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1
" WEF"으로 검색하여,
7 건의 기사가 검색 되었습니다.
-
2025-02-12▲ 삼성바이오로직스 4공장 전경[출처=삼성바이오로직스]삼성바이오로직스(대표이사 존 림)에 따르면 글로벌 지속가능경영 평가기관인 탄소정보공개프로젝트(CDP·Carbon Disclosure Project)로부터 수자원 관리(Water Security) 분야 상위 등급인 ‘리더십’ 등급을 획득했다.CDP는 2000년 영국에서 설립된 후 전 세계 주요 상장기업을 대상으로 환경 이슈 대응 관련 정보 공개를 요청하는 프로젝트를 수행하고 있다. 2024년 2만4800여 개 기업이 참여했다.CDP 평가는 다우존스 지속가능경영 지수(DJSI) 등과 함께 주요 글로벌지속가능성 지표로 꼽힌다. 전략·목표·활동 등 다양한 영역에서 고른 점수를 받아야만 상위 등급 획득이 가능해 높은 대외신인도를 인정받고 있다.특히 글락소스미스클라인(GSK), 아스트라제네카(AZ), 노바티스 등 주요 글로벌 빅 파마들이 위탁개발생산(CDMO) 업체 선정을 위한 기후변화 대응 수준 파악 지표로 활용하는 것으로도 알려져 있다.CDP 평가는 리더십(A- 또는 A)부터 관리(B- 또는 B), 인식(C- 또는 C), 공개(D- 또는 D) 순으로 등급을 부여한다. 삼성바이오로직스는 CDP 평가 중 수자원 관리 분야에서 A- 등급을 받으며 글로벌 ESG 리더십을 인정받게 됐다.삼성바이오로직스는 이번 평가에서 자연자본전략 및 수질 오염 관리, 수자원 재이용률 등 구체적인 목표 설정, 수자원의 취수·방류·소비 데이터의 정확도와 신뢰성 확보 등의 활동을 통해 우수한 ESG 역량을 인정받았다.삼성바이오로직스는 이외에도 ‘지속가능한 CDMO 파트너’를 목표로 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해 생산능력 확충뿐만 아니라 ESG 경영에도 전사적 역량을 집중해 오고 있다. 이를 토대로 글로벌 주요 ESG 평가 지표인 DJSI 월드 지수에 4년 연속 편입된 바 있다.특히 글로벌 주요 이니셔티브인 지속가능한 시장 이니셔티브(SMI·Sustainable Markets Initiative)에서는 직접 존 림 대표가 헬스 시스템 태스크포스(TF)의 공급망 분야 의장을 맡는 등 ESG 분야에서 글로벌 리더십을 확고히 하고 있다.SMI는 2020년 세계경제포럼(WEF) 이후 영국 찰스 3세 국왕 주관으로 출범한 글로벌 기후변화 대응 이니셔티브로 존 림 대표는 헬스 시스템 TF에 GSK, AZ, 머크, 노보노디스크, 로슈, 사노피 등 글로벌 주요 빅 파마의 최고 경영자(CEO)들과 함께 참여하고 있다.2023년 삼성바이오로직스는 이와 같은 지속가능한 미래를 위한 노력을 인정받아 SMI에서 탄소 중립을 위해 구체적이고 혁신적인 로드맵을 제시한 기업들에게만 수여하는 ‘테라 카르타 실(Terra Carta Seal)’을 수상하기도 했다.존 림 삼성바이오로직스 대표는 “앞으로도 공급망 ESG 평가 강화 등 지속가능한 공급망 운영을 위한 노력을 이어가겠다”며 “글로벌 ESG 리더로서 다양한 이해관계자로부터 신뢰받고 인류의 더 나은 미래에 기여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
▲ 한화생명과 SBVA, 스위스에서 열린 세계경제포럼에서 AI 혁신을 위한 MOU 체결(왼쪽부터 한화생명 여승주 대표이사 부회장, SBVA 이준표 대표이사) [출처=한화생명]한화생명(대표이사 부회장 여승주)에 따르면 2025년 1월21일(현지시간) 스위스 다보스에 마련된 한화 오피스에서 SBVA와 AI 및 ICT 분야 혁신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이날 협약식에는 한화생명 여승주 대표이사(부회장)와 김동원 최고글로벌책임자(CGO, 사장), SBVA 이준표 대표이사를 필두로 한 양사 관계자들이 참석했다.한화생명이 스위스 세계경제포럼(WEF·다보스포럼) 현장에서 글로벌 투자회사와의 파트너십을 연이어 체결했다.인공지능(AI) 및 정보통신기술(ICT) 분야에 특화된 SBVA(前 SoftBank Ventures Asia·소프트뱅크벤처스아시아)와 홍콩에 거점을 둔 셀라돈 파트너스(Celadon Partners)가 그 주인공이다.SBVA는 2000년 소프트뱅크그룹(SoftBank Group) 산하의 초기 기업 투자를 위한 벤처캐피털로 설립돼 2022년에 디에지오브(The Edgeof)에 인수됐다.글로벌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직접 투자 및 전 세계에서 펀드를 조성하고 투자하는 사업을 영위하는 회사다. 특히 AI와 ICT 분야의 스타트업 및 벤처기업 투자에 전문성을 보유하고 있다.여승주 대표이사는 “이번 세계경제포럼의 메인 테마 ‘지능형 시대를 위한 협업(Collaboration for the Intelligent Age)’이 시사하듯 AI 혁신을 위해서는 글로벌 파트너십이 필수불가결하다”면서 “SBVA와 파트너십을 계기로 새로운 성장 기회를 창출하고 AI리더십을 확보해 글로벌 종합금융그룹으로 도약할 것이다”고 말했다.이어 이준표 대표이사는 “SBVA의 차별화된 기술 전문성, 글로벌 네트워크, 투자 경험과 한화생명의 AI 혁신이 함께 시너지를 낼 수 있는 파트너십을 만들어 가겠다”고 말했다.한화생명은 다음날 같은 장소에서 셀라돈 파트너스와도 MOU를 체결했다. 셀라돈 파트너스는 환태평양 시장을 주 활동 무대로 삼고 있으며, 턴어라운드 및 스페셜시츄에이션 전략을 주로 구사하는 운용사다.한화생명은 셀라돈 파트너스와의 파트너십을 계기로 아시아 시장에서 존재감을 한층 더 강화한다는 청사진을 그려 놓았다.도날드 탱(Donald Tang) 셀라돈 파트너스 대표이사는 “글로벌 종합금융그룹으로 발돋움하고 있는 한화생명과의 MOU 체결을 통해 아시아 시장에서 함께 성장할 수 있는 파트너가 되길 기대한다”고 전했다.한편 한화생명은 세계경제포럼에서 한국 경제 상황에 관심을 갖는 해외 주요 투자자들의 신뢰를 얻기 위해 AI와 디지털 혁신, 오픈 이노베이션 등에서 쌓아온 풍부한 경험을 바탕으로 세계 금융 업계 리더들과 활발히 교류하며 글로벌 파트너십을 모색했다.그 밖에도 한화생명 AI 연구소와 산학협력을 맺고 있는 스탠퍼드대 HAI(Human-Centered AI) 소장 제임스 랜데이(James Landay) 교수가 2024년에 이어 한화 오피스를 방문해 올해 AI 협력 계획에 대해 심도 있는 대화를 나눴다.
-
2025-01-14▲ 2025 미래 일자리 보고서(The Future of Jobs Report 2025) 표지[출처=세계경제포럼(World Economic Forum, WEF)]BYD Australia에 따르면 2025년형(MY25) 라인업 차량 가격을 최대 AU$5900달러 인하해 이전 모델 대비 6900달러 더 저렴해 졌다.오스트레일리아 농업자원경제국(Australian Bureau of Agricultural and Resource Economics, ABARES)에 따르면 2024-25회계연도 농업의 전체 가치는 AU$ 943억 달러로 전년도 대비 60억 달러 증가했다.세계경제포럼(World Economic Forum, WEF)의 2025 미래 일자리 보고서(The Future of Jobs Report 2025)에 따르면 2030년까지 오스트레일리아에서 가장 수요가 많은 직업은 배달 기사, 간호사, 전기 자동차 전문가로 나타났다.뉴질랜드 통계청(Statistics NZ)에 따르면 2024년 11월까지 12개월간 신규 주택 건축허가는 3만3609건으로 2023년 11월 기준 3만8209건 대비 12.0% 감소했다.◇ 세계경제포럼(WEF), 2030년 오스트레일리아에서 가장 수요 많은 직업 배달 기사, 간호사, 전기 자동차 전문가 등BYD Australia에 따르면 2025년형(MY25) 라인업 차량 가격을 최대 AU$5900달러 인하해 이전 모델 대비 6900달러 더 저렴해졌다.2025년형(MY25) 주요 모델은 사양 변경을 도입한 업데이트 제품으로 Essential, Dolphin Essential, Dolphin Premium 등이 있다. 이중 Dolphin Essential은 3만 달러 미만 전기차 출시 첫 번째 브랜드다.오스트레일리아 농업자원경제국(Australian Bureau of Agricultural and Resource Economics, ABARES)에 따르면 2024-25회계연도 농업의 전체 가치는 AU$ 943억 달러로 전년도 대비 60억 달러 증가했다.작물 재배 및 가축 부문의 강력한 성과로 역사상 두 번째 높은 생산량을 기록했다. 농작물 생산량의 약 70%이상이 국제 시장으로 수출되고 있으며 2023-2024 회계연도 수출 규모는 600억 달러를 기록했다.세계경제포럼(World Economic Forum, WEF)의 2025 미래 일자리 보고서(The Future of Jobs Report 2025)에 따르면 2030년까지 오스트레일리아에서 가장 수요가 많은 직업은 배달 기사, 간호사, 전기 자동차 전문가로 나타났다.2025년~2030년 총 고용이 순 7%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가장 큰 성장이 예상되는 직업으로는 농장 노동자, 배달 기사, 건설노동자, 영업사원, 식품 가공 노동자 등 현장 근무자가 포함 될 것으로 전망된다.노인 케어 종사자, 사회 복지사, 간호사, 학교 교사 등에 대한 수요도 급증할 것으로 예측된다. 한편 오스트레일라이 산업 그룹(Australian Industry Group)은 향후 5년간 7800만 개의 새로운 일자리가 창출될 것으로 예상했다.◇ 뉴질랜드 통계청(Statistics NZ), 2024년 11월 기준 12개월간 신규 주택 건축허가 3만3609건뉴질랜드 통계청(Statistics NZ)에 따르면 2024년 11월까지 12개월간 신규 주택 건축허가는 3만3609건으로 2023년 11월 기준 3만8209건 대비 12.0% 감소했다.2022년 11월 기준 5만209건 대비 33.1% 줄어들어 2년간 신규 주택 승인 건수가 3분의 1로 축소됐다.신규 아파트에 대한 허가는 지난 2년간 58.8% 감소했다. 은퇴자용 빌리지 주택은 41.7%, 타운하우스 및 주택은 32.2%, 단독 주택은 27.6% 줄어들었다.2024년 11월까지 12개월간 신규 주택 건설에 대한 건축 공사 총 추정 가치(토지 비용 제외)는 NZ$ 153억3000만 달러로 2년전 대비 24.9% 하락했다.
-
▲ 케냐 국기 [출처=CIA] 지난 6월 4주차 케냐 경제는 항만청(KPA)에 따르면 2023년 몸바사(Mombasa)항의 냉장 컨테이너를 활용한 신선식품 수출은 20피트 컨테이너 6813개(TEU)로 전년 대비 6% 증가했다.금융서비스 그룹인 브리탐 홀딩스(Britam Holdings)는 2023년 엘니뇨(El Niño) 홍수 피해를 입은 타나리버현(Tana River County) 300가구에 보험금 1500만 실링(US$ 11만5858달러)를 지급했다. ○ 항만청(KPA), 2023년 몸바사(Mombasa)항의 냉장 컨테이너를 활용한 신선식품 수출 20피트 컨테이너 6813개(TEU)로 전년 대비 6% 증가... 무역 저탄소화와 수출 향상을 목적으로 2023년 국내에 설치된 냉장 컨테이너 충전지점 1367곳을 활용해 탄자니아와 우간다산 신선식품 유럽 등지로 수출○ 금융서비스 그룹인 브리탐 홀딩스(Britam Holdings), 2023년 엘니뇨(El Niño) 홍수 피해를 입은 타나리버현(Tana River County) 300가구에 보험금 1500만 실링(US$ 11만5858달러) 지급... 지수기반홍수보험(IBFI) 정책 하에 2023년 5월 타 보험사와 협업으로 소규모 농가 대상의 홍수보험 설계○ 디지털 대출기업인 탈라(Tala), 2023년 기준 지난 10년간 케냐 이용자 350만 명에 대한 대출액 3000억 실링 기록... 향후 국내 및 동아프리카 금융기술 스타트업 인수를 통해 사업 다분화 및 시장 진출 목표○ 국제비정부기구인 세계경제포럼(WEF), 2024년 케냐 성격차지수(GGI) 순위 75위로 2023년 77위에서 상향... 여성이 경영권의 과반수를 차지하는 기업이 13.20%로 성장했음에도 여전히 비공식 부문에서 여성은 90.91%로 남성 83.1%과 비교해 성별 격차를 좁히기 위한 어려움 남아
-
▲ 중동·아프리카 주요국 [출처=CIA][아랍에미리트] 정부, UAE-조지아 포괄적 경제동반자협정(CEPA) 발효로 향후 5년 동안 양국 간 비석유 무역 가치 US$ 15억 달러로 3배 증가할 것으로 전망... 아랍에미리트산 정제 설탕, 가전제품, 차량 및 부품, 기계 등 조지아에 수출 규모 2031년까지 13억 달러로 점진적 성장 판단[아랍에미리트] 에티하드항공 화물 자회사인 에티하드카고(Etihad Cargo), 중국 화물 항공사인 SF항공(SF Airlines)과 파트너십 체결... 7월15일부터 허브 공항인 수도 아부다비 국제공항(Abu Dhabi Airports)과 후베이성 어저우화후 공항(Ezhou Huahu Airport) 간 운항 횟수 1주당 5회로 늘릴 계획[아랍에미리트] 디지털 서비스기업인 e&엔터프라이즈(e& enterprise), 튀르키예 디지털 서비스기업인 글래스하우스(GlassHouse) 지분 100% 인수... 새로운 시장 진출과 디지털 전환기술의 선도 기업이 되는 걸 목표[사우디아라비아] 정부, 2023 회계연도 4분기 부동산 부문 국내총생산(GDP)의 5.9% 기여... 1~6월 부동산 거래 건수는 28만 건 이상으로 전체 거래 규모는 6360억 리얄(US$ 1695억 달러) 기록[카타르] 국가계획위원회(NPC), 1분기 수출의 81%가 아시아이며 국가별 수출 1위인 중국은 US$ 55억9000만 달러 집계... 1분기 수출액 876억 리얄(239억9000만달러)로 전년 동기 대비 8.6% 감소[남아공] 금융기업인 퓨처그로스(Futuregrowth) 지역사회자산펀드(Comprop), 노스웨스트주(North West province) 보이트콩 몰(Boitekong Mall) 인수... 포트폴리오 쇼핑센터 25개로 늘리며 전체 포트폴리오 자산 규모 80억 랜드 이상으로 확장[케냐] 디지털 대출기업인 탈라(Tala), 2023년 기준 지난 10년간 케냐 이용자 350만 명에 대한 대출액 3000억 실링 기록... 향후 국내 및 동아프리카 금융기술 스타트업 인수를 통해 사업 다분화 및 시장 진출 목표[케냐] 국제 비정부기구인 세계경제포럼(WEF), 2024년 케냐 성격차지수(GGI) 순위 75위로 2023년 77위에서 상향... 여성이 경영권의 과반수를 차지하는 기업이 13.20%로 성장했음에도 여전히 비공식 부문에서 여성은 90.91%로 남성 83.1%과 비교해 성별 격차를 좁히기 위한 어려움 남아[이집트] 총리 무스타파 마드 불리(Mostafa Madbouly), 2030년까지 수출액 US$ 1000억 달러 달성 목표... 산업화 향상과 투자 유치를 통해 국내 제품의 경쟁력을 높여 시장 점유율과 수출 업체를 지원할 방침[탄자니아] 프랑스 항공사인 에어프랑스(Air France), 11월18일부터 파리 샤를드골 국제공항(Paris-Charles de Gaulle)과 탄자니아 킬리만자로 국제공항(Kia)과의 직항 노선 1주당 3회 운항 시작... 아프리카 대륙과 항공 연결성 향상과 관광객 운항 서비스 편의성을 높일 것으로 판단
-
[아랍에메리트] 관공서인 ADREC(Abu Dhabi Real Estate Centre), 수도 아부다비 부동산 시장 해외직접투자(FDI) 2024년 1분기 18억1000만 디르만 집계... 1분기 부동산 거래 규모 194억 디르만으로 상승세[아랍에미리트] 세계경제포럼(WEF), 여행&관광개발지수(TTDI)에서 글로벌 항공 서비스 인프라시설 및 품질 1위 국가로 아랍에미리트 선정... 항공 서비스 효율성 및 가격 부문은 3위[아랍에미리트] 라스알카이마 경제구역(RAKEZ), 6월 인도상공회의소(ICC)와 양해각서(MOU) 체결... 양국간 협업과 경제성장률 상승 전망[카타르] NPC(National Planning Council), 4월 상업은행 예금 1조240억 리얄(US$ 2767억 달러) 집계... 국내 상업은행 신용융자 1조3100억 리얄로 전년 대비 4.9% 상승[코트디부아르] 국제금융기관인 아프리카개발은행(AfDB), 미국 IT기업인 인텔(Intel)과 인공지능(AI) 교육 협업 체결... 아프리카인 300만 명과 공무원 3만 명 대상으로 진행[나이지리아] 미국 글로벌 식음료 제조기업인 펩시(Pepsi), 6월 새로운 로고 발표... 상표 차별화를 높여 브랜드 영향력 강화하기 위한 목적[나이지리아] 팜오일 회사인 프레스코(Presco Plc), 2023 회계연도 배당금 총 263억 나이라 승인... 2023년 매출액 1024억2000만나이라로 전년 810억3000만나이라 대비 26.4% 증가[남아공] 미디어기업인 멀티초이스(Multichoice), 나이지리아 자회사 외환 환율 손실 36억 랜드... 어려운 거시경제 영향으로 2024년 총이익 19~23% 하락 전망[케냐] 브뤼셀 항공(Brussels Airlines), 6월 수도 나이로비-벨기에 브뤼셀 직항노선 9년 만에 운항 재개... 코로나19 대유행 종료 이후 관광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며 에티하드 항공(Etihad Airways)도 케냐 직항노선 재개[케냐] 관광청(KTB), 2023년 국내 방문객 중 유럽인 57만2352명으로 29% 차지... 벨기에 관광객 1만3000명으로 2022년 1만 명 대비 증가
-
2018-09-22세계경제포럼(WEF)에 따르면 향후 10년동안 로봇(Robot)으로 인해 1억3300만개의 일자리가 생길 것으로 예상된다. 사라질 것으로 추정되는 일자리 7500만개의 약 2배에 달하는 숫자다.산업 현장에 로봇이 도입되면서 단순 일자리 대부분은 사라질 것으로 예상된다. 반면에 로봇이 하기 어려운 업무를 담당해야 하는 새로운 일자리가 더 많이 늘어날 것이라는 주장이다. 다만 문제는 어떻게 로봇이 감당하기 어려운 일을 찾고, 단순한 업무를 수행하던 직원들에게 새로운 지식과 기술을 학습하도록 독려할 수 있는지이다.2010년대 들어 4차산업혁명에 대한 논의가 뜨겁게 일고 로봇의 도입으로 글로벌 경쟁력을 강화하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정부나 기업 모두 새로운 도전에 직면한 셈이다.저임금 노동자에 의존하고 있는 저개발국이나 개발도상국은 일자리가 없어질 것이라는 공포에 휩쌓여 있다. 하지만 산업현장에 투입할 로봇을 생산하고 관련 일자리를 찾는데 적극적인 선진국은 마음의 여유가 있다. 글로벌 기업 경영자들은 2025년까지 직원이 담당하고 있는 일의 50% 이상은 로봇에 의해 대체될 것이라고 전망한다.블루칼라가 가장 위험할 것으로 예상되지만 화이트칼라도 회계, 데이타입력, 급여정산 등과 같은 업무가 기계에 의해 대체될 업무에 속한다. 영국 경영자의 80%는 향후 5년동안 기계화가 급속하게 진전될 것으로 예상했다. 이들은 숙련도가 떨어지는 근로자가 담당하고 있는 업무를 수행하기 위해 새로운 기술을 사용할 것이라고 답변했다.영국 근로자 600만명이 로봇이 자신들의 일을 빼앗아갈 것이라는 두려움을 갖고 있다. 영국 중앙은행(Bank of England)이 로봇으로 1500만개의 일자리가 사라질 것이라고 예상했기 때문이다.영국 온라인 소매점인 디렉터(Direct)는 자동하로 2000개의 일자리를 없애기로 결정했다. 일부 직원은 창고로 재배치하지만 창고도 자동화의 대상이기 때문에 안전한 일자리라고 보기는 어렵다.이러한 조사결과는 세계경제포험이 글로벌 20여개 국가에서 1500만명의 근로자를 대표하는 기업인들을 조사한 결과다. 로봇에 대한 두려움과 희망은 정해진 것이 아니라 모두 이에 맞서는 국가, 기업, 개인의 노력 여하에 따라 결정될 것으로 판단된다.▲미국 아마존의 창고용 로봇(출처 : 홈페이지)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