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1
" 플라스틱 용기"으로 검색하여,
9 건의 기사가 검색 되었습니다.
-
2025-02-21▲ LG화학 로고[출처=LG화학]LG화학(대표이사 신학철 부회장)에 따르면 중국 톈진공장과 여수 화치공장이 글로벌 안전규격 인증기관인 UL Solutions(UL)으로부터 ‘폐기물 매립 제로(ZWTL, Zero Waste to Landfill)’ 인증을 획득했다.LG화학 중국 톈진공장은 사업장 폐기물 재활용률 100%를 달성해 UL이 부여하는 최상위 등급인 ‘플래티넘’ 등급을 받았다. 여수 화치공장은 재활용률 96%를 달성해 ‘골드’ 등급을 받았다.LG화학이 폐기물을 매립하지 않고 자원으로 재활용하는 국제 인증을 추가했다. 플래티넘의 경우 2022년 중국 취저우, 2023년 광저우에 이어서 3년 연속으로 이룬 결과다.‘폐기물 매립 제로’ 인증은 기업의 자원재활용 노력을 평가하는 제도로 사업장에서 발생하는 폐기물을 매립하지 않고 재활용하는 비율에 따라 △실버(재활용률 90∼94%) △골드(95∼99%) △플래티넘(100%) 등급을 부여한다.LG화학 톈진공장은 제조 과정에서 사용 후 버려지는 목재 및 플라스틱 용기를 전량 재활용으로 전환했다. 2024년 검증 기간 내 발생한 폐기물 약 450톤(t) 가운데 93%를 재활용하고 매립률을 제로화(0%)하는 데 성공했다.여수 화치공장은 통상적으로 소각되는 폐수 침전물 약 1만300t톤을 재활용으로 전환했다. 향후 공장 가동에 필요한 에너지 열원도 폐목재 등의 바이오매스 연료로 전환할 계획이다.LG화학은 전사 ESG 경영의 일환으로 ‘폐기물 배출 및 재활용’을 중점 과제로 추진해 2022년 국내 석유화학 업계 최초로 폐기물 매립 제로(ZWTL) 인증 취득했다. 현재까지 인증 사업장을 이번 인증을 포함해 총 6곳으로 확대했다.LG화학은 여수시, 한국환경공단 등과 민관협력 업무협약을 맺고 2026년까지 사업장 내 폐플라스틱 재활용 활동에도 적극 앞장서고 있다.그 일환으로 LG화학의 제품·원료를 담는 포장백을 소비자 사용 후 재활용된(PCR: Post Consumer Recycled) 소재로 교체하는 작업이 지속 추진되고 있다.LG화학은 "탄소 발자국을 줄이기 위한 다양한 과제들을 수행해 전 사업장에 대한 폐기물 재활용률을 지속 높이고 관련 인증도 확대할 계획이다"고 밝혔다.
-
2022-02-24영국 수퍼마켓체인운영기업인 모리슨(Morrisons)에 따르면 연간100톤의 플라스틱 폐기물을 절감할 계획이다. 9종의 모리슨 우유 제품을 탄소중립 테트라 팩(Tetra Pak) 포장재에 담아 판매하기 때문이다. 자체 브랜드 우유 제품에 대해 기존의 플라스틱 포장용기를 폐기하고 식물성 마분지 포장제로 대체하는 최초의 슈퍼마켓이 됐다.현재 국내에서 우유 제품에 사용되는 플라스틱 포장용기는 모든 플라스틱 포장용기 및 포장제의 약 10%를 차지한다.하지만 새로운 테트라 팩 포장제는 식물성 종이 보드로 만들어진 것이다. 지속가능한 원자재인 사탕수수의 폴리에틸렌으로 만든 매우 얇은 플라스틱 코팅층과 트위스트 캡 등도 포함된다.테트라 팩 포장제는 산림관리협의회인 Forest Stewardship Council과 환경보호단체인 Carbon Trust, Carbon Neutral 등의 인증도 받았다.인증서를 발급한 상기 3개의 단체들은 모리슨의 이번 행보가 이산화탄소 배출 감축에 대한 일반대중의 인식을 높이고 플라스틱이 얼마나 오랫동안 지구환경을 악화시키는지 알리는 데 기여한다고 판단했다.향후 모리슨은 자사 브랜드의 주스 제품도 기존의 플라스틱병에서 종이 포장재로 대체할 계획이다. 이로써 연간 678톤의 플라스틱 폐기물을 추가로 줄일 것으로 예상된다. ▲모리슨(Morrisons) 로고
-
유럽연합(EU)에 따르면 2021년 7월 3일부터 일회용 플라스틱 및 스타이로폼 식기 및 용기의 시장 유통 금지를 시행했다. 해양쓰레기의 80%가 일회용품에 의한 플라스틱 쓰레기이기 때문이다. 금지 조치를 통해 유럽 해안의 오염 쓰레기를 70% 절감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사람들의 건강과 더불어 지구 환경 보호를 목적으로 지속가능한 순환경제를 시행할 방침이다. 금지 대상은 외식산업의 일회용 숟가락, 빨대, 접시 등 해안오염 물질 상위 10개 품목이다. ▲유럽연합(EU) 로고
-
2018-10-11뉴질랜드 글로벌 식품포장재 제조업체 후타마키(Huhtamaki)에 따르면 핸드슨(Henderson) 소재 자사의 제조공장에서 구조조정의 일환으로 128명을 해고할 예정이다. 핸드슨공장은 오클랜드(Auckland)에 위치해 있다.핸드슨공장의 생산물량은 해외 공장으로 옮길 예정이다. 포장재 제조시장에서의 경쟁력 제고를 위한 목적이다. 핸드슨공장에서 150명의 직원은 고용을 유지할 계획이다.오클랜드에는 3개의 공장이 운영하고 있는데 이중 1개에서 직원을 줄이려는 것이다. 국내에서의 사업실적은 계속해서 하락하고 있으며 수요 및 이익도 감소 중이다.2015년 기준 국내 제조공장 총이익은 $NZ 600만 달러, 세후이익은 6만1000달러로 각각 집계됐다. 모기업은 헬싱키증시(Nasdaq Helsinki)에 상장된 후타마키 Oyj(Huhtamaki Oyj)이다.후타마키는 1939년 국내에서 처음 식품포장재 제조업을 시작했으며 1962년 핸드슨공장을 오픈했다. 주요 제품은 종이 컵, 플라스틱 컵, 테이크어웨이 용도의 플라스틱 용기, 와인 포장재 등이다.▲후타마키(Huhtamaki)의 와인 포장재(출처 : 홈페이지)
-
뉴질랜드 슈퍼마켓 울워스(Woolworths)에 따르면 최근 환경친화적인 고객들이 자사의 판매 중인 고구마의 플라스틱 포장용기에 대해 비판을 가하고 있다.소셜미디어를 통해 울워스의 'gold kumara' 고구마에 대한 플라스틱포장용기의 사용 자제를 촉구하고 나선 것이다. 공산품이 아닌 농산물까지 환경폐기물이 될 플라스틱 포장용기를 사용하는데 대한 반발이다.고객들은 농산물일 경우 고객이 사고 싶은 만큼 저울을 이용해 구입한 후 시장바구니에 담아 오면 플라스틱포장용기를 줄일 수 있다고 주장한다. ▲울워스(Woolworths) 로고
-
뉴질랜드 비영리 자선단체 Agrecovery의 자료에 따르면 테무카(Temuka)의 재활용시설은 플라스틱 농업용기를 유용한 제품으로 재탄생시키는 대표적인 공장이다.뉴질랜드 시장에서 농업용 화학제품, 동물 건강 및 낙농예방접종약 등을 판매하는 업체들은 사용후에 버려지는 용기의 회사에 대해 책임을 부담해야 한다. 는 국가프로그램의 선두주자이다.Agrecovery는 2007년 환경부에서 시작했으며 Agcarm, DairyNZ, Federated Farmers, Horticulture New Zealand, Rural Contractors New Zealand, Waikato Regional Council for local government 등의 기관을 대표한다.▲Agrecovery 홈페이지
-
2017-01-19▲ 말레이시아 말라야대(Universiti Malaya) 빌딩 [출처=홈페이지]말레이시아 셀렝고르 주정부에 따르면 2017년 1월부터 '플라스틱' 포장재·용기 등의 사용을 금지하기로 결정했다. 환경보존과 국민건강을 위해 위해물질을 배제하는 것이다.이러한 주정부의 결정에 말라야대(Universiti Malaya) 독물학과 교수진에서도 플라스틱 봉투나 그릇에 아직 검증이 되지 않은 합성수지 물질이 많기 때문에 적절한 조치라고 입을 모았다.특히 플라스틱 포장재에는 비스페놀A라는 합성화학물질이 있다. 에스트로겐과 유사한 호르몬 작용이 나타날 수 있기 때문에 인간에게 위해할 수 있다는 연구가 다수 발표되고 있다.
-
일본 사무기기제조업체 리코(リコー)는 2016년 플라스틱포장용기 및 가전제품플라스틱 등의 회수재료를 원재료로 사용가능한 ‘재생재료’로 개발했다. 올해부터 발매하는 복합기에 탑재할 예정이며 제품 제조 시 재료량의 절감이 가능하다.
-
▲ 인도 정부 빌딩 [출처=홈페이지]인도 카르나타카(Karnataka)주에 따르면 4월 1일부로 패스트푸드점과 카페의 플라스틱 용기 사용을 금지했다. 세수 뱅녁을 살펴보면 맥도날드·KFC·카페커피데이 등은 포장용기 생분해성 플라스틱으로 변경해야 한다. 업체들은 친환경용기 사용으로 변경되면 18~30% 가격 인상 불가피 하다고 주장했다.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