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1
" 해킹 공격"으로 검색하여,
2 건의 기사가 검색 되었습니다.
-
2025-04-24▲ 국정원, 조선업체 대상 ‘사이버보안’ 현장 간담회 진행[출처=국가정보원]국정원(원장 조태용)에 따르면 2025년 4월23일(수) 부산광역시 누리마루 APEC하우스에서 부산·울산·경남 소재 조선업체 정보보호최고책임자(CISO) 및 유관기관 관계자 50여 명과 간담회를 진행했다.이번 간담회는 북한 해킹조직이 2023년 말부터 최근까지 김정은의 해군무력 강화 지시이행을 위해 국내 조선사 해킹 공격을 지속하고 있는 상황에 이뤄졌다.특히 우리 조선업체가 최근 美 함정의 유지보수·수리·정비(MRO) 시장에 본격 진출할 가능성이 거론됨에 따라 위험도가 높아진 상황을 고려해 마련됐다.국정원은 이날 실제 피해사례를 중심으로 북한의 해킹 공격수법을 상세히 설명하고 예방법 등 사이버위협 대응 방안을 자세히 안내했다.이어 기업들의 MRO사업과 관련해 美 국방부가 도입한 ‘사이버보안 성숙도 모델 인증제도’(CMMC)를 소개하고 주요 평가지표에 해킹사고 대응·관리 역량이 포함된다는 점을 강조했다.Cybersecurity Maturity Model Certification은 방산 공급망 사이버보안 강화 위한 필수 인증제도다. 국정원은 업계의 적극적인 참여도 중요하다며 민관 합동 사이버위협 대응을 위해 지난해 발족한 ‘사이버 파트너스’ 동참을 제안했다.간담회에 참석한 업체 관계자는 “국정원이 조선업체 밀집지역에서 진행한 현장 서비스에 인상 깊었다. 실제 사례와 그에 따른 보안대책 설명 덕분에 현장에 바로 적용할 수 있겠다”고 정기적 개최를 희망했다.국정원 국가사이버안보센터 관계자는 “높은 기술력을 가진 우리 조선업계는 항상 북한 등 사이버위협 세력의 타깃이기에 방심해선 안 된다. 국정원은 업계의 사이버보안 애로사항 해결을 적극 돕겠다”고 강조했다.
-
2021-12-16미국 P2E(Play-to-earn) NFT 플랫폼 벌컨 포지드(Vulcan Forged)에 따르면 해킹공격으로 $US 1억4000만달러 상당의 암호화 자산을 도난당했다. 해커들은 96개의 지갑 키에 접근해 프로젝트 순환 토큰 공급량의 23.7%을 훔쳐갔다. 따라서 벌컨 포지드는 해커가 훔친 자금을 현금화하는 것을 어렵게 만들기 위해 커뮤니티 구성원들에게 분산형 거래소의 유동성 풀에서 자금을 인출하도록 요청했다.누군가가 벌컨 포지드의 서버를 해킹해 Venly 자격 증명을 가지고 사용자의 개인 키를 추출해 사용했다. 벌컨 포지드 또한 준 수탁 지갑 솔루션 Venly를 사용해 사용자의 개인 키를 관리하고 있다.따라서 준 보관 지갑 솔루션 Venly를 사용하고 있어 문제가 없으며 악용 및 해킹되지 않는다고 밝혔다. 게임 생태계는 이더리움(Ethereum), 폴리곤(Polygon), 비체인(VeChain) 블록체인에서 생성된 암호화 지갑을 플레이어들에게 제공한다.이러한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하기 위해 탈중앙화 지갑만을 사용할 계획이다. 다시는 이런 문제가 발생되지 않을 것이라고 밝혔다.참고로 코인게코(CoinGecko)에 따르면 현재 암호화 시장 전체 시가 총액이 3조달러를 기록해 호황을 누리고 있어 해커들의 공격 대상이 되고 있다. 또한 2020년 암호화폐 관련 범죄 피해액은 약 105억2000만달러에 달한다.▲ 벌컨 포지드(Vulcan Forged) 홈페이지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