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1
" JCB"으로 검색하여,
4 건의 기사가 검색 되었습니다.
-
▲ JCB가 KB국민카드와 ‘HERITAGE Classic (할인형)’ 신용카드의 출시를 기념해 일본 여행객을 위한 특별 캐시백 이벤트 진행[출처=JCB카드]JCB(대표이사 회장 하마카와 이치로(浜川 一郎), 대표이사 사장 후타에 타카요시(二重 孝好))에 따르면 일본 여행객을 위한 특별 캐시백 이벤트를 진행한다.2024년 12월 KB국민카드와 ‘HERITAGE Classic (할인형)’ 신용카드를 공식 출시한데 따른 것이다. 이를 기념해 이번 이벤트는 일본 오프라인 가맹점 이용 시 20%의 캐시백 혜택을 제공한다.또한 일본 편의점 이용 시 추가 20% 캐시백을 준다. 경우에 따라 최대 40%의 캐시백 혜택을 받을 수 있어 많은 관심을 모으고 있다.□ 혜택내용① 일본 오프라인 가맹점에서 이용 합산 3만엔 이상 이용 시 20% 캐시백 (각 기간 중 최대 6000엔)② 일본 3대 편의점에서 이용 합산 5000원 이상 이용 시 20% 캐시백 (각 기간 중 최대 1만 원까지)※ 혜택 ①, ②는 중복 적용 가능□ 실시기간· 1차 : 2025년 2월 10일 ~ 2025년 4월 30일· 2차 : 2025년 5월 1일 ~ 2025년 7월 9일□ 대상카드· HERITAGE Classic (할인형) JCB(K-World) 브랜드 카드HERITAGE Classic (할인형) 카드는 국내외 가맹점에서 이용 시 1%의 할인 혜택을 제공한다. 또한 전 세계 공항 라운지에서 연 2회 무료 이용(동반 1인 포함)이 가능해 해외 여행 시 유용하게 활용이 가능하다.더불어 JCB카드를 통해 제공되는 프리미엄 서비스로 일본 고급 레스토랑에서 1+1 할인 혜택 및 일본 내 공항 라운지를 연 6회 무료로 이용할 수 있어 일본 여행을 더욱 풍부하게 즐길 수 있다.KB국민카드와 JCB는 이번 이벤트를 통해 일본을 여행하는 고객들이 더 큰 혜택을 누릴 수 있기를 바라며 앞으로도 더 많은 일본 관련 혜택을 제공하기 위해 노력할 것이라고 밝혔다.이번 이벤트와 관련한 자세한 사항은 KB국민카드와 JCB의 공식 웹사이트를 통해 확인 가능하다. JCB는 신용카드 국제 브랜드로 1961년 일본에서 카드 사업을 시작해 1981년부터 전 세계로 비즈니스를 확장하고 있다.전 세계 약 5300만 개의 가맹점을 보유하고 있다. 국제성장 전략의 일환으로 전 세계 수백 개의 주요 은행 및 금융 기관과 제휴를 맺고 가맹네트워크를 확대하고 있다.JCB는 한국을 포함해 주로 아시아 국가 및 지역에서 발급되며 현재 약 1억6400만 명 이상의 카드 회원을 보유하고 있다.
-
▲ 일본 경제산업성(経済産業省) 빌딩 [출처=위키피디아]일본 경제산업성(経済産業省)에 따르면 2023년 기준 신용카드의 부정 피해액은 약 540억 엔으로 전년 대비 20% 증가했다. 10년 만에 5배 정도 늘어난 수치다.2023년 기준 신용카드 부정 이용율은 0.051%로 집계됐다. 신용카드 번호를 도용한 사례가 전체 부정 사용액의 90% 이상을 넘었다.범죄 조직은 기업 등을 거치 가짜 메일로 허위 사이트로 유도해 신용카드 번호, 전자상거래(EC) 비밀번호를 입력하도록 요구하는 '피싱(Phishing)' 기법을 주로 사용한다.경제산업성은 2025년 3월까지 전자상거래(EC) 가맹점에 여러가지 방법으로 본인을 인증하는 'EMV-3D 보안'을 요구했다. 사업자가 스스로 부정사용을 막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는 입장이다.2024년 4월9일 JCB, 미츠이스미토모카드, 일본크레딧협회 등이 모며 '신용카드·보안관민대책회의를 개최했다. 신용카드의 부정 이용이나 거래를 줄이기 위한 대책을 마련하기 위한 목적이다.경제산업성은 소비자도 피싱에 대한 경각심을 가지도록 홍보할 방침이다. 참고로 유럽연합(EU)은 사업자의 부정 이용률에 딸 본인 인증을 면제하는 제도를 도입했다.
-
2021-11-07영국 건설 장비 제조업체인 JCB에 따르면 오스트레일리아에서 신재생 에너지를 사용해 생산된 친환경 수소를 수입할 계획이다. 계약금액은 수십억 파운드에 달한다.해당 오스트레일리아 기업은 FFI(Fortescue Future Industries)이다. 2022년 연초부터 JCB는 FFI의 전문 제품인 라이즈 수소(Ryze Hydrogen)를 통해 친환경 수소를 판매할 수 있도록 할 계획이다.라이즈 수소는 연소될 때 이산화탄소를 배출하지 않는다. 전 세계는 화석 연료를 태우는 것을 막기 위해 노력하고 있으며 이산화탄소 배출량이 많은 중공업을 위한 대안으로 라이즈 수소가 긍정적인 평가를 받고있다.JCB의 주력 제품인 대형 건설 중장비 차량들을 비롯해 건설 및 물류 부문의 대형 트럭, 대중 교통 수단인 2층 버스 및 버스 등의 연료로 상기 라이즈 수소를 사용하려는 것이다.JCB와 FFI의 이번 계약 체결은 'COP 26 기후회의' 에 발표됐다. 전 세계의 기후변화를 위한 다양한 노력의 일환으로 홍보하기 위한 목적이다. ▲JCB 홈페이지
-
영국 건설 장비 제조사인 JCB(JC Bamford Excavators Ltd.)에 따르면 수소경제 투자기금인 하이캡(HYCAP)을 Vedra Partners와 공동 설립했다.JCB는 향후 하이캡을 통해 US$ 100억달러를 조성할 계획이다. 친환경 에너지인 수소 부문에 집중하기 위함이다.그 일환으로 최근 하이캡은 재생 에너지로 만든 수소의 생산과 공급을 늘리기 위해 국내 기업에 주로 투자하기 위한 2억7700만달러)이상을 모금했다.JCB는 하이캡 공동 설립자인 Vedra Partners와 더불어 향후 10억파운드를 조달하기 위한 계획을 세우고 있으며 이미 30곳 이상의 투자 가능성을 확인했다. 수소가 기후 변화에 대처하기 위한 선택지로 점점 더 인기를 끌면서 이와 같은 움직임이 활발해지고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2021년 8월 정부는 2030년까지 총 40억파운드의 수소 생산 투자에 대한 시작을 알렸다. 또한 일자리 9000개를 지원하겠다는 전략을 공개한 바 있다. ▲JCB(JC Bamford Excavators Ltd.) 홈페이지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