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1
" 특수차"으로 검색하여,
6 건의 기사가 검색 되었습니다.
-
2025-04-01▲ 기아 CI [출처=기아]기아(대표이사 사장 송호성)에 따르면 2025년 3월 글로벌 시장에서 27만8058대를 판매했다,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국내 5만6대, 해외 22만7724대, 특수 328대 등 전년 동기 대비 2.2% 증가했다. 도매 판매 기준이다.이는 지난해 같은 기간과 비교해 국내는 2.0% 증가했으며 해외는 2.2% 증가한 수치다. 특수 판매는 제외했다.차종별 실적은 스포티지가 4만9196대로 글로벌 시장에서 가장 많이 판매됐으며 쏘렌토가 2만5942대, 셀토스가 2만5790대로 뒤를 이었다.◇ 국내 판매기아는 2025년 3월 국내에서 전년 동월 대비 2.0% 증가한 5만6대를 판매했다. 지난달 가장 많이 팔린 차량은 쏘렌토로 1만155대가 판매됐다.승용은 레이 4584대, K5 2863대, K8 2704대 등 총 1만956대가 판매됐다. RV는 쏘렌토를 비롯해 카니발 7710대, 스포티지 6617대, 셀토스 5351대 등 총 3만5502대가 판매됐다.상용은 봉고Ⅲ가 3419대 팔리는 등 버스를 합쳐 총 3548대가 판매됐다.◇ 해외 판매기아의 2025년 3월 해외 판매는 전년 동월 대비 2.2% 증가한 22만7724대를 기록했다.차종별 해외 실적의 경우, 스포티지가 4만2579대 팔리며 해외 최다 판매 모델이 됐고 셀토스가 2만439대, K3(K4 포함)가 1만8200대로 뒤를 이었다.◇ 특수 판매특수 차량은 국내에서 99대, 해외에서 229대 등 총 328대를 판매했다.◇ 역대 1분기 최대 판매기아가 1962년 자동차 판매를 시작한 이래 역대 1분기 최대 판매 실적을 기록했다.기아는 2025년 1월부터 3월까지 국내 13만4412대, 해외 63만7051대, 특수 888대 등 77만2351대를 판매했다. 이는 2024년 1분기 판매량 76만514대보다 1.6% 증가한 수치다.이전 최대 1분기 판매는 2014년으로 국내 10만8005대, 해외 66만1912대 등 76만9917대를 판매했다(※ 선적 판매 기준, 도매 판매 기준은 2017년부터 도입).기아는 "전년 하반기 출시된 EV3와 스포티지, 쏘렌토 등 SUV 차종의 하이브리드 모델이 판매 호조를 이끌며 역대 최대 1분기 판매 실적을 기록했다"며 "앞으로도 EV4, 타스만 등 경쟁력 있는 신차로 판매 모멘텀을 이어 나갈 것이다"고 밝혔다.
-
2025-03-05▲ 기아 로고[출처=기아]기아(대표이사 사장 송호성)에 띠르면 2025년2월 글로벌 시장에서 국내 4만6003대, 해외 20만7462대, 특수 385대 등 전년 동기 대비 4.5% 증가한 25만3850대를 판매했다(도매 판매 기준).이는 지난해 같은 기간과 비교해 국내는 4.5% 증가했다. 해외는 4.4% 증가한 수치다(특수 판매 제외).차종별 실적은 스포티지가 4만6287대로 글로벌 시장에서 가장 많이 판매됐으며 쏘렌토가 2만4173대, 셀토스가 2만4040대로 뒤를 이었다.◇ 국내 판매기아는 2025년 2월 국내에서 전년 동월 대비 4.5% 증가한 4만6003대를 판매했다. 지난달 가장 많이 팔린 차량은 쏘렌토로 9067대가 판매됐다.승용은 레이 4287대, K5 2503대, K8 2457대 등 총 1만176대가 판매됐다. RV는 쏘렌토를 비롯해 카니발 7734대, 스포티지 6568대, 셀토스 4764대 등 총 3만2432대가 판매됐다. 상용은 봉고Ⅲ가 3281대 팔리는 등 버스를 합쳐 총 3395대가 판매됐다.◇ 해외 판매기아의 2025년 2월 해외 판매는 전년 동월 대비 4.4% 증가한 20만7462대를 기록했다. 차종별 해외 실적의 경우, 스포티지가 3만9719대 팔리며 해외 최다 판매 모델이 됐고 셀토스가 1만9276대, K3(K4 포함)가 1만6549대로 뒤를 이었다.◇ 특수 판매특수 차량은 국내에서 44대, 해외에서 341대 등 총 385대를 판매했다.기아는 "전년 하반기부터 잇따라 출시한 K4와 시로스 등 신차가 미국과 인도 등 해외 시장의 판매를 이끌며 글로벌 판매 호조를 보였다. 앞으로도 EV4 및 타스만 등 경쟁력 있는 신차로 판매 모멘텀을 이어 나가겠다"고 밝혔다.
-
중국 전기자동차 기업 BYD는 저장성 닝보시 펑화시(奉化市)에 전기버스 생산 공장을 건설하기로 결정했다고 밝혔다. 총 투자금액은 35억위안으로 2017년 6월 가동을 목표로 하고 있다.공장건설은 1, 2기로 나눠 진행되며 1기에는 15억위안을 투자해 EV버스공장을 건설한다. 2016년 6월 착공해 2017년 6월에 가동하는 EV버스 공장은 연간 2000대를 생산할 예정이다.2018년 6월 까지 연간 3000대로 확대하고 연간 매출액은 30억위안을 목표로 하고 있다. 또한 부품 관련 산업 연간매출액은 40억위안을 전망한다.제 2기에는 20억위안을 투자해 항만 전용차량 등 친환경 특수차량 생산공장을 건설할 계획이다. 완전 가동 후 연간 80억위안의 매출을 달성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한다.▲ China_BYD_Homepage▲BYD 홈페이지
-
베트남 자동차공업회(VAMA)는 2016년 1~5월 자동차 판매량이 11.1만대로 전년 동기 대비 31% 증가했다고 발표했다. 트럭 등의 상용차 부문이 42% 증가해 4.2만대를 기록한 것이 주효했다.자동차공업회는 2016년 전체의 판매량을 26만대로 전년 대비 10% 증가할 것으로 전망한다. 하지만 5월까지 판매 실적을 보면 예상치를 크게 상회하는 속도라고 밝혔다.부문별 판매량을 보면 ▲승용차 6.1만대 22% 증가 ▲특수차 약 8000대 59% 증가 ▲상용차 4.2만대 42% 증가를 각각 기록했다.국산·수입별 판매량은▲국산차 8.5만대 37% 증가 ▲수입차 2.6만대 16% 증가했다. 전체 중 국산차의 비율이 76.5%로 전년 동기의 73.4%에서 약간 확대됐다.VAMA에 가맹되어 있는 17개 업체의 판매량은 10.2만대로 전년 동기 대비 37% 증가해 전체 판매량의 대부분을 차지했다.또한 5월까지의 외자기업 12개사 판매량은 역대 최고인 5.2만대를 기록했다. 판매량은 토요타가 2.2만대로 1위였으며 포드가 1.1만대로 뒤를 이었다. 반면 '이스즈'와 '히노'는 각각 1%, 8%씩 감소했다.자동차공업회는 연초에 실시된 특별소비세(SCT) 개정에 따라 수입차의 판매가 약간 주춤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7월 1일 개정을 앞두고 증세가 실시될 대형차 부문의 갑작스런 수요를 예상했다.▲자동차공업회(VAMA) 홈페이지
-
베트남 정부에 따르면 러시아 간 자동차 조립 합의에 따라서 러시아 자동차 기업 카마즈(KAMAZ)·가즈(GAZ)·우아즈(UAZ) 등이 베트남 기업과 현지에 각각의 합작사 설립을 결정했다. 트럭 및 10인승 이상 승용차·사륜구동차량·특수차량 등을 조립할 예정이다.
-
[우크라이나] 자동차협회(Ukravtoprom), 2015년 자동차 수입량 8.64만 대로 전년 대비 41% 급감... 경기불황으로 상업용·특수목적 차량의 수입량도 72% 감소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