montana)에 따르면 화재 진압을 보조하고 산불을 예측할 수 있는 소방용 드론을 개발하고 있다. 추후 드론으로 지역 소방청을 지원할 계획이다.현재 몬태나주립대에서 개발 중인 소방용 드론은 온도, 습도, 풍속, 풍향 등을 측정할 수 있는 장비를 탑재하고 있다. 수집된 데이터는 모두 실시간으로 통제 센터에 전송된다.드론으로 수집한 데이터로 화재 규모를 파악허며, 화재 발생을 예측하는 용도로도 활용될 수 있다. 가스 감지 센서나 적외선 카메라도 장착돼 있으며 관련 데이터까지 포함하면 활용 범위는 더욱 늘어난다.몬태나주 일부 소방서는 화재로 발생되는 독성 가스를 감지하기 위해, 또는 화재 규모를 측정하기 위해 드론을 투입한 바 있다. 화재를 진압하기 전 유용한 정보를 인지할 수 있다는 긍정적인 피드백을 받았다.반면 다른 소방서에서는 드론의 투입이 오히려 화재 진압에 방해가 됐다는 의견을 제기했다. 진압 작전을 하는 데 시야를 가리는 등 발화 지연제를 뿌리는 데 어려움을 겪었기 때문이다.연구팀은 이러한 현상에 대해 ‘고도 제한’에 따른 비행 규칙이 주요인이라고 지목했다. 400피트(약 122미터) 미만의 고도 제한은 드론의 운영 범위를 극도로 제한한다.소방용 드론처럼 관찰이 주된 임무는 높은 고도일수록 수집할 수 있는 데이터가 더 많다. 대형 화재나 산불이 발생했을 때 400피트 이상으로 비행해야 하며, 그래야 주변의 특정 임무도 방해하지 않는다.몬태나주립대 연구진은 2021년 10월 산불이 자주 발생하는 오리건주로 이동해 소방용 드론을 테스트할 예정이다. 다양한 화재 현장에 대한 데이터 수집도 진행할 계획이다.▲몬태나주립대 드론 연구 홍보자료(출처 : 홈페이지)
-
2021-05-07미국 콜라라도주 덴버시 소방청(DFD)에 따르면 최근 소방업무를 위해 결성한 ‘드론 방재 운영팀(Fire Drone Team)’이 활동 중인 것으로 나타났다.드론 방재 운영팀은 5년 전 화재 현장의 신속한 파악과 조기진압을 목적으로 그 필요성이 제기됐다. 이후 수년간의 드론 연구개발와 조종훈련을 거쳐 긴급대응팀을 편성했다.지난 4월 8일, 덴버시 휘티어 마을의 한 교회에서 화재가 발생했다. 이때 드론 운영팀에서 관측용 드론을 띄워 진압팀보다 빠르게 현장을 확인했고 크게 번질 수 있는 화재를 막았다.소방용 드론의 이점에는 ▲출동 인력보다 빠른 현장 도착 ▲화재 조기식별로 추가 화재예방 ▲소방대원 인명피해 감소 등이 있다.현재 드론 방재 운영팀은 총 12명으로 구성돼 있으며 이중 5명은 연방항공청(FAA)으로부터 인증을 받은 조종사다. 장비는 드론 3기와 컨트롤박스를 탑재한 지휘소 차량 1대를 갖추고 있다.Greg Pixley 드론 방재 운영팀장은 “소방용 드론의 수요는 점점 증가하고 있다”면서 “추후 팀원을 늘려 긴급대응에 더욱 효율적으로 대처할 것이다”라고 밝혔다.▲2020년 8월 콜로라도주 그리즐릭크릭 산불 화재현장을 드론으로 촬영한 적외선 이미지(출처 : 콜로라도 국토관리국 홈페이지)
-
2021-04-29이탈리아 제노바대(University of Genoa) 연구팀에 따르면 미래의 소방업무는 군집 드론(drone swarms)이 담당하게 될 것으로 전망된다.최근 몇 년간 기후변화와 무분별한 환경파괴로 인해 야생지나 황무지의 대형 화재사고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산간 지역이나 외딴 곳에 화재가 발생할 경우 소방 인력과 설비가 현장까지 이동해 진압 작전을 수행하는 것은 결코 쉬운 일이 아니다.산불이 발생하면 몇주에서 몇개월까지 화재가 유지되면서 진압에 어려움을 겪는 것은 그만큼 환경적, 물리적 요소가 열악하다는 방증이다.▲산불화재 발생 시 군집 드론의 운영 시뮬레이션(출처 : DroneMasters 홈페이지)연구팀은 이러한 화재 현장에 군집 드론을 활용할 경우 기존 진압 방식보다 더욱 빠른 현장 투입과 감시, 소화액 분사가 가능하다고 주장한다. 군집 드론의 특징은 기체별로 각기 다른 임무를 수행하면서도 그리드 네트워크에 연결돼 통합시스템으로 유연하게 제어할 수 있다는 점이다.또한 기체당 5~50kg 상당의 페이로드를 운반할 수 있어 군집이 커질수록 많은 양의 소화액을 운반하고 분사할 수 있다. 화재 진압이 수월해지는 이유다.특히 연구팀은 기존 소방 인력과 설비가 화재 현장에 극히 제한적으로 배치되는 데 반해 드론은 상당히 자유롭게 기동한다고 강조했다.다만 군집 드론을 운용하는 데 몇가지 기술적 과제는 남아 있다. 장시간 작전 수행을 위한 배터리 자동 충전 및 교체, 소화액 급유 인프라 등이 그것이다.국내 드론학을 집대성해 '드론학개론'을 집필한 민진규 국가정보전략연구소장은 “소방용 군집 드론의 출현은 당연한 미래의 일”이고 주장하며 “기술적 미비점을 보완하기 위해 다방면 전문가와 협업이 필요할 것”이라고 밝혔다.참고로 제노바대 연구팀은 2018년부터 수학, 건축학, 계측학, 드론 제작, 자동화 기술 등 다양한 분야의 학자가 모여 군집 드론을 연구하고 있다.▲통합 통신시스템으로 연결된 드론의 가상 이미지(출처 : 스위스로잔연방공과대학 홈페이지)
-
2020-10-21미국 기술기업인 엘쓰리해리스테크놀로지(L3Harris Technology)에 따르면 캘리포니아 산불을 진압하기 위해 드론을 지원하기 시작했다.이를 위해 이 회사는 수직으로 이착륙할 수 있는 고급 FVR-90 드론 및 센서 기술을 제공할 계획이다. 드론은 15시간 동안 논스톱으로 비행할 수 있으며 20 파운드의 센서를 운반할 수 있다.기존 항공기가 착륙하기 어려운 지역에 착륙할 수 있다. 특히 화재를 피해 높은 고도에서 안전하게 비행하고 실시간 시각 및 열 이미지를 지휘 센터로 전송한다.이미지는 중요한 상황 인식을 제공하여 화재 추세를 더 잘 파악할 수 있도록 돕는다. 이를 통해 가장 안전한 방법으로 구조 대원을 지상에 배치할 수 있다.이와 같이 드론은 화재와 같은 다양한 재난이나 안전사고 예방, 진압 및 복구에 더욱더 많이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USA-L3HarrisTechnology-Drone▲ 엘쓰리해리스테크놀로지(L3Harris Technology)의 홍보자료
-
2019-04-22프랑스 로봇제조업체인 샤크로봇틱스(Shark Robotics)에 따르면 지난 2019년 4월 15일 발생한 노트르담대성당(Notre-Dame de Paris)의 화재진압에 로봇을 이용했다.콜로서스(Colossus)로 명명된 로봇은 방수, 내화 및 열 방사에 강한 1,100 파운드의 무게를 갖고 있다. 1분당 660 갤런 이상의 물을 뿜어내는 물 캐논(water canon)을 비롯한 다양한 도구를 로봇에 장착할 수 있다. 특히 조이스틱을 이용해 로봇에서 최대 1,000 피트 떨어진 곳에서 로봇을 작동할 수 있다. 노트르담대성당의 화재 시에 급상승한 기온으로 인해 지붕이 붕괴 직전에 있을 때 소방관이 직접 불길과 싸우는 것은 위험했다.그러나 프랑스 소방관은 원거리에서 원격으로 로봇을 조종함므로써 안전하게 진화작업을 진행할 수 있었다. 이는 콜로서스와 같은 첨단 기술로봇이 어떻게 도움을 줄 수 있는 지 보여준 놀라운 사례에 해당된다. 상당 기간 동안에는 완전히 자율적인 로봇보다는 소방관을 도울수 있는 보조 로봇의 역할이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정부는 유사한 사례에 대처하기 위해 소방로봇에 대한 개발을 지원할 방침이다.▲ France-SharkRobotics-Robot▲ 샤크로봇틱스(Shark Robotics)의 콜로서스 로봇 홍보자료(출처 : 홈페이지)-----------------------------------------------------------------------When soaring temperatures and a roof on the brink of collapse made it too dangerous for humans to continue battling the Notre Dame blaze on Monday, the Paris Fire Brigade called in a firefighting robot named Colossus — a stunning demonstration of how high-tech robots are helping emergency responders stay safe on the job."It was a terrible situation, but it’s really amazing to see them put that robot to work and protect firefighters," Michael Howe, president of a company that manufactures another type of firefighting robot, told Popular Mechanics, later adding that the tech is "100 percent the future."French robotics manufacturer Shark Robotics created the 1,100-pound Colossus robot, which is waterproof, fireproof, and resistant to thermal radiation.Firefighters can equip the robot with a variety of tools, including the water canon that the French firefighters used to blast the Notre Dame fire with more than 660 gallons of water per minute. It’s operated via a joystick, which can function up to 1,000 feet away from the robot.Despite Colossus’ advantages over human firefighters, Shark Robotics’ co-founder Cyril Kabbara doesn’t envision the bot ever operating fully autonomously."This is a robot that is designed to remove humans from danger," Kabbara told The Washington Post. "Not to replace (humans) but to act as operational support for firefighters."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