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1
" 패션산업"으로 검색하여,
3 건의 기사가 검색 되었습니다.
-
오스트레일리아 글로벌 자선단체인 Baptist World Aid에 따르면 2019년 패션 브랜드의 윤리 등급을 A +에서 F까지 평가한 것으로 드러났다. '2019년 윤리적 패션보고서'로 관련 내용을 공개했다.올해로 6번째이며 480개의 패션 브랜드를 포함해 130개의 의류회사들을 평가해 등급을 부여했다. 의류회사의 근로정책, 투명성, 근로자의 권리, 작업환경 관리 등으로 윤리적으로 옷을 제조하는지 여부를 평가한 것이다.소비자들 역시 자신이 구매하는 옷이 윤리적으로 만들어졌는지 알려고 노력 중이다. 2018년 1월 1일 현대노예제법(Modern Slavery Act)을 제정했다.2018년 기준 오스트레일리아 패션산업의 규모는 $A 235억달러에 달한다. 윤리적인 기업인지 평가결과에 따라 매출에 큰 영향을 받고 있어 동참하는 기업이 늘어나고 있다.패션 기업의 48%가 생활임금을 개선하기 위한 방법을 개발하기 시작한 것으로 나타났다. 14%의 패션 기업들이 공장 근로자의 임금을 상향하려는 계획획을 갖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A + 등급을 받은 패션 브랜드는 다음과 같다. Etiko, Freeset T-Shirts, Icebreaker, Kowtow, Liminal Apparel, Mighty Good Undies, Outland Denim, adidas 등이다.F 등급의 패션 브랜드는 Ally Fashion, Baby City, Bec and Bridge, Bloch, Camilla and Marc, C&M, Farmers, P.E. Nation, Lover, Cooper St, Rebecca Vallance, Jasmine & Will, Lowes, Beare & Ley, Merric, Pavement, Lemonade, Non Sense, Petals, Pom Pom, Co Co Beach, Zom-B, Scram, Wax, Showpo, 3 Wise Men, T&T, The Baby Factory, Co
-
태국 산업진흥국(DIP)의 자료에 따르면 향후 5년 이내에 의류수출액을 100억바트 달성하는 계획을 추진 중이다. 현재 섬유, 의류, 보석, 가죽 등의 매출액은 70억바트로 집계된다.정부는 패션산업을 발전시키기 위해 창조적인 아이디어를 동원해 기술과 디자인을 육성하고 있다. 태국만의 독특성을 강조해 글로벌 시장의 수요에 대응해 수출을 늘리는 것이 목표다.
-
인도네시아 국가경제산업위원회(KEIN)는 2016년 국가 창조경제 중 가장 영향력이 큰 산업으로 '무슬림 패션산업'을 지정했다.특히 할랄산업으로서 식품과 더불어 잠재성이 높은 분야로 주목되고 있으며 조코위도도 대통령과의 회의에서도 강조됐다. 현재는 글로벌 시장진입을 위한 마케팅에 집중하고 있다.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