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1
" 최종이익"으로 검색하여,
7 건의 기사가 검색 되었습니다.
-
▲ 일본 종합상사인 미츠이물산(三井物産) 임직원 [출처=홈페이지]일본 종합상사인 미츠이물산(三井物産)에 따르면 2023년 회계연도 최종 이익은 1조636억 엔으로 전년 대비 5.9% 감소한 것으로 집계됐다. 2023년 회계연도는 2023년 4월부터 2024년 3월까지다.자산 매각과 더불어 역사상 최저로 하락한 엔화 가치로 최악의 실적은 면했다. 2000년 3월기 이후 24년 만에 무역회사 중 실적 1위를 기록했다.경쟁사인 미츠비시상사의 최종 이익은 9500억 엔으로 전년 대비 1.5% 감소했다. 제철 사업에 사용되는 원료탄 등의 시장 가격이 하락한 것도 주요인으로 분석된다.화력발전소에 사용되는 연료탄 가격은 2023년 상반기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등으로 공급이 제한되면서 가격이 치솟았다가 동년 하반기에 완화됐다.스미토모상사의 최종 이익은 3863억 엔으로 전년 대비 31.7% 대폭 줄어들었다. 마다가스카르의 니켈 사업 등에서 총 1500억 엔의 손상차손을 계상했기 때문이다.종합상사들은 기존의 자원 중심의 사업을 자동차 수출 및 판매, 신재생에너지, 섬유, 식량 등으로 재편하고 있다. 엔화 가치의 하락도 긍정적인 요인이다.
-
▲ 일본 전력회사인 간사이전력(関西電力)의 발전소 전경 [출처=홈페이지]일본 전력회사인 간사이전력(関西電力)에 따르면 2023년 연결 매출액은 4조593억 엔으로 전년 대비 2.7% 증가한 것으로 집계됐다.203년 연결이익은 7289억 엔, 최종이익은 4418억 엔을 각각 기록했다. 영업이익은 2022년 적자였는데 대규모 이익을 실현했다.매출액, 영업이익, 최종이익 등은 2017년 이후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다. 원전 7기를 모두 가동해 연료 조달비가 줄어든 것이 주요인으로 분석된다.간사이전력은 2023년 9월 다카하마원자력발전소 2호기를 약 12년 만에 재가동했다. 현재 폐로된 원자로를 제외하고 미하마원자력발전소 3호기, 오이이원전 3·4호기, 다카하마원자력발전소 1~4호기를 모두 가동 중이다.원자력발전소의 가동이 원활해지며 화력발전소에 사용되는 석탄, 석유 등 연료 조달비에 대한 부담이 축소됐다. 엔화의 평가절하에 대한 압박도 해소한 셈이다.참고로 간사이전력은 2024년 연간 매출액은 4조4500억 엔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영업이익은 3300억 엔, 최종 이익은 2600억 엔 등으로 예상한다.
-
2021-10-28일본 여객철도회사인 도카이여객철도(JR東海)에 따르면 2022년 3월기 최종이익 300억엔의 적자를 기록할 것으로 전망된다.기존 예상치는 150억엔의 흑자였지만 전자로 전환했다. 이번에 적자가 발생하면 2기 연속으로 적자가 실현되는 셈이다.2022년 3월기 매출액은 1조80억엔으로 기존 예상보다 1070억엔이 하향조정됐다. 2021년 4~9월기 매출액은 3869억엔으로 전년 동기 대비 14.5% 확대됐다.운수수입은 전년 동기 대비 상승했지만 코로나19 이전과 비교하면 40% 축소됐다. 2021년 4~9월기 최종이익은 444억엔의 적자를 기록했다. 2022년 1~3월 분기 매출액은 코로나19 이전의 80% 정도 회복할 것으로 예상된다. 백신의 접종으로 관광산업과 비지니스 여행이 점차 회복될 것으로 전망된다.▲JR도카이(JR東海) 로고
-
2021-04-13일본 백화점인 다카시마야(高島屋)에 따르면 2021년 2월 분기 연결결산 최종이익은 339억엔의 적자로 집계됐다. 전분기의 160억엔 흑자 기록과 대비된다. 최종적자를 기록한 것은 17년만이다. 중국발 코로나 19 팬데믹의 영향으로 계속된 임시 휴업의 영향이 컸던 것으로 조사됐다. 매출의 영업이익은 6808억엔으로 전분기와 대비해 25.9% 감소됐다. 매출의 큰 부분을 지탱하는 해외 관광객들의 방문도 거의 없었다. ▲다카시마야(高島屋) 빌딩(출처 : 홈페이지)
-
2021-02-16일본 글로벌 광고회사인 덴츠그룹(電通グループ)에 따르면 2020 회계연도 4분기 연결결산 최종이익은 1595억엔의 적자를 기록했다. 2019 회계연도 동기간 808억엔 적자에 비해 대폭 확대됐다.적자 폭으로 보면 과거 최고 기록인 것으로 조사됐다. 2020 회계연도 4분기 매출은 9392억엔으로 2019 회계연도 동기간 대비 10.4% 감소됐다.중국발 코로나-19 팬데믹의 영향으로 해외 사업 브랜드 가치가 하향됐기 때문이다. 팬데믹이 장기화되면서 유럽 등의 해외 광고 사업과 더불어 국내 사업도 부진했다.▲덴츠그룹(電通グループ) 로고
-
일본 섬유 기업인 테이진(帝人)에 따르면 2020 회계연도 4분기 연결결산실적 예측에서 최종이익은 100억엔의 적자로 전망된다. 2020 회계연도 3분기 최종이익은 252억엔의 흑자를 기록했다.2020년 11월 시점 전망치인 250억엔 흑자에서 조정한 것이다. 최종 적자를 기록하는 것은 6분기 만인 것으로 조사됐다.중국발 코로나-19 팬데믹의 영향으로 항공기 수요가 하락하며 탄소 섬유의 판매 침체가 장기화될 것으로 전망되기 때문이다.▲테이진(帝人) 로고
-
일본 닛산자동차(日産自動車)에 따르면 2020년 3월기 연간 순이익이 1100억엔으로 전년 대비 65.5% 감소할 것으로 전망된다.기존 예상 순이익 1700억엔에서 600억엔 줄어들어 2010년 3월기 이후 약 10년만에 최저 수준을 기록할 것으로 예상된다.동기간 예상 매출액은 10조6000억엔으로 기존 예상치 11조3000억엔에서 8.4% 감소가 예상된다. 영업이익은 1500억엔으로 기존 예상액 2300억엔에서 800억엔 줄어들어 약 52.9% 축소될 것으로 전망된다.닛산자동차의 글로벌 자동차 판매 역시 524만대로 기존 대비 약 30만대 줄어들 것으로 예상된다. 북미지역 판매량은 171만대, 중국은 156만대로 기존 예상 판매량 대비 각각 7만5000대, 15만대 감소할 것으로 전망된다.유럽지역 판매량은 57만대, 일본내 판매량은 58만대로 기존 예상 대비 판매량이 3만대 축소될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2019년 4~9월기 연결 결산에서 순이익은 654억엔, 영업이익은 316억엔으로 전년 동기 대비 각각 73.5%, 85% 감소했다. 동기간 매출액 역시 5조30억엔으로 전년 동기 대비 9.6% 축소됐다.글로벌 경기침체 영향으로 자동차 판매량이 급격히 감소한 것이 주요인이다. 닛산자동차는 2019년 12월 경영진을 새로 교체한 후 전반적인 구조조정 방안 등을 검토할 계획이다.▲ Nissan Leaf▲ 닛산자동차(日産自動車) Leaf(출처 : 홈페이지)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