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75
" 키"으로 검색하여,
748 건의 기사가 검색 되었습니다.
-
2025-02-20▲ 쿠팡, 신학기 가구 및 리빙 제품 최대 50% 할인[출처=쿠팡]쿠팡(대표이사 강한승·박대준)에 따르면 2025년 3월2일(일)까지 다가오는 신학기에 필요한 가구 및 리빙 카테고리 인기 상품을 한데 모아 최대 50% 할인가에 판매하는 ‘신학기 가구&리빙 세일’ 기획전을 진행한다.이번 기획전은 듀오백, 사이즈오브, 한샘, 리바트, 스피드랙, 쁘리엘르, 써지오 등 인기 브랜드가 다수 참여한다. 사이즈오브는 사용자의 키, 몸무게, 성별과 사용목적 등을 고려한 인체공학 데스크셋업 브랜드로 주목받고 있다.스피드랙은 1979년 창업 이후 무볼트 조립식 앵글 선반만 만들어온 업체다. 튼튼하면서도 쉽고 빠르게 설치할 수 있는 수납선반 제품으로 인기를 얻고 있다.각 브랜드별로 추천할 만한 대표 상품은 △듀오백 사무용 학생 컴퓨터 의자 Q-ZERO △사이즈오브 몰입 스틸 사무용의자 △한샘 샘 파레트 책장 5단 120cm △리바트 꼼므 1200 아이책상 및 의자 △스피드랙 무볼트 조립식 철제 앵글 선반 △쁘리엘르 유어메이트 항균 워싱 세미마이크로 차렵이불 세트 △써지오 컬러 개별 멀티탭 3구 등이다.쇼핑을 돕기 위해 다양한 테마관도 마련했다. 우선 ‘신학기 대표 브랜드 세일관’에서는 각 주차별로 주목할 만한 브랜드 제품을 모았다.1주차에는 시디즈, 허먼밀러, 일룸, 리바트, 한샘, 상도가구, 네오체어 등이 참여한다. 2주차에는 까사미아, 듀오백, 소르니아, 소프시스, 누하스, 컴프프로, 린백 등을 소개한다.‘스터디룸 필수 가구 BIG SALE’ 테마관에서는 신학기 필수 가구(책상, 의자, 선반, 책장 등)를 한정특가로 만날 수 있고, 주목할 만한 신상품을 별도로 모아볼 수 있도록 했다.이외에도 스터디룸 꾸미기(스탠드조명/멀티탭, 방석, 디퓨저), 자취방 꾸미기(침대/매트리스, 소파/거실가구, 신학기 침구 등), 어린이집 낮잠이불, 고리수건 등 다양한 주제를 바탕으로 모은 신학기 관련 상품을 쇼핑할 수 있다.쿠팡 관계자는 “개학을 앞두고 아이 공부방 새단장을 계획 중인 고객분들을 위해 다양한 인기 브랜드 상품을 경쟁력 있는 가격으로 준비한 기획전이다”고 설명했다.
-
2025-02-19▲ ‘동대륙’ 지역에 신규 보스 몬스터, 징조의 보스 몬스터[출처=카카오게임즈]㈜카카오게임즈(대표 한상우)에 따르면 2025년 2월19일(수) PC/모바일 크로스플랫폼 MMORPG ‘아키에이지 워’에 2월 대규모 업데이트를 진행했다.이번 업데이트에서는 ‘동대륙’의 ‘이니스테르’와 ‘노래의 땅’에 신규 보스 몬스터 ‘투퀴 무사 라크라’가 추가됐다. ‘투퀴 무사 라크라’를 처치한 이용자는 ‘기록자의 인장’, ‘경험치 물약’ 등의 풍성한 보상을 받을 수 있다.같은 지역에서 ‘징조의 틈’ 콘텐츠도 시작되며, 신규 징조의 보스 몬스터 ‘원귀의 투사 발툼’이 출현한다. ‘징조의 틈’ 콘텐츠는 이용자가 단계별로 몰려오는 몬스터 및 최종 단계의 보스 몬스터를 처치하는 방식으로 진행된다.‘동대륙’ 지역의 ‘징조의 틈’에는 기존 ‘누이아 대륙’보다 더 강력한 몬스터가 등장한다. 최종 단계에서 보스 몬스터를 토벌한 이용자는 ‘고결한 이지의 방어구’, 신규 컬렉션 아이템인 ‘투사 발툼의 뿔’, ‘원귀의 최상급 보물 상자’ 등을 확인할 수 있다.3월5일까지 진행되는 ‘이지의 염원’ 콘텐츠도 새롭게 추가됐다. 이용자는 ‘이지의 염원’에서 영웅 등급 장비를 제물로 사용해 ‘이지의 신물’을 추출할 수 있다. 이를 3개 소모해 전설 등급 장비를 획득할 수 있다.‘곤 신전’ 지하 4층에서 펼쳐지는 ‘던전 침공’ 콘텐츠도 3월19일까지 오픈한다. 이곳에서는 기존 던전에서 볼 수 없었던 강력한 몬스터들이 등장하며 보스 몬스터 ‘폭거의 바이탄’도 출현한다. 이용자는 해당 콘텐츠를 통해 ‘에아나드의 잉크’ 등의 전설 등급 아이템도 확인할 수 있다.이외에도 신규 ‘그로아’ 6종과 ‘탈것’ 6종 추가, 확장된 컬렉션 시스템도 이번 업데이트를 통해 만나볼 수 있다. 바다 및 함선 관련 콘텐츠의 밸런스도 조정돼, 더욱 흥미로운 경험을 선사한다.한편 카카오게임즈는 이번 업데이트와 함께 다양한 이벤트도 진행한다. 3월5일까지 ‘7일 스페셜 출석 이벤트’가 열리며 매일 접속하는 이용자에게 ‘별의 재보’ 등 다양한 보상이 지급된다.같은 기간 ‘모르페우스의 함선 장비 강화’ 이벤트도 함께 진행된다. 이용자가 몬스터 사냥을 통해 획득한 ‘항해의 재료’ 5개로 ‘모르페우스의 함선 장비’를 제작할 수 있으며, 이를 기간제 컬렉션 아이템으로 등록할 수 있다.신규 업데이트와 이벤트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아키에이지 워’ 공식 홈페이지 및 공식 카페에서 확인할 수 있다.
-
▲ 쿠팡, 베이비&키즈쇼[출처=쿠팡]쿠팡(대표이사 강한승·박대준)에 따르면 용산 아이파크몰에서 진행한 ‘베이비&키즈쇼’ 팝업스토어를 성황리 마쳤다. 번 베이비&키즈쇼 팝업스토어의 방문객 수가 9300명 이상으로 집계됐다.이는 2024년 진행된 첫 행사(5000여 명) 대비 약 2배 늘어난 숫자다. 2만 원 이상 구매 시 선착순으로 증정한 15만 원 상당의 기프트 박스도 모두 소진됐다. 이러한 인기에 힘입어 쿠팡은 ‘베이비&키즈쇼’ 팝업스토어를 하반기에도 한 차례 더 진행할 계획이다.행사에 마련된 풍성한 경품과 이벤트, 할인혜택 등을 통해 부모 고객과 자녀들, 그리고 예비 엄마, 아빠 고객까지 모두 축제 같은 쇼핑을 즐겼다는 평가다.이번 행사는 품질이 우수한 육아용 상품을 구매할 수 있는데다 2만 원 이상 구매 시 15만 원 상당의 기프트 박스를 증정해 자녀를 키우는 부모 고객들에게 큰 호응을 얻었다.갈수록 물가 부담이 높아지는 가운데 행사 이벤트에 참여해 가계 부담을 줄이고 다양한 브랜드를 접할 수 있었다는 반응을 보였다.팝업스토어에 방문한 30대 와우회원 A씨는 “그동안 쿠팡에서 주로 구매하던 제품과 다른 상품을 함께 비교해볼 수 있어 좋았다”며 “접근성과 동선이 좋았고 중간중간 아이들을 위한 아기자기한 공간이 마련돼 있어서 아이와 함께 즐거운 쇼핑을 했다”고 말했다.또 다른 30대 와우회원 B씨는 “각 부스마다 재밌는 이벤트가 많았고 구매 부담 없이 마음껏 구경했다”면서도 “구매한 상품이 많은데 무겁게 들고 가지 않고 내일 로켓배송으로 받을 수 있어 무척 편리하다”고 말했다. 부모들이 찾은 주요 인기 브랜드는 팸퍼스, 일동후디스, 하리보, 푸디버디 등이었다.특히 쿠팡 직수입 상품관은 국내에서 쉽게 찾아볼 수 없는 해외 브랜드를 한 눈에 경험할 수 있어 방문객들의 반응이 뜨거웠다.뉴질랜드 유아 패션 브랜드 ‘제이미케이’와 영국의 명품 도자기 브랜드 ‘포트메리온’의 유아동 식기 컬렉션 ‘미니메리온’은 국내에서는 쿠팡이 단독 판매하고 있어 더 인기였다.쿠팡을 통해 한국에 진출한 글로벌 브랜드를 격려하기 위한 해외 정부를 포함한 유관 관계자들의 방문도 잇따랐다.‘제이미케이’ 부스에는 리차즈 던쉬트 뉴질랜드무역청(NZTE) 청장을 포함해 변유정 뉴질랜드무역청 사업 개발 매니저 등이 응원차 방문했다.쿠팡은 출산과 육아의 어려움이 낮은 출산율로 나타나는 상황에서 부모 고객을 위한 혜택을 늘려나갈 방침이다.리차즈 던쉬트 무역청장은 “최고급면과 안전한 원단을 사용, 소비자의 신뢰를 받아 뉴질랜드에서 최대 매출을 기록하고 있는 ‘제이미케이’가 지난 1월부터 한국 소비자들에게 선보이고 있어 뿌듯하다”며 “한국의 치열한 패션 시장에서 쿠팡을 통해 뉴질랜드 대표 브랜드가 알려지는 만큼 한국과 뉴질랜드 간 경제 가교의 역할을 기대한다”고 말했다.윤혜영 쿠팡리테일 부문 대표는 “쿠팡이 다양한 육아 커뮤니티에서 ‘육아동지’로 평가되고 있는 이유는 바쁜 부모 고객에게 도움이 되는 육아용품을 합리적인 가격에 판매, ‘로켓배송’하고 있기 때문일 것이다”며 “앞으로도 양질의 육아용품이라면 국내부터 글로벌 브랜드까지 다양하게 선보여 부모 고객들이 현명한 소비를 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강조했다.
-
2025-02-14▲ 쿠팡, ‘베이비&키즈쇼’ 팝업스토어[출처=쿠팡]쿠팡(대표이사 김동관, 손재일)에 따르면 2025년 2월14일부터 3일 간 용산 아이파크몰에 ‘베이비&키즈쇼’ 팝업스토어를 열고 고객을 맞이한다.100개 이상 인기 육아 브랜드가 총출동해 부스를 운영하는 가운데 행사장을 방문하는 고객은 15만 원 상당의 육아상품 기프트 박스와 증정품 등 다채로운 혜택을 얻을 수 있다. 자녀와 방문하는 고객을 위해 다양한 즐길거리도 풍성하게 마련했다.◇ 인기 육아상품 65% 할인…2만 원 이상 구매 시 15만 원 ‘기프트 박스’ 제공베이비&키즈쇼 팝업스토어는 2월14~15일은 오전 11시부터 오후 8시, 16일 오전 11시부터 오후 7시까지 운영한다. 팝업스토어 티켓은 쿠팡 앱 내 행사 페이지에서 일자별, 시간별 선택해 100원에 구매하면 된다.티켓을 소지한 쿠팡 고객이 행사장을 방문하면 다양한 혜택을 얻을 수 있다. 행사 첫날인 오늘(14일) 방문하는 고객 선착순 100명에 한해 쿠팡캐시 2만 원을 증정한다.이어 행사장에서 육아 상품을 2만원 이상 구매하면 15만 원 상당의 기프트 박스를 선착순으로 증정한다. 20여개 상품으로 구성한 기프트 박스는 ‘베이비(출산용품)’와 ‘키즈(일반 육아상품)’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베이비 기프트 박스는 주요 인기 브랜드의 신생아 양말과 손수건, 분유, 기저귀, 유산균 등 상품을 모았다. 키즈 기프트 박스는 영양제, 보습 크림, 스푼포크세트, 물병, 샴푸캡 등이다.행사에 참여하는 주요 브랜드는 인기 상품을 크게 할인해 판매한다. 14일(퍼기 이유식 멀티찜기, 베베숲 오리진 물티슈), 15일(세노비즈 키즈 멀티비타민, 마더케이 이유식 가위세트), 16일(슈팅스타 캐치티니핑 올인원 교정젓가락세트 등) 등 인기 상품을 1만원대에 판매한다.상품 구매를 원하는 고객은 각 상품에 부착된 QR 코드를 통해 쿠팡 앱에서 최대 65% 할인가로 구매 가능하다.◇ ”퀴즈쇼부터 낙서놀이까지…자녀와 방문하세요”6개 컨셉트 존을 방문해 스탬프 미션을 완료한 고객(147명), 임산부 배지를 인증한 고객(41명)을 추첨해 경품을 지급하는 이벤트도 진행한다.스탬프 미션 경품은 ‘다이치 신생아 리우 아기침대’와 ‘알집 제로매트’ 등, 임산부 인증 경품은 ‘베이비뵨 미니 3D 메쉬 아기띠’ 등이 있다.경품 추첨은 팝업스토어 종료 후 별도로 공지한다. 방문 고객 전원에게 쿠팡 베이비&키즈쇼 로고가 있는 리유저블 백도 증정한다.쿠팡은 팝업스토어를 방문한 고객이 즐거운 시간을 보낼 수 있도록 주요 브랜드들과 다채로운 이벤트와 볼거리를 선보인다. 기저귀 브랜드 ‘팸퍼스’ 부스에서는 특정 시간에 퀴즈쇼를 진행, 정답을 맞추면 기저귀 본품을 증정한다.어린이식 브랜드 ‘푸디버디’는 룰렛 이벤트를 통해 ‘까망 짜장컵’ ‘미역국 초록쌀라면’ 등 인기 상품을 준다. 이밖에 키즈 전문 여행상품 특가 프로모션 등 다양한 이벤트가 준비됐다. 자세한 내용은 팝업스토어 내 각 부스에서 확인할 수 있다.자녀와 함께 하는 고객을 위해 두들존(낙서놀이), 레고존(블록놀이), 버추얼 캐릭터 AI 포토부스 등도 마련했다.쿠팡 관계자는 “자녀를 위한 용품은 깐깐하게 고민하시는 부모 고객들을 위해 다양한 상품을 둘러보고 합리적인 선택을 하실 수 있도록 다채롭게 준비했다”며 “아울러 다양한 이벤트를 통해 가족 분들과 나들이하듯 즐거운 쇼핑시간이 되시길 바란다”고 밝혔다.
-
2025-02-13▲ 광주 푸드클럽 우수 밀키트 기획전[출처=쿠팡]쿠팡(대표이사 강한승·박대준)에 따르면 2025년 2월23일(일)까지 광주경제진흥상생일자리재단과 함께 ‘푸드클럽 우수 밀키트’ 기획전을 진행한다.이번 기획전에서는 대한민국 16대 조리 명장 안유성 셰프의 밀키트를 최대 30% 할인된 가격에 만나볼 수 있다. 안유성 명장의 비법 소스가 가득한 △명담 평양 비빔냉면과 깔끔한 육수에 푸짐한 한우 고명을 담아낸 △명담 한우 나주곰탕을 통해 명장의 요리를 집에서 재현할 수 있다.안유성 명장의 밀키트 이외에도 떡갈비, 추어탕 등 광주광역시 현지 유명 맛집의 밀키트도 준비했다. 안유성 명장의 밀키트 이외에도 떡갈비, 추어탕 등 광주광역시 현지 유명 맛집의 밀키트도 준비했다.1992년부터 30년 이상의 전통을 이어오며 백년가게로 선정된 형제송정떡갈비의 수제 떡갈비, 광주 남구 진월동 대표 맛집인 ‘시골향’의 추어탕 밀키트를 대폭 할인된 가격에 선보인다. 이외에도 남도의 손맛을 경험할 수 있는 빛고을 김치와 잔칫집 잡채 등 간편 먹거리도 추천한다.착한상점은 쿠팡이 전국 중소상공인 및 농수축산인들의 디지털 판로 개척을 위해 선보인 상설기획관이다. 쿠팡은 전국 중소상공인들의 우수한 상품의 접근성을 높이기 위해 쿠팡 앱 메인 화면에 착한상점 메뉴를 배치하고 각종 홍보/마케팅 활동을 지원해왔다.쿠팡 관계자는 “쿠팡은 다양한 지역 유관기관과 협력해 전국 각지 중소상공인의 판로를 확대하고 우수한 상품을 전국 각지에 선보이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며 “이번 기획전을 통해 쿠팡 고객들이 안유성 명장과 남도 지역 맛집의 음식을 가정에서 손쉽게 즐길 수 있길 바란다”고 말했다.
-
2009년 설립된 영원무역의 주요 사업은 의류 등 제품 OEM 생산 및 수출이다. 주요 제품으로는 △아웃도어 의류·용품 △자전거·스포츠 용품 등이 있다. 미국 아웃도어 브랜드인 노스페이스(The North Face Inc)의 국내 유통 기업이기도 하다.2024년 라이선스 계약 변경으로 영원아웃도어의 노스페이스 브랜드 상표권은 2032년까지 연장됐다. 영원아웃도어의 양대 주주는 영원무역홀딩스와 골드윈이다. 한편 2025년 1월1일부터 스키복 및 보드복 브랜드인 골드윈의 라이센스는 해지됐다.영원무역은 한국 본사를 비롯해 글로벌 사업장으로 △일본 △홍콩 △대만 △베트남 △태국 △싱가포르 △방글라데시 △인도 △우즈베키스탄 △튀르키예 △에티오피아 △스위스 △포르투갈 △미국 △엘살바도르 △뉴질랜드 등을 운영하고 있다.영원무역의 ESG(환경·사회·지배구조) 경영 현황을 진단하기 위해 홈페이지, 국가정보전략연구소(국정연) 데이터베이스(DB), 국정감사·감사원·사법기관 자료, 각종 제보 등을 참조했다.글로벌 스탠다드를 지향하며 개발된 ‘팔기(八旗)생태계(8-Flag Ecosystem)’ 모델을 적용해 영원무역의 ESG 경영 현황을 진단해 봤다. ▲ 영원무역의 ‘팔기(八旗)생태계(8-Flag Ecosystem)’ 모델 평가 결과 [출처=iNIS]◇ ESG 경영 비전 및 추진방향 수립... 2023년 부채총계 1조7091억 원으로 부채율 33.33%영원무역은 기업의 핵심가치인 H.E.A.R.T에 기반해 ESG 비전 및 철학을 수립했다. 핵심가치(H.E.A.R.T)는 △HONESTY&INTEGRITY(정직함&진실성) △EXCELLENCE(탁월함) △AGILITY(민첩함) △RESPONSIBILITY(책임감) △TOGETHER(함께로) 수립했다.ESG 비전과 철학은 ‘안전한 근무환경, 환경적 지속가능성, 지역사회와의 동반 성장을 통해 지속가능한 변화들을 이끌어 나가겠습니다’로 밝혔다.3대 추진방향은 △ESG 경영체계 구축 △ESG 역량강화 및 지속가능경영시스템 고도화 △ESG 내재화를 통한 글로벌경영 선도로 각 영역에 따른 중점과제를 설정했다.2024년 3월 기준 이사회 구성원 수는 총 7명으로 사내이사 3명, 사외이사 4명으로 구성됐다. 2024년 3월 기준 여성 이사 수는 2명으로 조사됐다.2023년 이사회 구성원 수는 총 10명으로 사내이사 5명, 사외이사 5명으로 구성됐다. 2021년과 비교해 구성원 수는 변동이 없었다. 2023년 여성 이사 수는 2명으로 2021년 2명과 비교해 여성 임원의 비율은 변동이 없었다.2021년 3월 ESG 경영을 위해 이사회 산하에 지속가능경영위원회를 설치했다. ESG 경영과 관련한 이슈 파악과 ESG 경영 추진 방향성 및 과제 점검을 목적으로 한다. 2024년 3월 기준 지속가능경영위원회의 구성원은 총 5명으로 사내이사 2명, 사외이사 3명으로 구성됐다.2023년 자본총계는 3조5879억 원으로 2021년 2조4342억 원과 비교해 47.40% 증가했다. 2023년 부채총계는 1조7091억 원으로 2021년 1조1134억 원과 대비해 53.51% 증가했다. 2023년 부채비율은 33.33%로 2021년 50.00%와 비교해 감소했다.2023년 매출액은 3조6043억 원으로 2021년 2조7925억 원과 대비해 29.07% 증가했다. 2023년 당기순이익은 5330억 원으로 2021년 3343억 원과 비교해 59.46% 증가했다. 2023년 당기순이익을 기준으로 부채 상환에 약 3.2년이 소요된다. ◇ 2023년 여성 임직원 평균 급여액 남성의 87.21%... 2023년 첫 번째 지속가능경영 보고서 발간최우선 가치로 전 직원의 안전과 보전을 인식하며 안전보건 경영방침을 수립했다. 경영방침에 따른 안전보건 관리체계를 구축하며 최고안전보건책임자를 임명해 각 사업장별 관리감독자와 안전보건관리자를 지정했다고 밝혔다.안전경영 비전은 ‘능동적인 안전보건 예방문화 정착’으로 경영 목표는 ‘직업성 질환 발생률 & 중대재해 비율 ZERO’로 정했다.2025년 달성 목표는 △임직원 안전보건 인식 개선 및 내재화 △선제적이고 자율적인 안전보건 예방정책 수립 △이해관계자별 취약점 파악과 대응방안 마련으로 설정했다.사회공헌 비전은 ‘지역사회 구성원의 건강과 행복을 만들어나가는 기업’으로 밝혔다. 사회공헌 전략은 △취약계층 지원 △학술 지원 △문화/스포츠 지원으로 수립했다.주요 활동은 △서울대 글로벌사회공헌단 지원 △진출국가 상생 프로그램 △숙명여대 산학협력 △지역사회 후원/기부 활동 등으로 다양하다.2023년 여성 임직원 평균 급여액은 7500만 원으로 2021년 6100만 원과 비교해 22.95% 인상됐다. 2023년 여성 임직원 평균 급여액은 남성 임직원 평균 급여액인 8600만 원의 87.21%로 2021년 95.31%와 비교해 감소했다.최근 3년간 육아휴직 사용자 수는 △2021년 12명 △2022년 13명 △2023년 8명으로 증가 후 감소했다. 지난 3년간 남성 육아휴직 사용자 수는 전무했다. 여성 임직원의 육아휴직 후 복귀 비율은 △2021년 67% △2022년 85% △2023년 50%로 집계됐다.최근 3년간 기부총액은 △2021년 29억 원 △2022년 46억 원 △2023년 39억 원으로 증가 후 감소했다. 매출액 대비 기부금 비율은 △2021년 0.2% △2022년 0.2% △2023년 0.3%로 집계됐다. 기부액은 지역사회와의 상생을 위한 활동에 대한 재무적, 비재무적 가치를 측정한 것으로 사회공헌 투자비용이 포함됐다.영원무역은 2023년 ESG 전략을 수립하며 2023년 첫 번째 지속가능경영 보고서를 발간했다. 2021년과 2022년에는 영원무역홀딩스의 ESG Milestone Report를 발간해 홈페이지에 공개했다. 2022년 6월에는 영원무역의 친환경 공단인 KEPZ의 생물다양성 보고서를 발간했다. ◇ 친환경경영시스템 및 환경경영 구축... 2023년 해외 직접 온실가스 배출량 8만tCO2eq탄소중립·친환경 경영의 4대 방향성은 △온실가스 감축 △환경영향 최소화 △친환경 제품 확대 △환경인식 내재화로 수립했다. 환경 관련 주요 사안은 이사회 혹은 지속가능경영위원회에서 논의하여 리스크에 대응하고자 한다.해외사업장은 친환경경영시스템을 구축하고 해외사업장 내 고위 경영진으로 구성된 환경자문위원회(Environmental Sustainability Council)를 운영하고 있다. 기후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전략 수립 및 과제 이행 현황의 모니터링, 환경경영 관리 및 감독을 진행하고 있다.베트남 사업장인 YNL은 친환경 Recycle 생산시스템을 도입 중이다. 방글라데시 사업장인 KSL은 폐기물을 활용한 패딩용 충전재 생산을 시작했다.친환경 원자재 및 제품 개발 목표는 △구입 원단의 Recycle 소재 비중 확대 △모든 원단 Scrap의 Recycle화 △친환경 신소재 원단 개발로 정했다.지속가능경영 보고서 환경 데이터 보고 범위는 국내 △만리동 △금광동 △명동 사업장과 해외 공장 및 사무소로 밝혔다.최근 3년간 국내 직접 온실가스 배출량(Scope 1)은 △2021년 550tCO2eq △2022년 508tCO2eq △2023년 549tCO2eq으로 근소하게 감소한 후 증가했다.해외 직접 온실가스 배출량은 △2021년 7만7869tCO2eq △2022년 8만4936tCO2eq △2023년 8만1552tCO2eq으로 증가 후 감소했다.간접 온실가스 배출량(Scope 2)은 지역 기반과 시장 기반으로 나뉘어 집계됐다. 최근 3년간 해외 지역 기반 간접 온실가스 배출량은 △2021년 5만6892tCO2eq △2022년 6만2116tCO2eq △2023년 5만1430tCO2eq으로 증가 후 감소했다.시장 기반 간접 온실가스 배출량은 △2021년 5만6892tCO2eq △2022년 5만5927tCO2eq △2023년 4만7470tCO2eq으로 감소세를 보였다.최근 3년간 국내 일반 폐기물 발생량은 △2021년 18.6톤(Ton) △2022년 21.6t △2023년 19.5t로 증가 후 감소했다.지난 3년간 해외 일반 폐기물 발생량은 △2021년 1만3610t △2022년 1만3392t △2023년 1만3606t으로 근소하게 감소 후 증가했다.해외 유해 폐기물 발생량은 △2021년 2029t △2022년 1698t △2023년 2091t으로 감소 후 증가했다. 최근 3년간 해외 폐기물 처리량은 △2021년 1만2479t △2022년 1만5087t △2023년 1만5615t으로 증가세를 보였다.친환경 원자재로는 △GRS 인증 Recycled Yarn △GRS 인증 Recycled Fiber △GRS 인증 Recycled Chip으로 밝혔다. 지난 3년간 친환경 원자재 조달량은 △2021년 3220t △2022년 4765t △2023년 4454t으로 증가 후 감소했다.최근 3년간 환경 교육을 받은 임직원 수는 △2021년 280명 △2022년 260명 △2023년 300명으로 감소 후 증가했다. 환경교육 이수율은 △2021년 90% △2022년 88% △2023년 99%로 집계됐다. ◇ 거버넌스·환경에서 개선사항 적지 않아... 여성육아 휴직자 감소세 및 남성육아 휴직자 전무△거버넌스(Governance·지배구조)=거버넌스는 2021년 지속가능경영위원회를 설치해 ESG경영을 추진하는 것으로 보이지만 두렷한 실적은 없다.경영투명성을 평가하는 중요한 치표인 사외이사의 구성은 변화가 없다. 양성평등 지료핀 여성임원도 2명으로 차이가 없지만 여성직원의 비율을 고려하면 적은 편이다.2023년 자본총계는 2021년과 비교해 늘렸는데 이는 부채비율을 낯추기 위한 목적으로 보인다. 매출액과 당기순이익은 증가해 긍정적으로 평가했다.△사회(Social)=사회는 다양한 사회공헌활동을 펼치고 있어서 관리가능한 위험으로 평가했다. 육아휴직 사용자는 감소세를 보이고 있으며 남성 육아휴직 사용자는 전무해 부정적으로 판단했다.여성의 육아휴직 후 복귀비율도 2022년 85%로 가장 높았고 2023년 50%로 하락했다. 매출액 대비 기부금 비율은 0.2~0.3%로 낮은 수준이다. △환경(Environment)=환경은 탄소중립과 친환경 경영으로 실천하고 있으며 이사회와 지속가능경영위원회에서 대응하고 있다. 친환경 원자재을 자용하기 위해 노력 중이다.최슨 3년간 온실가스 배출량은 2022년까지 증가하다가 감소세를 보이고 있다. 유해 폐기물 발생량은 증감을 반복하고 있다. 친환경 원자재 조달량은 증가하고 있다. ⋇팔기(八旗)생태계(8-Flag Ecosystem)=국가정보전략연구소가 정부·기업·기관·단체의 ESG(환경·사회·지배구조) 경영을 평가하기 위해 국내외 전문가들과 협력해 개발한 모델이다. 팔기는 주역의 기본 8괘를 상징하는 깃발, 생태계는 기업이 살아 숨 쉬는 환경을 의미한다. 주역은 자연의 이치로 화합된 우주의 삼라만상을 해석하므로 기업이 직면한 다양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을 찾는데 유용하다.
-
2025-02-13▲ 인도철도관광공사(IRCTC) 버스 서비스 홍보 이미지[출처=IRCTC 페이스북]2025년 2월13일 서남아시아 경제는 인도와 파키스탄을 포함한다. 인도철도관광공사의 회계연도 2025년 3분기 매출은 122억4700만 루피로 전년 동기와 비교해 10% 성장한 수치를 보였다.파키스탄 자동차제조협회에 따르면 회계연도 2025년 첫 7개월 동안의 자동차 판매대수는 7만8000대를 넘어섰다.◇ 인도철도관광공사(IRCTC), 회계연도 2025년 3분기 순이익 Rs 34억1000만 루피로 전년 동기 대비 14% 증가회계연도 2025년 3분기 인도철도관광공사(IRCTC)의 순이익은 Rs 34억1000만 루피로 전년 동기 30억 루피 대비 14% 증가했다.매출액은 122억4700만 루피를 기록하며 전년 동기 111억5500만 루피에서 10% 늘어났다. EBITDA는 39억4000만 루피에서 6% 확대돼 41억7000만 루피를 기록했다.◇ 파키스탄 자동차제조협회(PAMA), 2025년 1월 국내 자동차 총 판매대수 1만7000대로 전년 동월 대비 61% 증가파키스탄 자동차제조협회(PAMA)에 따르면 2025년 1월 국내 자동차 총 판매대수는 1만7000대에 도달해 전년 동월보다 61% 증가했다. 이는 전기자동차(EV), 지프, 자동차, 승합차를 포함한다.승용차는 1만1868대로 전월 7864대와 비교해 51%, 트럭은 344% 늘어났다. 버스 판매는 61% 감소했다. 회계연도 2025년 첫 7개월 동안의 판매대수는 7만8000대를 넘어서며 전년 동기 대비 56% 확대됐다.
-
2025-02-12▲ 인도 국영 엔지니어링업체 IRCON(Ircon International Limited)의 로고[출처=IRCON 홈페이지]2025년 2월12일 서남아시아 경제는 인도와 파키스탄을 포함한다. 인도 국영 엔지니어링업체 IRCON은 2024년 12월에 마무리된 분기에 대하며 회계연도 2025년 총 주문액 2193억9000만 루피를 달성했다.파키스탄 넥스젠 오토는 중국 오모다&재쿠와 협력해 최신 기술을 탑재한 신에너지자동차를 국내에 출시한다.◇ 인도 IRCON, 회계연도 2025년 3분기 순이익 Rs 8억6000만 루피로 전년 동기 대비 65% 하락인도 국영 엔지니어링업체 IRCON(Ircon International Limited)에 따르면 회계연도 2025년 3분기 순이익은 Rs 8억6000만 루피로 전년 동기 24억5000만 루피에서 65% 하락했다.운영이익은 전년 동기 292억9000만 루피에서 11% 감소한 261억3000만 루피를 기록했다. 2024년 12월까지의 총 주문액은 2193억9000만 루피에 달한다.철도 부문은 1707억5000만 루피, 고속도로에 대해서는 477억5000만 루피다. EBITDA는 21억8300만 루피를 기록하며 회계연도 2024년 3분기 37억81000만 루피와 비교해 42% 줄어들었다.인도 정부는 인프라 부흥계획(PM Gati Shakti), 국가 물류정책(National Logistics Policy), 바랏마라트(Bharatmala)·사가르말라(Sagarmala) 프로젝트, 전국민 주택보급 사업(Pradhan Mantri Awas Yojana), 스마트 도시 구축 등 교통수단을 중심으로 다양한 인프라 사업에 집중하고 있다.◇ 파키스탄 넥스젠 오토(NexGen Auto), 중국 오모다&재쿠(Omoda & Jaecoo)와 신에너지자동차(NEV) 출시파키스탄 자동차업체 넥스젠 오토(NexGen Auto (Private) Limited)는 중국 체리자동차(Chery)의 자회사 오모다&재쿠(Omoda & Jaecoo)와 파트너십을 맺음으로써 최신 기술을 탑재한 신에너지자동차(NEV)를 출시한다.넥스젠 오토의 딜러십 네트워크를 통해 국내 고객들에게 지속 가능한 형태의 오모다&재쿠 차량을 제공한다. 참고로 체리자동차는 전세계 80개국에서 고급 차량을 판매하고 있다.
-
2025-02-11▲ 12일부터 사흘간 코엑스서 국내 최대 전력•에너지 전시회 ‘ELECS 2025’ 참가[출처=LS일렉트릭]LS일렉트릭(회장 구자균)에 따르면 2025년 2월12일부터 14일까지 3일 간 서울특별시 강남구 삼성동 코엑스에서 열리는 국내 최대 규모 스마트 전력·에너지 전시회 ‘일렉스 코리아 2025’(Electric Energy Conference & Show)와 ‘코리아스마트그리드엑스포 2025’에 동시 참가한다.참가 기업 중 최대 규모인 50부스(450㎡) 전시 공간에 ‘고객을 향한 무한 혁신과 지속가능한 미래’(To Infinity and Beyond)를 주제로 △인공지능(AI) 데이터센터솔루션 △탄소제로에너지 △스마트팩토리 등 5개 존(ZONE)을 구성했다.차세대 스마트 전력 사업을 이끌어 갈 전략 솔루션과 글로벌 사업 전략을 대거 선보인다. AI데이터센터 맞춤형 패키지 솔루션 등 차세대 전력 제품을 대거 공개하고 전력 슈퍼사이클 시대 주도권 잡기에 나섰다.LS일렉트릭은 △초전도 전류제한기 △스마트배전반 △반도체 변압기(SST) △반도체 차단기(SSCB) △공조시스템 등 차세대 솔루션 기반 데이터센터 맞춤형 패키지를 전면 배치한다.기존 데이터센터는 물론이고 하이퍼스케일급 AI데이터센터에도 안정적으로 전력 공급이 가능한 LS일렉트릭 초전도 솔루션 ‘하이퍼그리드 NX’를 소개한다.하이퍼그리드NX는 LS일렉트릭의 초전도 한류기와 LS전선의 초전도 케이블을 결합한 데이터센터(IDC) 전력공급 시스템이다.초전도 전류제한기는 전력계통 사고 시 발생하는 고장전류를 즉각적으로 줄여 전력설비 손상과 전기적 화재, 정전 확산을 예방하는 장치다. 대용량 첨단산업설비를 보호하는 데 필수적이다.최근 미국 IT기업 데이터센터에 전력기기를 공급하는 등 글로벌 메이저 빅테크 기업을 비롯한 국내 통신사 등 데이터센터 시장 공략 확대에 속도를 내고 있다.인공지능(AI) 기술 발전으로 데이터센터 수요가 급증하면서 아마존웹서비스(AWS), 마이크로소프트(MS) 등 글로벌 빅테크 기업을 중심으로 데이터센터 구축에 통 큰 투자가 이어지고 있다. 2025년 예상되는 투자 규모만 500조 원을 돌파할 것으로 예상된다.글로벌 컨설팅기업 맥킨지앤컴퍼니(맥킨지)에 따르면 전 세계 데이터 센터 수요는 2024년 60기가와트(GW) 수준에서 연평균 22% 증가해 2030년에는 171GW까지 확대될 전망이다.특히 AI 데이터센터 용량 수요는 2030년까지 연평균 33%씩 성장해 전체 데이터센터 수요의 약 70%를 차지할 것으로 보인다.국내 중전 기업 유일 UL인증 배전반과 함께 △직류(DC)배선용차단기(MCCB; Molded Case Circuit Breaker) △직류(DC)릴레이(Relay) △직류(DC)개폐기(Switch-Disconnector) 등 차세대 전력 시스템 풀 패키지를 공개했다.송·변전부터 배전에 이르는 전력계통 전체에 적용되는 세계 최고 수준의 전력 솔루션 기술력과 공급 역량도 함께 강조할 계획이다.이와 함께 △에너지 효율관리 플랫폼 ‘그리드솔 큐브’(GridSol CUBE) △전력설비 통합 관리 플랫폼 ‘그리드솔 케어’(GridSol CARE) △자산관리시스템(AMS; Asset Management System) △공장에너지관리시스템(FEMS; Factory Energy Management System) 등 수요자 맞춤형 사물인터넷(IoT) 디지털 기술 기반 에너지 최적화 솔루션도 전시한다.구자균 LS일렉트릭 회장은 “그간 해외 시장을 겨냥한 차세대 스마트 솔루션 개발과 시장 개척에 선도적으로 나선 결과 미국을 중심으로 글로벌 사업에서 가시적 성과가 창출되고 있다”며 “세계 최고 수준의 제품에 AI·디지털 기술을 더해 K-일렉트릭 대표 기업으로서 세계적 전력 슈퍼사이클 시대에 확실히 주도권을 잡을 것이다”고 말했다.
-
▲ 인도 통신사 보다폰 아이디어(Vodafone Idea)의 회계연도 2025년 3분기 매출액은 Rs 1111억7000만 루피로 전년 동기 1067억3000만 루피 대비 4% 성장을 기록했다[출처=보다폰 아이디어 홈페이지]2025년 2월11일 서남아시아 경제는 인도와 파키스탄을 포함한다. 인도 보타폰 아이디어의 2024년 7월~9월 분기의 순손실은 660억9000만 루피로 전년 동기 대비 5% 감소했다.파키스탄 식량안보연구는 과다르 지역에서 중국 기업이 운영하는 당나귀 도축공장이 운영을 시작했다고 밝혔다.◇ 인도 보다폰 아이디어(Vodafone Idea), 회계연도 2025년 3분기 매출액 Rs 1111억7000만 루피로 전년 동기 대비 4% 성장인도 통신사 보다폰 아이디어(Vodafone Idea)의 회계연도 2025년 3분기 매출액은 Rs 1111억7000만 루피로 전년 동기 1067억3000만 루피 대비 4% 성장을 기록했다.순손실은 660억9000만 루피를 기록해 전년 동기 698억6000만 루피에서 5% 감소했다. 현금 EBITDA는 회계연도 2024년 3분기 수치보다 15% 증가한 245억 루피를 달성하며 최근 6년 간 가장 높았다.총 가입자 수 1억9980만 명 중 4G 구독자는 1억2600만 명이었다. 주요 지역을 중심으로 5G 서비스 또한 개시한다.◇ 파키스탄 식량안보연구, 과다르에서 국내 최초 당나귀 도축공장 가동 시작해파키스탄 식량안보연구(Ministry of National Food Security and Research)에 따르면 과다르 지역에서 중국 기업이 운영하는 당나귀 뼈, 고기, 가죽 등을 취급하는 도축공장이 가동을 시작했다.중국 전통 약재인 아교에 대한 수요에 대응하기 위함으로 살아있는 당나귀보다 가공 과정을 거친 후 수출하는 것이 실용적이기 때문이다.참고로 파키스탄의 당나귀 개체수는 590만 마리를 기록했다. 당나귀 보호단체 돈키생추어리(Donkey Sanctuary)는 아교를 위해 연간 590만 마리의 당나귀 가죽이 필요한 것으로 분석했다.
1
2
3
4
5
6
7
8
9
10
11~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