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2
" 플러그인하이브리드 자동차"으로 검색하여,
14 건의 기사가 검색 되었습니다.
-
▲ 기아 로고[출처=기아자동차]기아자동차(대표이사 송호성)에 따르면 2025년 1월24일(금) 2024년 4분기(10~12월) 실적을 발표하고 주주 및 투자자 대상으로 기업설명회를 개최했다.지난 4분기 경영실적(IFRS 연결기준) 기준 △판매대수(도매 기준) 76만9985대 △매출액 27조1482억 원 △영업이익 2조7164억 원 △세전이익(경상이익) 2조4638억 원 △당기순이익 1조7577억 원 등을 공시했다.2023년 4분기와 비교해 판매대수는 5%, 매출과 영업이익은 각각 11.6%, 10.2% 증가했다. 영업이익률(10%)은 2022년 4분기 이래 9분기 연속으로 두 자릿수를 달성했다. 같은 기간 당기순이익도 8.5% 늘어나며 실적 개선 흐름을 이어갔다.기아는 확고한 상품 경쟁력으로 북미와 신흥 시장에서 판매대수가 증가했다. 다각화된 파워트레인(PT) 경쟁력과 차별화된 관리 능력을 바탕으로 전년 동기 대비 이익 성장을 달성했다.이어 2024년 4분기 인센티브 및 기타 비용이 다소 늘어났지만 본원적 경쟁력에 따른 판매 호조 및 환율 효과로 이를 상쇄했다고 설명했다.투자자 가이던스 차원에서 기아는 2025년 전망 및 사업계획도 발표했다. 기아는2025년 연간 판매목표(321만6000대)를 지난해 대비 4.1%, 연간 매출(112조5000억 원)은 같은 기간 4.7% 증가할 것으로 전망했다. 같은 기간 영업이익은 12조4000억 원, 연간 영업이익율은 11%로 각각 제시했다.기아는 대외 불확실성에도 제품 믹스 및 평균 판매가격(ASP) 개선에 따른 본원적 경쟁력을 앞세워 올해에도 두 자릿수 영업이익율을 지속적으로 유지할 것으로 확신한다고 설명했다.◇ 2024년 4분기 국내 14만934대 및 해외 62만9051대 판매2024년 4분기 기아는 국내 14만934대, 해외 62만9051대 등 전 세계(글로벌) 시장에서 전년 동기 대비 5% 증가한 76만9985대(도매 기준)를 판매했다.국내에선 스포티지 상품성개선(PE) 모델을 출시하고 K8·카니발 하이브리드 판매가 늘어나면서 전년 동기 대비 판매대수가 1.6% 증가했다. 북미를 비롯한 해외 시장에선 K4·카니발 하이브리드 등 신차 효과에 레저용 차량(RV) 판매 증가로 5.8% 늘었다.경영실적을 살펴보면 매출이 전년 동기 대비 11.6% 증가한 27조1482억 원으로 집계됐다. 글로벌 판매대수가 2023년 4분기와 비교해 3만6000여대(5%) 늘어났고, 평균판매가격(ASP)이 5.9% 상승하며 매출 증가에 기여했다.같은 기간 영업이익 역시 10.2% 증가한 2조7164억 원을 기록했다. 2023년 4분기와 비교하면 판매장려금(인센티브) 및 판매보증 충당부채의 원화 환산 금액이 증가했지만 북미·신흥시장을 중심으로 한 판매 호조와 우호적 환율 효과 등이 이를 상쇄했다.매출원가율은 전년동기 대비 0.7%포인트 상승한 78.8%, 판매관리비율은 효율적 예산 집행에 따른 마케팅 비용 축소로 같은 기간 0.6%포인트 개선된 11.2%다.기아의 2024년 연간 경영실적은 △도매판매 308만9300대 △매출 107조4488억 원 △영업이익 12조6671억 원 △영업이익률 11.8%로 집계됐다.연간 기준으로 사상 첫 100조 원 대 매출을 달성했을 뿐 아니라 역대 최다 판매, 최대 영업이익, 최고 영업이익률을 올렸다.세부별로 보면 도매판매는 전년 대비 0.1%, 매출은 7.7%, 영업이익은 9.1% 각각 증가했고, 영업이익률도 전년 대비 0.2%포인트 높아졌다.◇ 2024년 4분기 친환경차 판매 전년 동기 대비 14.5% 증가한 16만4000대4분기 친환경차 판매대수는 전년 동기 대비 14.5% 증가한 16만4000대(소매 기준, 백 단위 반올림)로 집계됐다.특히 하이브리드차(10만 대)가 2023년 4분기(7만6000대)와 비교해 31.7% 증가했다. 미국에서 4분기 출시한 카니발 하이브리드, 국내에서 지난해 하반기 출시한 K8 하이브리드가 판매 증가를 이끌었다.지난 4분기 전체 판매대수 가운데 친환경차 비중(21.5%)은 전년 동기(19.9%) 대비 1.6%포인트 상승했다. 주요 시장별 친환경차 비중은 △국내 42.3%(전년 동기 대비 3%포인트 증가) △미국 19.3%(5.3%포인트 증가) △서유럽 40.1%(2.4%포인트 감소) 등으로 나타났다.2024년 연간 글로벌 친환경차 판매는 63만8000대로 전년 대비 10.9% 증가했다. 세부별로 살펴보면 △하이브리드 36만7000대(전년 대비 20% 증가) △플러그인하이브리드(PHEV) 7만1000대(19.5% 감소) △전기차(EV) 20만1000대(10.2% 증가)로 집계됐다. 친환경차 비중은 지난해 대비 2.3%포인트 증가한 21.4%로 집계됐다.◇ 2025년 321만6000대 판매해 112조5000억 원 매출 달성 목표기아는 2025년 실적 가이던스로 △판매 321만6000대 △매출 112조5000억 원 △영업이익 12조4000억 원 △영업이익률 11%를 제시했다. 도매판매는 지난해와 비교해 4.1%, 매출은 4.7% 증가할 것으로 전망했다.외부 환경 변화에도 기아는 제품 믹스·ASP 개선에 따른 차별화된 경쟁력을 앞세워 올해에도 두 자릿수 영업이익율을 지속 유지할 것으로 확신하고 있다. 선진 시장인 북미와 유럽 등지에선 하이브리드·EV 등 친환경차 판매를 지속적으로 늘릴 계획이다.신차로는 기아의 첫 픽업트럭인 타스만, 인도 전략모델 시로스, 목적 기반 모빌리티(PBV) PV5를 올해 출시한다. 세단형 전기차 EV4를 전 세계에 순차 출시하고, 준중형 SUV EV5를 국내 출시해 ‘대중화 EV 풀 라인업’을 구축한다.◇ 2025년 주주 배당금은 연간 기준으로 주당 6500원씩 지급회사의 성장을 지원한 주주 및 투자자를 위해 기아는 경영 성과에 대한 적극적 보상을 실시하기로 했다. 2025년 주주 배당금은 연간 기준으로 주당 6500원씩 지급한다. 지난해(5600원)와 비교하면 900원 증가했다. 자사주 매입·소각분(7000억원)은 전년 대비 2000억원 확대했다.주주가치 제고를 위해 매입한 자사주는 올해부터 조건 없이 100% 소각한다. 2024년에만 하더라도 1분기에 연간 자사주 매입분의 50%, 3분기 누적 기준으로 재무 목표 달성 시 나머지 50%를 소각했다.매입 방식도 연중 상·하반기 분할 형태로 전환한다. 2024년까진 1분기에 자사주를 전량 매입했지만 수급 안정화 및 안정적 주가 흐름을 위해 상·하반기 분할 매입 방식을 택했다.최근 발표한 밸류업 프로그램에 따라 ‘총 주주환원율(TSR, 배당 및 자사주 매입·소각분)’은 2024년 기준으로 33.3%를 달성한다. 2023년(30.7%)과 비교하면 2.6% 포인트 증가했다. 2025년 기준으로는 TSR를 35%까지 확대할 예정이다.기아는 앞으로도 경영 성과뿐 아니라 주주에 대한 이익 환원을 동시에 추구하는 동반 성장 기조를 지속적으로 강화할 계획이다. 주주 및 투자자와의 적극적 소통을 위한 ‘최고경영자(CEO) 인베스터 데이’는 4월 초 실시한다.
-
▲ 일본 도요타자동차 빌딩 [출처=홈페이지]일본 도요타자동차(トヨタ自動車)에 따르면 2024년 3월 하순 자동차용 전지의 양산 체제를 강화하기 위해 프라임어스EV에너지(プライムアースEVエナジー·PEVE)를 완전 자회사화할 계획이다.도요타자동차는 지분의 80.5%를 보유하고 있지만 지분의 19.5%를 보유하고 있는 파나소닉홀딩스와 합의했다. 현재 PEVE는 하이브리드자동차(HEV)용 전지를 생산하고 있다.전기자동차(BEV)와 플러그인하이브리드자동차(PHEV)용 전지를 생산하는 회사는 프라임플래닛에너지&솔류션즈이며 도요타자동차가 51%, 파나소닉홀딩스가 49%의 지분을 소유하고 있다.또한 도요타자동직기는 HEV용 전지를 양산 중이다. 향후 PEVE는 HEV용 전지 뿐 아니라 BEV, PHEV용 전지도 생산할 방침이다. 양산 체제를 갖춤으로써 전지의 수요 확대에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다.참고로 PEVE는 1996년 1월 도요타자동차가 40%, 파나소닉홀딩스가 60%의 지분을 투자해 설립한 파나소닉EV에너지가 모체다. 2005년 10월 도요타자동차가 단독으로 증자에 참여해 지분율을 60%를 상향시켰다.
-
태국 투자위원회(BOI)에 따르면 새로운 전기자동차 생산 장려 프로그램에 플러그인하이브리드카(PHEV)도 대상이 될 예정이다.지금까지 대상이 되어온 것은 전동운송장비(EV)와 배터리전동수송기기(BEV)지만 뿌라윳 총리의 지시로 PHEV도 추가될 것으로 전망된다.
-
일본 토요타자동차(トヨタ自動車)는 2016년 8월 신형 플러그인하이브리드카(PHV)인 '프리우스PHV' 발매를 연기한다고 발표했다. 2016년 가을에 발매할 예정이었지만 겨울로 연기했다.가볍고 튼튼한 수지로 만들어진 뒷문을 채용했지만 생산이 늦어지면서 당초 발매 시기까지 필요한 대수를 맞추지 못할 것으로 판단했기 때문이다. 생산대수도 10월에 약 4000대에서 1500대 정도로 하향조정한다.
-
토요타자동차는 2016년 가을에 발매하는 플러그인하이브리드카(PHV)에 파나소닉의 태양광발전패널을 채용한다고 발표했다.신형 PHV인 '프리우스PHV'는 차의 루프에 장착된 태양광발전패너로 발전한 전력을 사용해 주행하기 때문에 효율이 높은 파나소닉제품을 채용한 것으로 보인다. 주택지붕 용도로 판매한 파나소닉제 'HIT태양전지' 180킬로와트짜리를 유리에 끼워서 루프에 설치하는 것으로 태양열전지판을 주행용 전력에 쓰는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HIT는 고온에서도 발전능력의 저하가 쉽게 발생하지 않기 때문에 루프위에서도 안정적인 발전이 예상된다. 파나소닉은 이번 채용을 기회로 텔레비전 등의 음향, 영상 기술을 차량기기에도 적용하는 사업을 추진하는 등 차량기기사업을 확대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2▲신형 PHV인 프리우스PHV(출처 : 토요타)▲ 1▲프리우스PHV에 설치된 태양광발전패널
-
일본 토요타자동차(トヨタ自動車)는 2016년 가을에 판매예정인 플러그인하이브리드카(PHV)에 파나소닉 대양광전지발전패널을 채용한다고 발표했다.신형 PHV인 '프리우스PHV'는 차의 루프에 붙인 태양광발전패널에서 발전된 전력을 주행에 사용하기 때문에 효율이 높은 파나소닉제를 채용한 것으로 판단된다.
-
일본 자동차제조업체 미쓰비시(MMPC)의 자료에 따르면 플러그인하이브리드를 포함한 신형 모델 현지 생산을 늘리기 위해 투자금을 늘릴 계획이다.기존의 생산용량은 연간 5만대에서 10만대로 늘릴 예정이다. 기존에 투자하려고 했던 43억페소는 연간 5만대 생산을 기준으로 결정한 것이다.
-
중국 자동차기술연구센터(CATARC)에 따르면 2016년 5월 국내 기업의 신에너지 차량 생산대수는 3만109대로 전년 동월 대비 59.4% 증가했다. 전월 대비로는 4% 하락했다.5월에 생산한 신에너지 차량 중 전기자동차(EV) 비율은 73.4%로 매우 높으며 플러그인하이브리드차량(PHV)의 비율은 26.6%를 차지했다.또한 생산된 차량 중 73.7%가 승용차량이며 버스차량의 비율은 25.3%, 전용차량 비율은 1% 미만이다.1~5월에 총 생산된 신에너지 차량은 10만 대 이상으로 EV승용차가 약 50%를 차지하고 있으며 PHV승용차는 7000대 이상을 생산했다.▲ 자동차기술연구센터(출처 : CATARC 홈페이지)
-
중국 자동차기술연구센터(CATARC)에 따르면 2016년 5월 국내 기업의 신에너지 차량 생산대수는 3만109대로 전년 동월 대비 59.4% 증가했다. 전월 대비로는 4% 하락했다.2016년 1~5월 신에너지 차량은 생산은 10만 대 이상으로 EV승용차가 약 50%를 차지했다. PHV승용차는 7000대 이상을 생산했다.▲ 자동차기술연구센터(출처 : CATARC 홈페이지)
-
일본 토요타자동차(トヨタ自動車)는 2018년부터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자동차(PHV)를 중국시장에 판매하기로 결정했다. 소형차인 ‘코롤라’, ‘레빈’ 2개의 차종을 현지에서 생산할 계획이다.중국 현지에서 PHV를 투입하는 것은 일본기업 중 처음으로 친환경 자동차 시장 진출을 본격화한다. ▲ 현지생산 ▲ 구매보조 등으로 가격을 인하시켜 판매를 증가시킬 목표를 수립했다.향후 중국 시장에 배기량 1.2리터 터보엔진과 안전운전의 최신기술을 도입해 세계 시장으로 진출할 것으로 전망된다.▲ 코롤라 이미지(출처 : 토요타 홈페이지)
1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