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1
" 카레"으로 검색하여,
10 건의 기사가 검색 되었습니다.
-
▲ ㈜오뚜기, 찍어먹는 후추 ‘페퍼팝 3종’ 출시[출처=오뚜기]㈜오뚜기(대표이사 황성만) 시장 점유율 1위(드림리테일 기준) 제품인 ‘순후추’ 의 풍부한 알싸함에 3가지 맛을 더해 찍어먹을 수 있는 '페퍼팝 3종' 을 선보인다.해당 제품은 ‘페퍼팝 오리지널’, ‘페퍼팝 카레맛’, ‘페퍼팝 마라맛’ 등 총 3종으로 구성됐다. 제품명인 ‘페퍼팝’ 은 알싸한 후추(Pepper)의 매운맛에 더해진 다양한 플레이버가 입속에서 터지는 새롭고 이색적인 즐거움을 표현했다.페퍼팝 오리지널은 톡 쏘는 순후추에 풍성한 감칠맛을 더해 돼지고기, 닭고기 등 육류요리와 크림요리 등과 어울린다.페퍼팝 카레맛은 순후추에 부드럽고 향긋한 카레가 조화를 이뤄 양고기, 해산물 등 특유의 잡내가 있는 재료를 요리할 때 탁월하다.페퍼팝 마라맛은 마라 특유의 알싸한 매콤함이 더해진 제품으로 떡볶이, 중화풍요리 등 매운맛 요리에 활용하기 좋다.오뚜기는 이번 제품을 위해 액상 입자 코팅 기술을 활용했다. 이를 통해 후추 입자에 적정량의 향신료와 조미액을 균일하게 코팅해 후추 개별 입자들의 맛과 향을 극대화했다.▲ ㈜오뚜기, 찍어먹는 후추 페퍼팝 3종[출처=오뚜기]기존 복합 향신료와는 다르게 각각의 향신료 특유의 맛과 향을 보다 프레시하게 맛볼 수 있다. 후추의 알싸함과 어우러지는 서로 다른 3 가지 맛의 페퍼팝을 뿌려 먹고, 찍어 먹는 것으로 요리를 더욱 특별하게 즐길 수 있다.한편 오뚜기는 자사 제품 ‘순후추’ 를 활용한 다양한 제품으로 고객 만족도를 높여왔다. 순후추 떡볶이, 얼큰순후추돼지국밥, 순후추 교자를 비롯해 순후추팝콘등을 출시한 바 있다.오뚜기 관계자는 “다양한 식문화가 선호되며 다채로운 맛과 풍미를 더해주는 향신료에 대한 소비자들의 관심도 높아졌다” 며 “오뚜기만의 노하우로 완성된 페퍼팝 3종을 통해 색다른 미각을 경험해
-
2025-01-09▲ 오뚜기x선미한과, 스프·카레·순후추 3종 한과로 재탄생[출처=오뚜기]㈜오뚜기(대표이사 황성만)에 따르면 강원특별자치도 강릉시 로컬 브랜드 ‘선미한과"와 협업으로 스프 출시 55주년을 기념해 오뚜기 크림스프, 카레, 순후추를 활용한 한과 선물세트와 답례품을 출시한다.우리 고유의 전통 간식인 한과를 55년의 노하우의 오뚜기 제품과 결합해 고객들에게 더욱 이색적이고 신선한 맛 경험을 선사할 예정이다.이번 선물세트는 2025년 55주년을 맞이한 오뚜기 크림스프가 들어가 부드러운 풍미를 즐길 수 있다. 답례품은 크림스프 유과와 찹쌀유과를 포함하고 있다.오뚜기 크림스프 유과와 강황이 듬뿍 담긴 오뚜기카레로 맛을 낸 오뚜기카레 유과, 짙은 풍미의 흑후추를 고운 입자로 갈아 오뚜기 순후추향을 살려낸 오뚜기 순후추 유과에 더불어 찹쌀유과와 약과까지 총 5종으로 구성됐다. 선물세트와 답례품은 2월7일까지 네이버 브랜드스토어를 통해 온라인으로 구매 가능하다. 강릉에 위치한 선미한과 매장에 직접 방문해 구매할 수 있다.선미한과는 옛날 방식 그대로 기본에 충실한 전통 수제한과를 만드는 한과 전문점으로 2001년 창립 이래로 20 년 넘게 고유의 맛을 이어오고 있다.천연 감미료인 조청으로만 버무려 자연 그대로의 단 맛이 특징인 선미한과는 2021년 HACCP 인증을 받기도 했다.오뚜기 관계자는 “올해 오뚜기 스프 출시 55 주년을 맞아, 강릉 장수 로컬 브랜드인 선미한과와 협업해 일상에서 함께 해 온 대표 제품을 부드러운 유과로 맛볼 수 있도록 협업을 기획했다” 며 “스프 55주년을 맞은 뜻깊은 해인 만큼 다채롭고 발전된 제품으로 찾아 뵙겠다”고 전했다.
-
일본 전자대기업인 파나소닉(Panasonic)에 따르면 카레 얼룩을 전문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설정이 포함된 세탁기 모델을 인도시장에 소개했다.국내의 다양한 향토요리 중 강황, 머스타드기름 등 이용으로 인해 의류에 묻을 경우에 생긴 얼룩이 쉽게 없어지지 않는 것에서 착안한 것이다.특정 수온 및 흐름기술 개발을 위해 2년이 걸렸으며 해당 기술 외에도 국내에 특화된 설정 5가지가 추가로 있다. 해당 모델은 US$ 330달러로 지금까지 5000대가 팔렸다.인도 가정의 10%만이 세탁기를 보유하고 있는데 이는 손세탁이 더욱더 선호되고 경제적으로 가능한 방법이기 때문이다.▲파나소닉(Panasonic) 로고
-
말레이시아 가공식품제조업체 Adabi Consumer Industries에 따르면 일본 시장 진출 후 12년만에 매출이 5% 증가해 연간 24만 링깃을 기록했다.현재 일본시장에 강황가루, 쇠고기카레, 생선카레, 스프 등 13개 품목을 수출하고 있다. 관련 상품은 레스토랑 등 상업용 외에 말레이시아인 유학생들로부터 수요가 높은 편이다.
-
일본 식료품업체인 하우스식품그룹(ハウス食品グループ)은 2016년 9월 40억 엔을 투자해 중국에 3번째 카레 루 공장을 신설한다고 발표했다.일본식 카레의 인기가 높아지고 있기 때문으로 2018년 가을의 가동을 전망하고 있다. 신공장의 건설로 카레 루의 생산성을 2배 확대할 계획이다.상하이, 랴오닝성 다롄에 이어 제3공장에서는 주력인 '버몬트카레'를 생산한다. 5만 평방미터의 부지를 확보해 놓고 향후 공장의 확장 및 생산품목의 확충도 검토한다.하우스는 2005년 중국시장에 진출했다. 중간소득층이 확대하는 가운데 한봉지에 10위안 전후의 카레를 가정에서 즐기는 소비자가 증가하고 있다.중국은 임금상승 등을 배경으로 제조업은 고전하고 있지만 소비시장은 활기를 띄면서 이를 노리고 사업을 확대하는 일본 기업도 늘어나고 있다.▲ 1▲하우스식품 홈페이지
-
일본 식료품업체인 하우스식품그룹(ハウス食品グループ)은 2016년 9월 40억 엔을 투자해 중국에 3번째 카레 루 공장을 신설한다고 발표했다.일본식 카레의 인기가 높아지고 있기 때문으로 2018년 가을 가동을 전망하고 있다. 신공장의 건설로 카레 루의 생산성을 2배 확대할 계획이다.
-
일본 닛신식품(日清食品)은 세계의 요리를 테마로 한 컵누들시리즈 6탄을 출시했다고 밝혔다. 태국의 카레볶음요리를 베이스로 '컵누들 푸팟퐁커리'를 판매한다.
-
일본 카레전문점 이치반야, 2015년 6월~2016년 2월 순이익은 26억 엔으로 전년 동기 대비 16% 증가... 치즈 등 토핑을 올려 먹는 카레 수요증대
-
일본] Japan Tobacco(JT), 도미니카공화국 담배제조기업 라타바카레라 50%지분 약 1400만달러에 인수...도미니카공화국 정부(출자비율 49.5%)와 공동 사업 운영
-
2014-02-24오뚜기그룹(이하 오뚜기)은 창업주 함태호 회장과 홍종문 회장, 박세정 이사 등이 1959년 설립한 조흥화학공업의 식품사업부문을 독립해 1969년 설립한 풍림상사를 모태로 하고 있다. 1971년 풍림식품공업, 1973년 오뚜기식품공업, 1980년 오뚜기식품 등을 거쳐 1996년 ㈜오뚜기로 상호를 변경했다.조흥화학공업은 이후 함태호 회장의 동생인 함승호 회장과 홍문종 회장의 아들 홍순모 사장이 경영하다 경영난으로 2002년 오뚜기계열로 편입됐으며, 상미식품은 함태호 회장의 동생 함창호 회장이 경영하고 있다.오뚜기는 카레, 토마토케첩, 마요네즈, 라면 등 다양한 제품들을 출시하면서 국내 종합식품기업으로 성장했다. 2000년 이후 꾸준히 외형을 확장하고 있으며, 2010년 이후 창업2세인 함영준 회장이 그룹을 경영하고 있다.최근 들어 라면가격담합에 따른 과징금부과, 컵라면 이물질 논란, 오뚜기식품의 세균검출논란, 대리점 제품판매가 통제논란에 따른 브랜드이미지가 하락되고 있으며, 국내시장은 이미 포화상태에 도달해 성장의 한계에 이르렀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 오뚜기그룹의 주요 계열사와 평가대상 기업오뚜기그룹은 국내13개, 해외7개, 총20개의 계열사를 가지고 있으며, 주요계열사는 표1와 같이 제조/유통, 물류, IT/광고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표1. 오뚜기의 주요 계열사와 평가대상]제조/유통부문 계열사에는 ㈜오뚜기, 오뚜기냉동식품, 오뚜기삼화식품, 오뚜기라면, 조흥, 상미식품, 풍림푸드 등이 있다. ㈜오뚜기는 1969년 설립한 풍림상사를 모태로 하고 있으며, 1971년 풍림식품공업으로 법인 전환했다. 이후 1973년 오뚜기식품공업, 1980년 오뚜기식품 등을 거쳐 1996년 현재의 상호가 됐다. 주로 조미식품, 소스, 유지류 등을 제조∙판매하는 식품 첨가물 제조업체다.오뚜기냉동식품은 1972년 삼포식품공업사로 출발했으며, 1987년 삼포식품으로 상호를 변경했다. 2006년 오뚜기에 계열 편입된 후 2008년 현재의 상호가 됐으며,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