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1
" 3D 모니터"으로 검색하여,
2 건의 기사가 검색 되었습니다.
-
2025-05-13▲ ‘BUTECH 2023’ 개막식 사진 [출처=부산국제기계대전 사무국]부산국제기계대전 사무국에 따르면 2025년 5월20일(화)부터 23일(금)까지 4일간 부산 BEXCO 제1·2전시장에서 ‘제12회 부산국제기계대전(BUTECH 2025)’이 개최된다.부산국제기계대전은 부산광역시와 부산기계공업협동조합, 부산경남금형공업협동조합이 공동 주최하고 한국산업마케팅연구원과 KOTRA가 주관하고 있다.‘스마트 제조, 미래 혁신의 꿈’을 주제로 열리는 이번 전시회는 인공지능(AI), 로봇, 스마트팩토리 등 미래형 제조기술을 총망라한 산업 종합 무대로 총 31개국에서 536개 기업이 참가하고 1845개 부스로 구성된 역대 최대 규모로 치러진다.◇ AI와 로봇이 만드는 스마트 제조의 현장전시장에서는 AI 기반 자율제조 기술, 로봇 자동화 시스템, 디지털 금형 설계, 3D프린팅, 공정 모니터링 솔루션 등 제조업 전반의 디지털 전환 기술이 대거 소개된다.특히 ‘AI 자율제조 특별관’과 ‘디지털금형 특별관’, ‘부산 뿌리산업혁신공동관’에서는 실제 산업 현장에 적용 가능한 사례 중심의 시연과 전시가 함께 진행돼 참관객의 실질적인 이해를 도울 예정이다.◇ 글로벌 시장 진출을 위한 수출구매상담회핵심 행사인 ‘수출구매상담회’는 KOTRA와 공동으로 주관한다. 스페인·인도·카타르 등 13개국 36개사 바이어가 참가해 참가업체들과 1:1 수출 상담을 진행한다.이번 상담회는 총 US$ 2억 달러 규모의 수출 상담, 5000만 달러 이상의 계약 성사를 목표로 하며 동남권 제조기업의 글로벌 진출 발판 마련에 큰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참가업체 소개이번 BUTECH 2025에는 국내외 첨단 제조기술을 선도하는 다양한 강소·중견·글로벌 기업들이 대거 참가한다.글로벌 판금가공 분야에 한국트럼프, 바이스트로닉코리아, 에이치케이 등 레이저 가공기술 분야 대표 기업들이 참가해 고정밀 절단 장비와 절곡 자동화 시스템을 시연할 예정이다.우진플라임은 국내 사출성형기 시장 점유율 1위 기업으로서 친환경 목재 기반 소재(CXP)를 활용한 ESG(환경·사회·거버넌스) 대응 사출기술을 선보인다.유니버설로봇과 한국앱손은 협동로봇, 스카라 로봇 등 산업용 자동화 로봇 분야의 최첨단 솔루션을 출품하며 고속·고정밀·고효율에 기반한 자동화 기술을 공개할 계획이다.이외에도 에스아이에스, 주강로보테크, 에이치씨엔씨 등 로봇 시스템통합(System Integration, SI) 및 무인 자율운반차량(AGV/AMR) 솔루션 제공업체들도 참여한다.비젠트로, 버넥트, 포메이션랩스, 엔이에스 등은 스마트팩토리 구축 및 데이터 기반 공정관리 시스템을 주제로 한 전시를 진행하며 스마트 제조 전환에 실질적인 도움을 주는 플랫폼을 소개한다.3D 프린팅 분야에서는 에이치디씨, 파트너스랩, 에이치알티시스템, 브룰레코리아, 프로토텍 등이 참가해 시제품 제작, 맞춤형 설계, 비용절감형 금형제작 기술 등을 집중 조명한다.이 밖에도 하이윈코퍼레이션, 산요전기코리아, 인텍오토메이션, 한국이구스 등 각 산업군을 대표하는 고부가가치 기술 기업들이 총출동할 예정이다.중국에서는 JINAN BODOR CNC MACHINE, PENTA LASER, HANS LASER 등 주요 기업이 참가하며 아시아 시장 내 기술력과 제품 경쟁력을 집중적으로 소개한다.이러한 참가업체 구성은 BUTECH 2025가 단순한 전시를 넘어 산업 간 융합과 기술 교류의 글로벌 허브로 자리매김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BUTECH 2023’ 전시장 전경 [출처=부산국제기계대전 사무국]◇ 동남권 제조업, 2025년 구조적 호황 진입... 첨단기술과 수출 반등이 이끄는 산업 생태계 전환의 시작2025년을 기점으로 부산·울산·경남을 중심으로 한 동남권 제조업이 구조적 호황기에 진입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이는 자동차, 조선, 기계, 반도체 장비 등 지역 주력산업의 수출 회복세와 함께 AI 자율제조와 스마트팩토리 전환, ESG 기반 공정혁신 등 신기술 도입이 빠르게 이뤄지고 있는 데 따른 것이다.특히 글로벌 공급망 재편에 따라 중국 의존도를 줄이고 대체 생산기지를 확보하려는 글로벌 수요가 증가하면서 정밀부품·소재 공급능력과 물류 인프라를 동시에 갖춘 동남권 제조기반의 전략적 가치가 부각되고 있다.부산항, 김해공항, KTX 등 대규모 인프라를 보유한 부산, 수소경제·에너지 전환을 선도하는 울산, 조선·방산·플랜트·로봇 분야 중후장대형 기계 기반이 탄탄한 경남까지 지역별 기능이 상호보완적으로 작동하고 있다.정부와 지자체의 정책 지원이 결합되며 기술력-생산력-수출력의 3박자가 맞아떨어지는 산업 플랫폼이 형성되고 있다.또한 기존 제조산업이 기술혁신과 친환경 전략을 중심으로 재정렬되며, 지역경제 전반의 구조적 재도약을 시작하는 변곡점이라는 평가를 받고 있다.◇ BUTECH 2025 중점육성 포인트· 역대 최대 규모· 국제 경쟁력을 갖춘 글로벌 전시회- UFI (국제전시연합) 및 산업통상자원부 국제인증- 해외 바이어 500명, 참가업체의 해외업체 비중 30% 이상- KOTRA, JETRO, TAITRA 등 투자기관 및 해외 에이전트와 협력해 글로벌 마케팅 및 바이어 초청 진행· 4차 산업혁명을 반영한 미래지향적 콘텐츠 전시- 제조업 고도화를 위한 디지털 전환(DX) 및 인공지능 전환(AX)- AI 자율제조특별관 운영, AI 자율제조혁신 포럼· 대·중·소 협력 중심의 실질적 비즈니스 장- AI 제조기술과 제조기업간 공동 기술개발 및 R&D 매칭- 제조설비 공동 설계, 생산 협업 - 상호 부품조달 및 납품- 대기업이 추진 중인 ESG 전략에 중소 협력사 공동 대응· 지역 전략산업(첨단융합기계부품)과의 시너지 창출 기회 제공- 기계+IT+에너지 융합으로 스마트팩토리, 친환경 공정기술 개발- 글로벌 수출 클러스터 구축· 부산항, 공항, 철도 물류인프라와 연계한 기계부품 전문 수출클러스터 육성- 대·중소기업 간 수요기반 협력· 조선/항공 대기업과 기계부품업체 간 공동 밸류체인 운영- 공동 마케팅 및 지역 브랜드화 아이디어 제시예) ‘부산기계부품(Busan Precision Parts)’ 같은 지역 공동브랜드 론칭▲ ‘BUTECH 2023’ 전시장 전경 [출처=부산국제기계대전 사무국]◇ 행사개요· 기간 : 2025. 5. 20.(화) ~ 5. 23.(금)/4일간· 장소 : BEXCO (벡스코)· 규모 : BEXCO 1, 2 전시장/3만4716㎡/총 1845부스· 주최 : 부산광역시, 부산시기계공업협동조합, 부산경남금형공업협동조합· 주관 : 한국산업마케팅연구원, KOTRA· 후원 : 산업통상자원부, 한국산업단지공단 외· 참가업체 : 31개국 536개 업체(국내: 374개 업체, 국외: 162개 업체)· 관람객 : 6만2000명(국내: 6만1500명, 국외: 500명)· 수출상담 : 20억 달러(계약: 2억달러)· 경제효과 : 500 억원· 전시품목 : 기계 관련 종합전시회(BUTECH)- 1전시장 : △기계기술전 △금형산업전 △플라스틱·고무산업전 △공구·제어계측기기전 △부품·소재산업전 △유공압기술전 △용접·주단조·열처리·표면처리산업전 △수송기계·운반·하역·물류시스템전 △신재생에너지·환경산업전- 2전시장 : △로봇산업전 △스마트공장솔루션전 △공장자동화전 △3D프린팅산업전 △공장용품전◇ 부대행사· 개막행사- 일시/장소 : 2025. 5. 20.(화) 11:00 ~ 12:00 (BEXCO)- 행사내용 : 버튼 점등, 전시장 순시- 참석대상 : 시장, 산업부, 시의회의장, 업체대표 등 30여 명· 제조업 공동관- 기간 : 2025. 5. 20.(화) ~ 5. 23.(금)- 장소 : BEXCO 전시장/회의실- 내용 : 뿌리혁신특별관(30부스), 디지털금형특별관(20부스), AI제조 특별관(10부스), 부천로봇관(10부스)· 세미나- AI 자율제조혁신 포럼 in 부산1) 기간/장소 : 2025. 5. 20.(화) (BEXCO 회의실)2) 규모 : 200여 명3) 주최 : 첨단- 토요타자동차 세미나1) 기간/장소 : 2025. 5. 21.(수) ~ 5. 22.(목) (BEXCO 회의실)2) 주최 : 일본 J&K Total Service - 토요타 근무- 로봇용접 컨퍼런스1) 기간/장소 : 2025. 5. 21.(수) (BEXCO 회의실)2) 규모 : 150여 명3) 주관 : 대한용접 접합학회4) 내용 : 로봇을 활용한 용접응용과 사례- 대한기계학회 학술대회1) 기간/장소 : 2025. 5. 21.(수) ~ 5. 23.(금) (BEXCO 회의실)2) 규모 : 300여 명3) 주관 : 대한기계학회
-
2025-03-24▲ 삼성전자 모델이 국내 최초 무안경 3D 게이밍 모니터 ‘오디세이 3D’를 체험하고 있다[출처=삼성전자]삼성전자(회장 이재용)에 따르면 2025년형 게이밍·고해상도 모니터를 선보이며 프리미엄 모니터 시장 공략에 나선다.삼성전자는 △3D 신기술을 탑재한 ‘오디세이 3D’ △27형 크기에 4K·240Hz를 지원하는 ‘오디세이 OLED G8’ △전문가용 대화면 모니터 37형 ‘뷰피니티 S8’ 등 2025년형 모니터 신제품을 판매한다.◇ 국내 최초 무안경 3D 게이밍 모니터로 이전엔 없던 몰입감 선사삼성전자는 국내 최초 무안경 3차원 경험을 제공하는 3D 게이밍 모니터 ‘오디세이 3D(G90XF)’를 선보인다. ‘오디세이 3D’는 패널 전면에 렌티큘러 렌즈를 적용했다.‘AI 3D 영상 변환’ 기능을 통해 일반적인 2D 영상을 입체인 3D 콘텐츠로 전환해줘 평소 즐겨보는 유튜브 영상을 3D로 변환해 준다.‘시선 추적(Eye Tracking)’과 ‘화면 맵핑(View Mapping)’ 기술을 적용해 사용자의 눈 위치에 꼭 맞는 고화질 3차원 시청 경험을 선사한다.또 사용자는 전용 소프트웨어 ‘리얼리티 허브(Reality Hub)’를 사용해 게임을 등록하면 몰입감 넘치는 3D 게임을 즐길 수 있다.이 외에도 초고화질의 4K 해상도와 AMD 프리싱크 프리미엄 프로(FreeSync Premium Pro)와 지싱크 호환(G-SYNC™ Compatible)을 지원해 고사양 게임 시 발생하는 화면 끊김 현상을 줄이고 최대 165헤르츠(Hz) 주사율 및 1ms의 빠른 응답속도로 부드럽고 자연스러운 게임 플레이를 할 수 있다.삼성전자는 더욱 실감 나는 3D 게이밍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게임 개발사들과 지속적인 협업을 추진 중이다.◇ 글로벌 OLED 게이밍 모니터 1위 삼성전자, 오디세이 라인업 강화글로벌 OLED 게이밍 모니터 시장 점유율 1위인 삼성전자는 기존 오디세이 시리즈의 라인업을 강화했다. 2024년 매출 기준 시장 점유율이며 IDC가 조사했다.이번에 새롭게 선보이는 ‘오디세이 OLED G8(G81SF)’은 27형과 32형 2종으로, 4K(3840 x 2160) 해상도와 240Hz 주사율을 동시에 지원하며 뛰어난 화질과 높은 명암비를 구현한다.특히 27형 ‘OLED G8’은 166 PPI(인치당 픽셀 수)를 지원해 매우 촘촘한 화질을 제공하고 ‘OLED 글레어 프리(OLED Glare Free)’로 빛 반사를 줄여 게임 몰입감을 극대화한다.또 세계 최초로 ‘진동형 히트 파이프(Pulsating Heat Pipe)’를 적용한 ‘다이나믹 쿨링 시스템(Dynamic Cooling System)’을 통해 밝기 변화 없이 스크린 온도를 효과적으로 낮춰준다. 번인을 예방하는 ‘OLED 세이프가드+(OLED Safeguard+)’ 기술도 적용됐다.이밖에 ‘오디세이 OLED G8’은 △16대9 화면 비율 △응답속도 0.03ms(GtG) △AMD 프리싱크 프리미엄 프로(FreeSync Premium Pro) 및 지싱크 호환(G-SYNC™ Compatible) △높낮이(HAS)·상하(Tilt)·좌우(Swivel) 조절 및 가로·세로 전환(Pivot) 기능 등을 제공한다.OLED 적용 모델 외에도 듀얼 QHD 해상도의 32:9 울트라와이드 화면비를 갖춘 49형 오디세이 G9 모델도 함께 선보이며 소비자 선택권을 넓혔다.◇ 더 커진 화면과 다양한 옵션으로 업무 효율 높이는 ‘뷰피니티 S8·S7’고해상도 모니터 ‘뷰피니티 S8(S80UD)·S7(S70D)’은 세계 최초로 4K 화질, 16:9의 화면비에 37형 대화면 디스플레이를 탑재해 업무 효율과 생산성을 높였다.37형 ‘뷰피니티 S8’은 인체공학적 스탠드를 적용해 △높낮이 조절(HAS) △상하 각도 조절(Tilt)이 가능하다. VESA 표준 월마운트와 호환돼 공간 제약 없이 원하는 곳에 모니터를 두고 사용할 수 있다.USB-C타입 포트를 탑재해 다양한 기기와 호환될 뿐만 아니라 깔끔한 작업공간을 제공한다. 해당 모델은 ‘삼성닷컴’에서 단독으로 만나볼 수 있다.◇ 사전 구매 고객 위한 풍성한 혜택 마련삼성전자는 게이밍·고해상도 모니터 사전 구매 고객에게 특별한 혜택을 마련했다. 3월30일까지 진행되는 사전 구매 기간에는 모델별 최대 15만원 할인 쿠폰과 JBL 게이밍 헤드셋 또는 JBL 게이밍 스피커를 무상 제공한다.삼성닷컴에서 ‘오디세이 3D’를 구매하는 고객에게는 넥슨 게임 캐시(10만 원권)를 선착순 증정한다.삼성전자 2025년형 모니터 신제품은 ‘AI 구독클럽’을 통해서도 사전 구매가 가능하다. 삼성닷컴에서 ‘오디세이 3D’를 ‘AI 스마트’ 요금제로 구입할 경우, 카드 혜택 등을 포함해 월 구독료 약 4만원대로 구독할 수 있다.2025년형 모니터 신제품 출고가는 △오디세이 3D(G90XF) 249만 원 △오디세이 OLED G8(G81SF) 32형 199만 원, 27형 169만 원 △오디세이 G9 49형(G91F) 145만 원 △뷰피니티(S80UD) 37형 78만 원이다.제품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삼성닷컴(https://www.samsung.com/sec/)에서 확인할 수 있다.삼성전자 한국총괄 강진선 상무는 “2025년형 게이밍·고해상도 모니터 신제품들은 업계를 선도하는 혁신 기술과 다양한 옵션으로 소비자 선택권을 넓혔다”며 “특별한 혜택과 함께 많은 고객들이 새로운 제품들을 직접 경험해 보길 바란다”고 강조했다.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