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2
" air traffic"으로 검색하여,
11 건의 기사가 검색 되었습니다.
-
2019-02-15독일 항공교통관제기관인 DFS(Deutsche Flugsicherung GmbH)에 따르면 2018년 항공 교통에서 158건의 드론 방해사고가 발생했다. 2017년 대비 80% 증가한 수치이다.독일 최대 공항인 프랑크푸르트에서 31건으로 가장 많았다. 그 뒤를 이어 베를린 테겔이 17건, 뮌헨이 14건, 함부르크가 12건 순으로 발생됐다. 2017년에는 총 88건이 보고됐지만 2016년에는 64건에 불과했다.드론 운행은 독일에서 합법적이지만 엄격한 규칙을 따라야 한다. 공항에서의 이륙 및 착륙 활주로와 같은 지역의 드론 비행은 금지돼 있다.드론은 군중, 병원, 교도소, 정부 건물, 연방 고속도로 및 철도 위를 비행할 수 없다. 드론 운영자는 비행 중에는 장치를 보지 않은 채 100미터 이상 비행하지 않아야 한다.항공교통관제의 주된 문제점은 드론이 레이더에 보이지 않는다는 점이다. 따라서 보고된 수치는 항공교통 관제사에게 드론 조종을 보고하는 조종사의 정보를 기반으로 한다.이러한 사실을 고려하면 실제 발생된 사건은 보고된 수치보다 훨씬 많을 것으로 예상된다. 점증하는 위험때문에 독일 항공운송산업협회(German Air Transport Industry)는 더 많은 안전 조치를 요구하고 있다.특히 당국과 다른 항공기에 의해 식별될 수 있도록 트랜스폰더와 같은 기술이 드론에 탑재돼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참고로 2018년 12월 19일부터 21일까지 런던 개트윅공항은 드론에 의해 야기된 안전과 보안에 대한 우려로 활주로를 폐쇄한 바 있다. 이 때문에 약 14만명이 항공여행에 차질을 빚었다.▲ Germany-DFS-drone▲ 독일 항공교통관제 회사(Deutsche Flugsicherung GmbH)의 홍보자료(출처 : 홈페이지)
-
2019-01-14뉴질랜드 정부 산하 민간항공청(CAA)에 따르면 국내 전역에서 전례없는 항공교통서비스 중단 사태가 발생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지난 한 달 이상 동안 항공교통 관제탑에서 인재 부족을 겪고 있는 내피어(Napier) 지역이 가장 큰 타격을 받고 있다. 국내 최대 비행 이착륙지인 오클랜드(Auckland) 역시 이러한 문제에 직면하고 있다. 인재 부족은 관련 직원이 아픈 경우 빠르게 투입될 대체 직원 역시 부족하기 때문에 발생한다. 다른 직원들은 훈련 중인 상황이다. 2018년 12월초부터 항공교통서비스 부문은 심각한 직원 부족을 겪고 있다고 지적한다. 이로 인한 항공기 지연으로 승객의 불편이 가중되고 있으며 항공기 운행비용 역시 상승하고 있다.▲항공교통관제탑(출처 : 민간항공청(CAA)홈페이지)
-
2018-12-10유럽 글로벌 항공기 제조기업인 에어버스(Airbus)에 따르면 드론((Drone)을 보다 쉽게 탐지할 수 있는 새로운 칩셋을 개발했다. 드론은 크기가 작아 탐지하기 어렵기 때문에 영공의 안전이 이슈로 부상하고 있기 때문이다.개발된 칩셋은 우주항공기업인 드론잇(Drone-it)의 장비에 탑재될 계획이다. 무인항공기시스템 프로젝트(CLASS project)를 위해 유럽의 영공상황 하에서 개발됐다.해당 프로젝트는 '호리존(Horizon) 2020' 펀딩 라운드를 통해 자금을 조달했다. 무인 항공시스템의 교통 감시에 필요한 성숙한 기술을 지원하기 위한 목적으로 설정된 펀드이다.에어버스는 새로운 칩셋과 함께 글로벌 네비게이션 위성시스템(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송신기와 수신기를 사용한다. 송신기는 무인항공기시스템(UAS)에서 독립적으로 정보를 전송한다.에어버스의 칩셋은 정지 궤도에 있는 위성을 통해 메시지를 중계할 수 있다. 또는 직접 지상 네트워크에 연결할 수도 있다.유럽의 규제 당국은 이 기술을 사용해 무인항공기 교통관리시스템(UAS Traffic Management System)의 프로토타입 구축을 기대하고 있다. 참고로 2018년 10월 클래스 이니셔티브(CLASS initiative)를 통해 영국에서 시연됐다.▲ France-Airbus-chipset for drone detection▲ 에어버스(Airbus)의 드론 교통관리용 칩셋(출처 : 홈페이지)
-
필리핀 클라크국제공항(CIAC)에 따르면 2018년말까지 이용승객이 250만명에 도달할 것으로 전망된다. 2018년 8월 8일까지 이용승객은 153만8958명으로 집계됐다.1일 이용승객이 가장 많았던 날은 5월 26일로 8662명을 기록했다. 1일 평균 승객은 7000명, 1주일 462회 비행횟수로 조사됐다. 국제선은 166회, 국내선은 296회로 나타났다.현재 카트르의 도하, 아랍에미리트의 두바이, 중동, 한국의 인천과 부산, 홍콩, 마카오, 대만의 타이베이, 싱가포르 등에 취항 중이다.조만간 태국의 방콕, 말레이사의 쿠알라룸프 등에도 취장을 계획하고 있다. 1995년에 오픈한 이후 성장세가 유지되고 있다. 2017년에는 이용승객이 151만명을 기록했다.▲클라크국제공항(CIAC) 로고
-
뉴질랜드 최남단 공항인 인버카길공항(Invercargill Airport)에 따르면 운영 테스트를 거쳐 2020년 국내 최초의 디지털 항공관제타워를 가동할 예정이다.디지털 항공관제타워는 멀리 떨어진 곳의 컨트롤러가 카메라로 비행장의 라이브 영상을 보고 항공교통을 유도 할 수 있다.기존 시스템은 컨트롤러가 활주로를 내려다 보는 타워에서 보내는 항공교통 상황을 관리하는 수준에 불과하다. 전통적인 방식의 관제탑을 건설하는 비용이 지속적으로 줄어들 것으로 예상된다.▲인버카길공항(Invercargill Airport)의 위치 (출처 : 구글 지도)
-
국제항공운송협회(IATA)에 따르면 2017년 8월 아시아-태평양 지역 항공사들의 항공운행량은 전년 동월 대비 9% 증가했다. 동기간 다른 지역보다 항공운행량은 빠르게 증가했다.2017년 8월 아시아-태평양 지역에서 좌석용량은 8.6% 증가했다. 좌석이용률은 0.3%포인트 증가해 82.6%를 기록했다.2017년 8월 글로벌 수요는 전년 동월 대비 7.2% 증가했고 항공기 수용량은 6.3% 증가했다. 좌석이용률은 0.7%포인트 증가해 84.5%로 나타났다.아시아-태평양 지역의 항공수요 성장세는 완화되고 있으며 글로벌 수요도 마찬가지이다. 2017년 북반구의 여름시즌에 항공운행량이 급증한 것도 성장세에 기여했다. ▲국제항공운송협회(IATA) 홈페이지
-
뉴질랜드 항공항법서비스기업 Airways에 따르면 항공교통관리시스템의 업그레이드를 위해 $NZ 5800만달러를 투자할 계획이다. 향후 10년동안 항공교통량은 50%이상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이다. Airways는 글로벌 기술기업 Leidos와 계약해 Skyline X시스템을 사용해 2000년대초에 설치한 Airways의 기존 플랫폼 2대를 업그레이드할 계획이다. Airways는 뉴질랜드의 항공항법서비스를 제공하는 글로벌 기업이다. 국내 및 해외 65개국 이상에서 항공운항, 항공교통 관리 컨설팅, 항공교육 서비스 등을 제공하고 있다.▲Airways 홈페이지
-
국제항공운송협회(IATA)에 따르면 2016년 11월 인도 국내항공여객은 22.3%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20개월 연속 성장한 것이며 13개월 연속 20%이상 성장세를 보였다.11월 인도를 제외하고 2자릿수 성장을 기록한 국가는 러시아와 중국이다. 러시아는 15.5%, 중국은 14.9% 각각 성장했다. 현재 인도와 중국이 국제항공시장에서 가장 빠르게 성장하고 있는 국가로 지목된다.국제항공시장에서 국제선과 국내선의 비율은 보면 국제선은 63.5%, 국내선은 36.5%를 차지하고 있다. 국제항공운송협회(IATA)는 글로벌 항공사의 83%인 265개 항공사를 대표한다.▲국제항공운송협회(IATA) 로고
-
▲ 인도 정부 빌딩 [출처=홈페이지]인도 민간항공청에 따르면 2016년 10월 국내항공여객은 867만명으로 전년 동월 703만명 대비 23.2% 증가한 것으로 집계됐다.인디고의 전체 시장점유율은 42.6%로 1위를 차지했는데 9월 40%에 비해서도 확대됐다. 스파이스젯은 9월 12.5%에서 12.9%로 소폭 확대됐다. 비스타라는 9월 2.5%에서 2.7%로 증가했다.
-
▲ 국제항공운송협회(IATA) 로고국제항공운송협회(IATA)의 자료에 따르면 2035년까지 글로벌 항공여객이 연간 3.7%씩 성장할 것으로 전망된다. 아시아-태평양 지역은 가장 급성장하는 지역일 것으로 예상된다.2029년 경이 되면 중국이 미국을 제치고 최대 시장에 등극할 것으로 보인다. 인도의 경우 2026년에 영국을 제치고 3위 시장를 차지할 것으로 전망된다.지난 10년동안 개발도상국의 항공여객 점유율이 24%에서 40%로 대폭 상승했는데 이러한 추세는 지속될 것으로 예상된다.
1
2